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티니 가디언즈/무기/보조 무기

 




1. 개요
2. 설명
3. 무기 목록
3.1. 정밀 프레임 (Precision Frame)
3.1.1. 고독 (Lonesome)
3.1.2. 베스티안 왕조 (Vestian Dynasty)
3.1.3. 수수께끼의 뽑기 (Enigma's Draw)
3.2.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3.2.1. 노도 (Drang)
3.2.2. 독수리 (Buzzard)
3.2.3. 번역 이론 (Translation Theory)
3.2.4. 애도 (The Keening)
3.3. 공격적 점발사격 (Aggressive Burst)
3.3.1. 황동 공격 (Brass Attacks)
3.4.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3.4.1. 일곱 번째 세라프 SI-2 (Seventh Seraph SI-2)
3.5. 서로스 속사 (Suros Rapid-Fire)
3.5.1. 얼간이 치료제 (The Fool's Remedy)
3.6. (오몰론) 적응형 프레임 ((Omolon) Adaptive Frame)
3.6.1. 높은 알베도 (High Albedo)
3.6.2. 마지막 춤 (The Last Dance)
3.7. 경이
3.8. 단종된 무기
3.8.1. 개구쟁이-3si (Urchin-3si)
3.8.2. 경멸자에게 당하다 (Death by Scorn)
3.8.3. 공위 기간 XVI (Interregnum XVI)
3.8.4. 균열의 빛 (Breachlight)
3.8.5. 노도(바로크) (Drang (Baroque))
3.8.6. 마지막 군단 (Last of the Legion)
3.8.7. 밀수범의 이야기 (Smuggler's Word)
3.8.8. 살아 있는 망령 (Dead Man Walking)
3.8.9. 살아 있는 망령 XX7463 (Dead Man Walking XX7463)
3.8.10. 선견지명 (Controlling Vision)
3.8.11. 세로형 궤도 QSm (Vertical Orbit QSm)
3.8.12. 수다쟁이 (The Rattler)
3.8.13. 스포일러 주의 (Spoiler Alert)
3.8.14. 애설플라드-D (Athelflad-D)
3.8.15. 에타나-SI4 (Etana-SI4)
3.8.16. 여행자의 심판 5 (Traveler's Judgement 5)
3.8.17. 연합 요구 (Alied Demand)
3.8.18. 이름없는 가을 (Anonymous Autumn)
3.8.19. 잠깐의 최고점 (Swist Solstice)
3.8.20. 절대온도 18도 (18 Kelvins)
3.8.21. 즉결 심판 (A Swift Verdict)
3.8.22. 찬사 SI4 (Eulogy SI4)
3.8.23. 최소한의 거리 (Minimum Distance)
3.8.24. 최후의 순간 (Eleventh Hour)
3.8.25. 최후의 희망 (Last Hope)
3.8.26. 합의에 의한 평화 (Peace by Consensus)
3.8.27. 환영 (The Vision)


1. 개요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보조 무기 목록 및 획득 방법을 서술하는 문서.

2. 설명


보조 무기는 발사 속도가 빠르고 근접전에서 유용하지요. 아주 쓸모가 많습니다.

— 밴시-44

권총(엄밀한 의미의 피스톨)의 외형을 하고 있는 무기군. 전작 데스티니 1에선 특수 화기였으나 본작에선 주 무기로 바뀌었다. 기본적으로 반자동 방식과 점사형 방식이 있으며 완자방 특성이 붙거나 "서로스 속사" 고유 속성을 가진 일부 보조 무기는 완전 자동 사격이 가능하다.
외형상으론 별 거 없어 보이지만 실은 주 무기 최강의 DPS와 PvP TTK를 자랑하는, 근접 화력만 따지자면 단연 으뜸가는 주 무기다. 심지어 딜퍽이 터지면 흰탄 주제에 중화기인 기관총을 잠깐이나마 넘는 DPS가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주 무기 중 사거리가 가장 짧고 사거리 스탯당 올라가는 실제 사거리도 매우 적어 근접전에서밖에 활용할 수 없다. 바꿔 말하면 아래에 있는 모든 프레임들의 사거리 차이 역시 유의미하게 나지 않는다.
보조 무기는 같은 단발 무기인 핸드 캐논이나 정찰 소총보다 연사력이 훨씬 빠르게 잡혀 있고, 프레임에 관계 없이 근거리 화력은 주 무기 중 최강이며, 아무리 사거리를 올려도 교전 거리가 거의 늘어나지 않아 사거리 투자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보조 무기는 DPS나 사거리 같은 수치적 능력치가 아니라 점사 또는 완자동 기능 여부가 무기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단발 사격을 하면 필요한 조작 수가 너무 많아진다는 성능 외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작상 문제점을 해결해주면서도 근접전 능력은 보조 무기와 비슷한 기관단총이라는 좋은 대체재가 있다 보니, 보조 무기는 명확한 장점이 있음에도 많은 유저들에게 외면받아 왔다.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보좆이라는 멸칭으로 불릴 정도. 사거리 내에서의 전투에 효과적인 건 맞지만 이런 역할은 기관단총과 자동 소총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너무 극단적으로 근접전에만 치중한 탓에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근접전 자체가 문제되는 여러 고난도 활동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다행히도 여러 조정을 받고 좋은 특성이 붙는 보조 무기가 많이 출시되며 어느 정도 이 단점은 희석됐으나, 사거리가 극히 짧다는 태생적 문제점은 어쩔 수 없기에 여전히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무기다.

