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버스 7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김해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로 왕복 운행거리는 27.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김해시보에서는 이 노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1991년 8월에 나온다. 당시 '외동주공아파트 - 내동 - 구지로 - 삼방동' 구간을 7대가 운행하던 노선이었는데 첫막차 시각을 연장해 6시부터 23시 반까지 운행하도록 했다고 한다.
- 1992년 7월 15일에 인가대수가 8대에서 10대로 늘어났다. 당시 노선은 '외동 - 내외동사무소(현 내외문화의집) - 내동파출소 - 칼아파트 - 교육청 - 가락로 - 시외버스터미널 - 김해시청 - 초선대 - 안동 - 국제상사 - 한일아파트 - 인제대 - 삼방1통'이었다. 같은 날에 날 7-1번을 신설하였는데 2대가 '(무접) - 분성로 - 내외동사무소 - 칼아파트 - 구지로 - 가락로 - 김해백화점 - 시외버스터미널 - 김해시청 - 복음병원 - 어방주공아파트 - 삼방1통 - (영운리)' 구간을 운행했으며 무접과 영운리는 하루 3번 경유하였다. 이후 기록에서는 이 노선이 17번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아마 번호를 7-1번에서 17번으로 변경했던 것으로 보인다.
- 1994년 1월 10일에 노선이 '어방동 - 인제대 - 삼방동 - 안동 - 김해시청 - 금강병원 - 가락로 - 교육청 - 칼아파트 - 외동'으로 변경되었으며 15대가 하루 120회 운행하였다. 당시 17번은 '어방동 - 삼방동 - 인제대 - 삼정동 - 활천고개 - 분성로 - 김해도서관 - 외동 - 내동' 구간을 5대가 하루 55회 운행하였다.
- 1994년 11월 20일에 5대가 하루 40회 운행하던 17번을 당시 15대가 하루 140회 운행하던 7번에 흡수해 총 26대가 하루 190회 운행하도록 했다. 참고로 이후에 신설된 17번은 현 57번의 전신이다.
- 1998년 2월 1일 당시 '어방동 - 삼방동 - 대동아파트 - 안동 - 지내동 - 김해시청 - 가락로 - 구지로 - 내동 - 외동주공아파트' 구간을 29대가 하루 261회 운행했다.
- 2001년 12월 개편 때 노선이 '외동터미널 - 분성로 - 외동주공아파트 - 금관대로 - 칼아파트 - 김해여중 - 농협김해시지부 - 금강병원 - 김해시청 - 초선대 - 안동공단입구 - 칠암도서관 - 삼방동 - 인제대 - 어방동' 구간을 25대가 6분 간격으로 하루 175회 운행하게 되었다.
4. 특징
- 전차량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 김해시에서 2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이었다. 한동안 내외순환이 제일 짧았지만 지속적인 적자로 폐지된 후에는 다시 제일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이 되었다. 2번은 2-1번을 분할시키면서 간격이 많이 늘어졌다. 다만 1번과 1-1번도 배차간격이 7번과 거의 비슷하고, 태생적으로 쌍둥이 노선인 두 노선을 합쳐서 보면 가장 짧다.
- 2번과 2-1번과는 반대로 동김해지역(인제대학교) 구간을 반대방향으로 단선 순환 회차한다. 따라서 지내동삼거리(경남은행)까지 가서 돌아나오는 2번과 2-1번과 달리 인제대역에서 인제로를 통과하여 인제대학교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기에 인제대학교 셔틀버스를 놓치거나 하면 거의 이 노선으로 수요가 몰린다.[1]
- 방학감차를 실시하는 경우 주말 수준의 배차를 유지한다.
- 2020년 12월부터 기존 9대에서 10대로 증차되었다.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