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사진)

 

[image]
Exposure
사진의 노출
감도
조리개
셔터 속도
사진의 밝기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
감도조리개값, 그리고 셔터 속도의 세 가지 개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를 배울 때 무조건 이해할 부분이다. 문제는 이해한 내용을 실전에 적용하기도 골치아픈 개념.
1. Exposure Value
2. 스탑
3. 노출 보정
3.1. Push & Pull
4. 기타 등등


1. Exposure Value


노출은 룩스 값으로 측정되는데, 사진에서는 이 값을 따로 정리하여 EV(Exposure Value)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이는 감광면(물리적 필름이나 디지털센서) 을 빛에 얼마나 개방시킬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노출이 적절히 맞은 사진은 적정 노출으로 찍혔다고 한다.
EV값은 log2(조리개값의 제곱/셔터속도)로 계산되며, EV 0은 F1.0에서 1초 노출을 준 값이다. 기본적인 1스탑 단위의 조리개값은 제곱하면 익숙한 자연수를 만날 수 있으므로 손으로 쉽게 풀 수 있다. 통상적인 EV계산에서는 감도를 100으로 놓으며, 스탑이 무엇인지를 참고하면 다른 감도와 조리개, 셔터속도 조합에서의 EV값도 환산할 수 있다.

2. 스탑


감도셔터 속도는 스탑 계산이 비교적 간편하다. 이들의 값이 두 배 변할 때 한 스탑이 증감되었다고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
  • F4, ISO100, 1/100s = F4, ISO200, 1/200s
등가노출을 맞출 때, 조리개값을 고정시킨다면 ISO값과 셔터속도의 곱은 일정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감도가 한 스탑 올라가면 셔터 속도는 한 스탑 내려가야 하며, 반대의 경우도 그러하다.
그러나 조리개값은 계산이 까다롭다. 이는 조리개값이 초점거리/렌즈의 유효 구경의 값이며, 제곱근 계산을 빠르게 할 수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조리개값은 루트 2를 곱하거나 나눌 때 한 스탑 증감되었다고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1스탑 조리개값은 다음과 같다.
F1.0 - F1.4 - F2 - F2.8 - F4 - F5.6 - F8 - F11 - F16 - F22
따라서,
* F4, ISO100, 1/100s = F8, ISO100, 1/25s
감도를 고정한다고 가정하면 조리개가 2스탑 조여졌으므로, 셔터는 2스탑 더 오래 열려야 한다. 여기서 조리개값의 변화는 2배로 2는 루트 2의 제곱이며, 셔터스피드의 변화는 4배로 이는 2의 제곱이다.
* F4, ISO100, 1/100s = F2.8, ISO50, 1/100s
셔터속도를 고정했을 때의 변화도 같은 방식이다. 조리개가 1스탑 더 열렸고 셔터속도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감도는 1스탑 감소되어야 한다.
이 사항을 숙지하면 세 값 모두를 변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 F2, ISO200, 1/800s = F4, ISO100, 1/100s = F2.8, ISO400, 1/800s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계산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의 DSLR 등에서는 조리개셔터 속도를 1/3스탑 단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따라서는 1/2스탑이나 1스탑 단위로 설정을 바꿀 수 있는 기종들도 존재한다. 감도는 1스탑 증감이 가능한 제품이 대부분이나, 제품에 따라서는 1/3스탑 단위로 증감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2스탑 혹은 1/3스탑의 값들은 해당 항목들을 참조하자.

3. 노출 보정


Exposure Compensation
정말로 중요한 세팅이다. 0을 기준을 +2 는 흰색 -2는 검은색으로 정한다. 보정이 0이라는 소리는 카메라의 자동 미터의 노출값으로 찍었을 경우 18% 회색 값이 결과물에도 똑같이 나온다는 뜻이다. 이건 정말 중요한 컨셉인데, 화각 전체의 노출값이 18% 회색과 비슷하다면 피사체와 결과물이 비슷할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 자동 미터라는게 기본으로 노출보정 0에 맞추고 있다. 이 말인 즉슨 검은색 물체를 놓고 찍어도 회색으로 보일 노출을 설정하고 흰색의 물체를 놓고 찍어도 회색으로 보일 노출을 설정한다는 뜻이다. 요즘에야 소프트웨어가 발전했으니 나중에 보정하면 된다라고 할 수도 있지만 결과물의 정확성에서는 차이가 있다. 미터의 노출 측정 방식에 따라서도 달라야 하는게 노출 보정 값이다.

