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글레리아 파울러리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파울러자유아메바 | Naegleria fowleri
'''
[image]
'''학명'''
''' ''Naegleria fowleri'' '''
Carter, 1970
'''분류'''
'''역'''
진핵생물역
'''미분류'''
엑스카바타계(Excavata)
'''문'''
페르콜로조아문(Percolozoa)
'''강'''
이엽상근족충강(Heterolobosea)
'''목'''
자유아메바목(Schizopyrenida)
'''과'''
자유아메바과(Vahlkampfiidae)
'''속'''
나이글레리아속(Naegleria)
1. 개요
2. 상세
2.1. 치료법


1. 개요


Naegleria fowleri
1965년 9월, 호주의 병리학자 말콤 파울러(Malcolm Fowler)박사에 의해 발견된 네글레리아.[1]
통칭 "뇌 먹는 아메바(brain-eating amoeba)"라고 불린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아메바계가 아니라, 유글레나가 속한 엑스카바타계의 페르콜로조아문 이엽상근족충강 자유아메바[2]목 자유아메바과 네글레리아속에 속한다.
번안 이름에는 아메바가 들어가지만 분명히 생물 분류 단계의 계에서부터 갈라진다. 따라서 파울러 "자유아메바"임을 확실히 표기하여야 한다.[3]

2. 상세


이 작고 하찮아 보이는 진핵생물에게 문서가 존재하는 이유는 별명 그대로 뇌를 먹어치우며, 치사율은 무려 97%에 달하는 무시무시한 놈이기 때문이다.
민물이나 토양에서 흔히 발견되는 생물로, 미국, 파키스탄, 호주, 체코 등 전 세계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주로 25°C 이상의 따뜻한 연못, 호수, 하천 등지에서 수영하거나 코세척 등으로 코에 물이 들어가면, 이 아메바가 아주 드물게 비강점막을 통과해 후각신경을 따라 올라가 뇌척수액으로 침투하여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을 일으킨다.[4]
아직까지 전 세계 감염사례는 60년 동안 450여건 밖에 없을 정도로 드물지만, 일단 감염되면 별 다른 치료법이 없어 향진균 약물을 투여해도 사망율이 약 95%에 이른다. 다만, 현재까지 대한민국 감염 사례는 없다.
2016년 8월 23일, 미국 플로리다주에선 개인 소유 수영장에서 수영하다가 감염된 10대 소년이 극적으로 생존하기도 하였다. 지난 50년 간 미국에서 감염된 138명의 감염자 중 4번째 생존자로 소개되었다.#
2020년 9월 27일, 미국 텍사스주 레이크 잭슨시의 수돗물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검출되어 재난 사태가 선포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레이크 잭슨시장은 다급히 레이크 잭슨시 주민들에게 수돗물 사용 금지령을 내렸으며, 수돗물을 마신 6살 소년에게서 처음으로 검출되어 사망했다고 한다. #

2.1. 치료법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뇌수막염 증상을 일으키는 환자의 뇌척수액 검사에서 아메바가 발견되었을 경우, 다음의 치료법을 시행하게 된다.
치료법은 저체온치료 및 밀테포신(miltefosine)[5]을 최대한 빨리 투여하는 것이다.
아메바성 수막염에 특효로 알려진 밀테포신을 투여하고 효능이 나타나지 않으면 저체온치료를 진행한다.
아메바는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는데, 저체온치료를 하게 될 경우 이들이 뭉쳐 체내에 물혹을 형성하게 된다. 이 물혹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임파비도는 리슈마니아증과 같이 열대지방에서 파리를 매개로 하는 감염병에 사용하는 약으로, 2014년 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로부터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와 발라무시아 만드릴라리스를 원인으로 하는 아메바성 뇌수막염 치료제로 처방 추천을 받은 약물이다.
[1] 이 진핵생물의 이름은 발견자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2] = 자유 생활 아메바(free-living amoeba)[3] 다만 본 문서에선 편의 상 아메바로 표기함을 알린다.[4] 이 녀석들은 여느 아메바처럼 근처의 유기체를 먹으며 살아가려 한다. 문제는 이 녀석들이 도달한 곳이 '''뇌'''라는 것. 그래서 뇌세포를 먹어 병을 일으키는 것이고, "brain-eating amoeba"라고 불리는 것이다.[5] 상표명 임파비도(Impavido)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