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가

 

1. 개요
2. 내용
3. 바깥고리


1. 개요


亂離歌. 조선 영조 4년인 1728년에 발생한 이인좌의 난 당시 난을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었던 훈련도감 소속의 한 하급 기마병이 그 당시의 상황을 산문으로 기록한 한글일기.

2. 내용


이름을 알 수 없는 훈련도감 소속의 한 하급 군졸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기마병으로 진압군에 참전, 1728년 3월 17일부터 4월 19일까지 약 한달 동안 체험한 전장에서의 일을 수기의 형태로 기록한 한글 일기이다.
이인좌의 난 당시 서울,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이동하며 여러 전투에 직접 참여한 일반 군졸이 그 과정에서의 매일의 경험을 기록한 것으로, 당시 사회의 혼란상과 전쟁의 참상, 백성들의 처참한 모습, 반란군과의 전투 과정, 병사들이 받은 음식 대접, 오랜 행군에 지친 병사들의 모습 등이 그려져 있다.
또한 전투 외에도 도시 하층민으로서 살아가던 훈련도감 소속 하급 병사들의 고단하고 힘겨운 군영 생활을 묘사하거나 무능한 지휘관의 행태를 신랄하게 풍자하는 등 당시 하급 병사들의 정서와 의식을 여과없이 묘사하고 있다.[1]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한글일기들이 대부분 높은 신분의 사대부층에 의해 창작된 것과 달리, 무신란에 직접 참전했던 낮은 신분의 하층 병사가 일상 구어체로 작성한 한글일기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으며, 이인좌의 난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1700년대 우리나라 군영 문화의 전반적인 이해에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3. 바깥고리



[1] 풍자 대상으로는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공신이 된 권희학, 이익필, 박찬신 등의 장수들이 있는데, 중앙 조정에서의 상훈과 달리 일선 군인의 입장에서는 좋게 보이지 않았던 모양이라 양자 간의 인식 차이를 알 수 있다. 반대로 훗날 암행어사로 활약해 유명해지는 종사관 박문수는 '착하도다 종사관 박문수여 지략과 의기 좋을시고'라며 칭찬을 하고 있는데, 전국시대의 병법가이자 휘하 병사들의 고름을 손수 빨아 치료해 주면서 온 병졸들의 신망을 얻었던 인물인 오기에 비유할 만큼 높이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