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 포토그래프
창세기전 3: 파트 2의 초필살기 중 하나로, 루시엔 그레이 전용이다.
그야말로 파트 2 최고의 개그. "최고의 작품을 찍어주지."라는 대사를 읊고 카메라형 '''총'''으로 사진을 찍는다. 곧 사진이 인쇄되어서 나오고, 이 사진을 땅에 떨어뜨린 뒤에 '''밟는다'''.
찍힌 사진이 밟힐 때마다 범위 안의 적들에게 대미지가 들어가는데, 정확한 횟수는 사진을 밟는 게 7회, 짓이기는 게 5회, 기합소리와 함께 다시 밟는 게 1회, 합계 '''13회'''다. 이 대미지가 버닝 웜이나 새틀라이트 어택 같이 평타 수준이 아니라, 한 발 한 발이 2000대로 매우 위력적이라는 점, 덤으로 공격 횟수마다 간간히 뜨는 크리티컬까지 생각하면... 졸개는 13회를 다 맞기도 전에 '''100% 사망'''하며, 평소에 루시엔을 열심히 키워놨다면 크로스 인카운터 챕터의 하이델룬조차 한 방에 보낼 수 있다. 아무리 민첩을 올려도 아수라파천무에서도 미스가 나는 이 작품에서 13회라는 경이적인 타격수는 미스를 무의미하게 만들어 거의 유일하게 100% 확정킬을을 낼수있는 무서운 기술이다.[1]
아니... 안 키워도 최강이다. 레벨 20대의 루시엔이 이 기술을 쓰면 60~70대의 아슈레이가 빈사직전에 놓이거나 재수없으면 사망한다(...).
범위는 확산형으로, 진형만 적당히 짜 주면 실질적으로 맵에 존재하는 적의 80% 이상을 범위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강대한 위력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루시엔의 평소 능력치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신경쓰지 않는데, 이는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있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파트 2 시스템상 적의 군단장의 레벨은 아군 에이스 3명의 레벨의 평균과 비슷하게 측정된다. 그런데 파티 이탈이 잦은 편인 루시엔은 나갔다가 들어올 때 능력치의 상승이 없는 대신 레벨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적의 군단장을 죽일 때 막타를 모조리 루시엔이 먹을 경우 '''광렙이 가능하다'''. 게다가 쓸데없는 스킬 찍지 않고 궁극체질로 가는 최단 루트를 밟으면 궁극체질로 전직가능한 레벨 60이 약간만 넘어도 궁극에 갈 수 있다. 그리고 데스 포토그래프를 배우면...... 베라모드와 함께 키운다고 하더라도 리타이어 직전까지 레벨 90대를 보는 것도 가능. 에피소드 5 <뫼비우스의 우주>는 적의 수가 적어서 레벨이 잘 오르지 않기 때문에, 이 정도면 충분히 높은 수치다.
이전 편집본에서는 <정상적으로 길러 사용했을경우 루시엔은 몇 챕터 써 보지도 못 하고 끔살 테크를 타게된다. 그러므로 적당히 사용하자> 라고 적혀져 있었다. 그러나 루시엔이 죽은 이후의 뫼비우스의 우주 에피소드에서 남은 전투는 모두 베라모드만 등장하는 이벤트성 전투이며, 베라모드를 아예 안 키우지 않은 이상 누구나 클리어할 수 있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사실상 루시엔의 필살기는 마지막까지 활용할 수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 마음껏 사용해도 무방하다.
'''유저들이 에피소드 5 멤버 중에서도 능력치가 가장 떨어지는 타키리온 루시엔을 열심히 키우는 가장 큰 이유.''' 압도적인 위력과 개그성이 뛰어난 모션으로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유명하다.'''최고의 작품을 찍어주지!'''
그야말로 파트 2 최고의 개그. "최고의 작품을 찍어주지."라는 대사를 읊고 카메라형 '''총'''으로 사진을 찍는다. 곧 사진이 인쇄되어서 나오고, 이 사진을 땅에 떨어뜨린 뒤에 '''밟는다'''.
찍힌 사진이 밟힐 때마다 범위 안의 적들에게 대미지가 들어가는데, 정확한 횟수는 사진을 밟는 게 7회, 짓이기는 게 5회, 기합소리와 함께 다시 밟는 게 1회, 합계 '''13회'''다. 이 대미지가 버닝 웜이나 새틀라이트 어택 같이 평타 수준이 아니라, 한 발 한 발이 2000대로 매우 위력적이라는 점, 덤으로 공격 횟수마다 간간히 뜨는 크리티컬까지 생각하면... 졸개는 13회를 다 맞기도 전에 '''100% 사망'''하며, 평소에 루시엔을 열심히 키워놨다면 크로스 인카운터 챕터의 하이델룬조차 한 방에 보낼 수 있다. 아무리 민첩을 올려도 아수라파천무에서도 미스가 나는 이 작품에서 13회라는 경이적인 타격수는 미스를 무의미하게 만들어 거의 유일하게 100% 확정킬을을 낼수있는 무서운 기술이다.[1]
아니... 안 키워도 최강이다. 레벨 20대의 루시엔이 이 기술을 쓰면 60~70대의 아슈레이가 빈사직전에 놓이거나 재수없으면 사망한다(...).
범위는 확산형으로, 진형만 적당히 짜 주면 실질적으로 맵에 존재하는 적의 80% 이상을 범위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강대한 위력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루시엔의 평소 능력치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신경쓰지 않는데, 이는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있기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파트 2 시스템상 적의 군단장의 레벨은 아군 에이스 3명의 레벨의 평균과 비슷하게 측정된다. 그런데 파티 이탈이 잦은 편인 루시엔은 나갔다가 들어올 때 능력치의 상승이 없는 대신 레벨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적의 군단장을 죽일 때 막타를 모조리 루시엔이 먹을 경우 '''광렙이 가능하다'''. 게다가 쓸데없는 스킬 찍지 않고 궁극체질로 가는 최단 루트를 밟으면 궁극체질로 전직가능한 레벨 60이 약간만 넘어도 궁극에 갈 수 있다. 그리고 데스 포토그래프를 배우면...... 베라모드와 함께 키운다고 하더라도 리타이어 직전까지 레벨 90대를 보는 것도 가능. 에피소드 5 <뫼비우스의 우주>는 적의 수가 적어서 레벨이 잘 오르지 않기 때문에, 이 정도면 충분히 높은 수치다.
이전 편집본에서는 <정상적으로 길러 사용했을경우 루시엔은 몇 챕터 써 보지도 못 하고 끔살 테크를 타게된다. 그러므로 적당히 사용하자> 라고 적혀져 있었다. 그러나 루시엔이 죽은 이후의 뫼비우스의 우주 에피소드에서 남은 전투는 모두 베라모드만 등장하는 이벤트성 전투이며, 베라모드를 아예 안 키우지 않은 이상 누구나 클리어할 수 있으므로 큰 의미는 없다. 사실상 루시엔의 필살기는 마지막까지 활용할 수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 마음껏 사용해도 무방하다.
[1] 파트2 최소 회피가 5%인데, 전부 다 피할 확률은 1/20^13. 즉 '''1/1경'''에 가까운 수치이다. 물론 아무리 잡몹이라도 서너대정도 맞아야 됨을 고려하면 10회만 피하면 되므로, 안죽을 확률은 1/20^10 대략 1/1조정도로 떨어지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