3.1. Push & Pull


디지털 카메라가 대세인 요즘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노출 보정 (정확히는 인화 시에 노출보정) 방법이지만 소프트웨어로 노출 보정하는것과 비슷한 필름 사진 인화에 쓰였던 기법이다. 예전 필름 카메라는 필름 감도를 수동으로 설정해야만 했고 사진마다 감도를 바꿀수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노출의 3대 요소중 하나는 미리 정하고 시작하는것이다. 예를들어 주로 풍경 사진이나 인물사진을 찍는 사람이 감도 50 과 100 사이의 필름을 쓰다가 갑자가 빠른 속도의 사진을 찍어야 할때는 800 이상의 빠른 감도의 필름이 필요한데 당장 감도 100 필름으로 찍어야 하는 상황이 나왔다고 가정하자. 100 - 200 - 400 - 800 이니까 100 감도 필름은 800과 세스탑이 차이가 난다. 그러면 셔터 스피드가 1/125 에 찍어야 할 사진도 1/15 에 찍어야 한다. 가만히 있는 피사체는 상관이 없지만 움직이는 피사체는 다른 이야기다. 그렇기에 수동으로 카메라에 800 감도를 놓고 100 감도 필름을 다 찍어버린다. 그리고 인화 할때 세 스탑을 밀어달라고 하는것이다. 이렇게 되면 노출이 세 스톱이나 어두운 원본을 원래 원했던 밝기대로 인화하는 작업이다.
물론 결과물은 제대로 된 노출에서 찍은것과 많은 차이가 있지만 일단 찍기라도 했으니까 다행이다 생각해야 한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200짜리만 찍다가 100 감도 필름으로 바꾼것을 잊고 설정을 안한 상태로 한롤을 다 써버리면 마찬가지로 한 스탑만 푸쉬 해달라고 하면 된다.
물론 반대로 400 감도를 200 감도에서 찍고 당겨 달라고 하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되면 400 감도만의 거칠은 질감을 살려 찍을수 있다.

4. 기타 등등


  • 노출 중에 움직인 물체는 제대로 찍히지 않는다. 하지만 오히려 이를 이용해서 밤중에 별의 움직임이나 도시의 생동감을 찍을 경우, 의도적으로 노출 시간을 늘린다. 그러면 이동한 물체의 잔상이 그대로 찍히게 된다. 고속도로에서 레이저 불빛이 달리거나(…), 밤하늘의 별이 비 오는 것처럼 늘어져 있다면 전부 노출 시간이 길어서 그런 것이다.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별의 궤적 사진도 마찬가지.
  • 초창기의 사진기들은 기술이 부족했기에 노출하는 데 몇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고 한다. 그래서 위처럼 노출 중에 움직이는 물체가 있으면 잔상이 남기는 커녕 아무것도 찍히지 않았다. 그래서 예를 들어 도시의 풍경을 한 번 찍으면 유령도시 사진이 되기 십상이었다. 현대의 사진사들도 의도적으로 노출 시간을 늘려서 유령도시 사진을 연출하기도 한다.
인간의 최초의 사진 중 하나에 속하는 이 사진도 노출 시간이 너무 길어서 이런 모양이 된 것이다. 덕분에 왼쪽에서 노출 시간 내내 구두를 닦고 있던 구두닦이와 그 손님은 최초의 인물 피사체가 되었다고 하기도 한다.
[image] [1]
  • 사진을 조금이라도 깊게 배우고 싶은 사람들이 제일 먼저 거쳐야 하는 난관이다. 조리개, 셔터 속도, 감도의 개념도 아직 이해하지 못했는데 서로 엮이며 오르내리는 것을 보면 정신이 없다. 먼저 조리개, 셔터 속도, 감도에 따라 사진에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공부하고, 그다음에 노출 변화에 대해 공부하면 이해하기 쉽다. 수치 변화는 계속 신경 쓰면서 찍어야 대략적인 개념을 익힐 수 있으며, 이마저도 수개월은 걸릴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말고 계속 신경 쓰면 언젠간 완벽히 숙지하게 된다. 감도를 고정하고(ISO 400 등) 수동 모드로 찍으면 빨리 는다.

[1] 사진은 1838년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가 찍은 사진으로, 은도금을 한 구리판을 이용한 다게레오 타입이라고 불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