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송중수광운

 


1. 개요
2. 구성
3. 바깥 고리


1. 개요


大宋重修廣韻
흔히 줄여서 광운(廣韻)이라고 부른다. 송나라 대중상부 원년(1008) 진팽년(陳彭年)등이 북송 진종의 명을 받아 만든 운서이다. 전체적으로 절운(切韻)의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음계 분류는 대체로 절운을 따랐으나 수록된 자수가 대폭 늘어났고 각각의 글자에 대한 설명이 추가·개정되었다. 운목은 절운과 비교하여 眞운 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諄운으로 분리시키고, 寒운 중 개운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桓운으로 분리시키고,歌운중 개음 [u]가 존재하는 글자를 戈운으로 분리시키고 嚴운의 상성과 거성 儼운과 釅운을 추가해서 총 13운이 증가하여 206운이며, 수록된 글자는 26,194자이다. 사용된 성모는 학설에 따라 다르지만 37성모설부터 51성모설까지 존재한다. [1]
광운이 후대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중고음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운서가 절운인데, 이 책의 원본은 산실되어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광운은 오랜 세월 동안 완정된 절운계 운서 중에서는 그나마 절운에 가까운 운서로 여겨졌다.[2] 또한 후대의 수많은 운서들의 기반이 광운이었기 때문에 중고음 연구에 있어서는 기본이 되는 서적이다. 한국 한자음도 이 광운의 축약본인 운략(韻略)을 재정리한 예부운략이 기반 되었으므로 한국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도 빠질 수가 없는 서적이다. 이 때문에 한국 한자음을 연구하는데도 기본 자료가 된다.[3] 다만 편찬된 시기가 송나라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기반이 된 반절은 절운계 반절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현실 한자음과는 괴리가 있었다. 때문에 광운 이후로는 절운계 운서는 예부운략을 끝으로 더이상 나오지 않았고, 31년 후에는 현실 한자음을 반영한 집운이 편찬된다. 워낙에 큰 영향력을 지닌 운서였기에 송본광운 등의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2. 구성


광운은 우선 사성에 따라 상평성, 하평성, 상성, 거성, 입성의 총 5권으로 나뉜다. 평성의 경우 다른 글자들보다 자수가 많기 때문에 상평성과 하평성으로 나뉘어 있다.
[image]
각 권의 목차에는 운목의 대표자와 번호(파란색), 대표자의 반절(빨간색), 운목의 통용 여부(보라색)[4]가 기재되어 있다. 위 목차에서 東운은 德紅東第一獨用이라고 쓰여 있으니, 東은 'tung'이라고 읽으며 다른 운과 통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 冬운의 경우 鍾同用이라고 쓰여 있으니, 鍾운과 통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각 권의 운목 기재 순서는 같은 운모끼리 평행하도록 되어 있다. 평성의 첫 운에 東운, 상성의 첫 운에 董운, 거성의 첫 운에 送운, 입성의 첫 운에 屋운을 두어 한 꿰미를 맞춰놓은 식. 그러나 평성에서는 刪운→山운인데 입성에서는 黠운(山운에 대응)이 鎋운(刪운에 대응)보다 먼저 오는 등 순서가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운목은 사성이 고루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목차가 뒤로 갈수록 번호가 심하게 어긋나게 된다. 예를 들어 '-ong'에 해당하는 운모는 상성이 없기 때문에[5], 冬·宋·沃의 세 운이 한 꿰미이다.
광운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편의상 운모가 같은 글자들은 같은 열에 배치하며, 순서가 어긋난 부분은 따로 표시한다.
[ 펼치기 · 접기 ] 광운 목차 일람
1. 東
1. 董
1. 送
1. 屋
2. 冬

2. 宋
2. 沃
3. 鍾
2. 腫
3. 用
3. 燭
4. 江
3. 講
4. 絳
4. 覺
5. 支
4. 紙
5. 寘

6. 脂
5. 旨
6. 至

7. 之
6. 止
7. 志

8. 微
7. 尾
8. 未

9. 魚
8. 語
9. 御

10. 虞
9. 麌
10. 遇

11. 模
10. 姥
11. 暮

12. 齊
11. 薺
12. 霽



13. 祭



14. 泰

13. 佳
12. 蟹
15. 卦

14. 皆
13. 駭
16. 怪



17. 夬

15. 灰
14. 賄
18. 隊

16. 咍
15. 海
19. 代



20. 廢

17. 眞
16. 軫
21. 震
5. 質
18. 諄
17. 準
22. 稕
6. 術
19. 臻


7. 櫛
20. 文
18. 吻
23. 問
8. 物
21. 欣
19. 隱
24. 焮
9. 迄
22. 元
20. 阮
25. 願
10. 月
23. 魂
21. 混
26. 慁
11. 沒
24. 痕
22. 很
27. 恨

