기약잉여계
旣約剩餘界 / reduced residue system
1. 정의
4를 예시로 들어보면, $$\left\{0,1,2,3\right\}$$은 완전잉여계, 그리고 4와 서로소가 아닌 0[2] , 2를 제외한 $$\left\{1,3\right\}$$는 기약잉여계가 된다.
기약잉여계가 중요한 이유는, 이들에게는 곱셈 역원이 있다는 점때문이다. 예컨대, $$6$$에 대한 완전잉여계 $$\left\{0,1,2,3,4,5\right\}$$와 그것의 기약잉여계 $$\left\{1,5\right\}$$를 생각하자. $$\left\{1,5\right\}$$의 원소는 모두 곱셈 역원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완전잉여계의 원소는 그렇지 않다. 이는, $$m$$과 $$a$$가 서로소일 때, 정수 $$x,\,y$$가 존재하여 $$ax+my=1$$ 즉, $$ax\equiv 1\left(m\right)$$이기 때문이다.
2. 추상적인 버전
정수환의 몫환의 단위원의 모임인 $$\left(Z/mZ\right)^{\times}$$이 $$m$$을 법으로 한 기약잉여계와 같다. 동치류들의 모임인 $$\left(Z/mZ\right)^{\times}$$의 동치류에서 대표원을 하나씩 선택하여 구성한 것이 기약잉여계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