25. 寒
23. 旱
28. 翰
12. 曷
26. 桓
24. 緩
29. 換
13. 末
27. 刪
25. 潸
30. 諫
15. 鎋
28. 山
26. 產
31. 襉
14. 黠
'''평성(하)'''
'''상성'''
'''거성'''
'''입성'''
1. 先
27. 銑
32. 霰
16. 屑
2. 仙
28. 獮
33. 線
17. 薛
3. 蕭
29. 篠
34. 嘯

4. 宵
30. 小
35. 笑

5. 餚
31. 巧
36. 效

6. 豪
32. 晧
37. 號

7. 歌
33. 哿
38. 箇

8. 戈
34. 果
39. 過

9. 麻
35. 馬
40. 禡

10. 陽
36. 養
41. 漾
18. 藥
11. 唐
37. 蕩
42. 宕
19. 鐸
12. 庚
38. 梗
43. 映
20. 陌
13. 耕
39. 耿
44. 諍
21. 麥
14. 清
40. 靜
45. 勁
22. 昔
15. 青
41. 迥
46. 徑
23. 錫
16. 蒸
42. 拯
47. 證
24. 職
17. 登
43. 等
48. 嶝
25. 德
18. 尤
44. 有
49. 宥

19. 侯
45. 厚
50. 候

20. 幽
46. 黝
51. 幼

21. 侵
47. 寢
52. 沁
26. 緝
22. 覃
48. 感
53. 勘
27. 合
23. 談
49. 敢
54. 闞
28. 盍
24. 鹽
50. 琰
55. 豔
29. 葉
25. 添
51. 忝
56. 㮇
30. 怗
26. 咸
53. 豏
58. 陷
31. 洽
27. 銜
54. 檻
59. 鑑
32. 狎
28. 嚴
52. 儼
57. 釅
33. 業
29. 凡
55. 范
60. 梵
34. 乏

[image]
다음으로 본문을 보자. 제일 먼저 번호(빨간색)가 있고, 그 다음 ○(동그라미, 파란색), 그리고 운목의 대표자(보라색)가 있다. 본문에 나오는 번호는 목차의 번호와 일치한다. ○는 소운(小韻)을 구별하는 기호로, 이 아래에 있는 글자들은 발음(즉 성모+운모+성조)이 완전히 같음을 의미한다. 즉 東·菄·鶇·䍶 등등은 발음이 모두 'tung'으로 같고, 同·仝·童·僮 등등은 발음이 모두 'dung'으로 같다는 뜻이다. 각 글자 밑에 작은 글씨로 쓰여 있는 것은 글자에 대한 해설이다. 여기에 각 소운의 대표자에는 반절 발음(노란색)과 동음자의 수(초록색)가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東 자의 설명에는 德紅切十七이라고 쓰여 있으니, 발음은 'tung'이고 이 책에는 東과 발음이 같은 글자가 17자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어떤 글자들은 두 가지 이상의 음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런 다음자(多音字)에 대해서는 다른 발음(검은색)도 기재되어 있다.

3. 바깥 고리


한자데이터베이스 송본광운[6]
중국철학전자화 위키 송명본 광운
위키문고 사고전서본 광운
韻典網
[1] 가장 적은 37성모설은 현재의 경순음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후치경음(만기 중고음에서는 권설파찰음) 정치음 莊조(莊母,初母,崇母,生母)(俟母의 경우 당대에 이미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고 좀 더 후대에 분화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37성모설은 후자. 38성모설은 전자)가 존재했다는 설이고, 송대에 이미 경순음이 의미분별에 영향을 주었다는 41성모설, 影모등 후음에 2가지가 있었다는 51성모설등이 있다. 다만 광운에서는 37성모설이 일반적이고 집운의 경우는 51성모설이 주류이다. [2] 절운의 당나라 때 판본인 간류보결절운(刊謬補缺切韻)은 20세기가 되어서야 발견되었다.[3] 한국 한자음에 큰 영향을 준 운서로 예부운략, 배자 예부운략, 홍무정운, 삼운통고(예부운략의 축약본) 등이 있는데 이 운서들을 거슬러 올라가면 모두 광운이 나온다.[4] 한시 따위를 지을 때 같은 운으로 취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광운에서 통용되는 운을 한 개의 운으로 취급하면 총 117운이 되는데, 이는 흔히 평수운(平水韻)이라고 하는 106운 체계와 거의 일치한다.[5] 엄밀히 말하면 없는 건 아니다. 다만 여기에 해당 글자수가 매우 적어서, 腫운에다가 수록하고 주석을 따로 달았다.[6] 메인에 있는 운도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데 상성 제55范운과 거성 제60梵위치가 바뀌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