3. 무기 목록



3.1. 정밀 프레임 (Precision Frame)


반동이 수직으로 작용하여 제어하기 쉽습니다.

분당 260발의 연사력에 수직에 가까운 규칙적인 반동과 가장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다. 다만 정밀 프레임이 그렇듯 PC에서는 이 반동이 잘 체감되지 않는다.
정밀 프레임 정찰 소총과 비슷하게 보조 무기 중에서도 특히나 기피받는 무기다. 정밀 프레임의 규칙적인 반동은 PC에서는 큰 장점이 못 되고, 보조 무기는 사거리 스탯당 실제로 올라가는 사거리가 매우 적다 보니 사거리 수치가 높아도 다른 보조 무기와 사거리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쥐꼬리만한 사거리를 대가로 다른 보조 무기보다 전반적인 성능에서 밀리는 비운의 프레임이다.

3.1.1. 고독 (Lonesome)


방랑자 시즌에서 갬빗 프라임 보상으로 추가된 물리 무기. 자격의 시즌까지는 갬빗 프라임이나 결단의 장소 3단계를 완료하면 얻을 수 있었으나 출현의 시즌에서 그림자 엔그램을 통한 파밍이 가능해졌고, 사냥 시즌부터는 월드 드랍 무기가 되었다.

3.1.2. 베스티안 왕조 (Vestian Dynasty)


데스티니 1 시절부터 페트라 벤지가 사용하는 유서 깊은 무기. 포세이큰 캠페인을 클리어한 후 페트라 벤지가 지급한다. 전투력 제한이 1060이라 빛의 저편 이후 콘텐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1.3. 수수께끼의 뽑기 (Enigma's Draw)


1년차의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미래 전쟁 교단과 동맹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물리 무기다. 이후 자격의 시즌에서 월드 드랍으로 복각됐다.

3.2.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분당 300발의 연사력과 평균적인 성능을 가진 보조 무기. 모든 경이 등급의 보조 무기가 이 프레임을 기반으로 한다.
성능 자체는 근접전에서 무난하게 좋으나 보조 무기가 자체적으로 완자동 사격을 지원하지 않다 보니 초당 5발이라는 상당한 연사력을 반자동으로 소화해야 한다.

3.2.1. 노도 (Drang)


네소스에서 퀘스트를 깨면 걸작 업그레이드가 된 상태로 지급해주는 무기. 높은 연사력과 넉넉한 탄창을 가지고 있다
물리 경이 아이템인 질풍과 같이 사용할 경우 두 무기 중 하나로 적을 처치할 경우 서로가 서로의 탄창을 채워 주기 때문에 잡몹전에서의 지속 화력은 준수한 편이다. 하지만 질풍과 노도 둘다 개별적으로 쓰기엔 성능이 떨어진다. 보통 질풍 촉매제 조건 완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잘 사용하지 않는다.

3.2.2. 독수리 (Buzzard)


서광의 시즌 선봉대 의식 무기. 본래는 자발라에게 입수 퀘스트를 받을 수 있었으나 빛의 저편 이후로는 잃어버린 빛의 기념비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전투력 제한이 1260이라 선택받은 자 시즌 이후 콘텐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연장 총열과 합금 탄창이 고정으로 달리며, 무법자/정밀한 환불, 삼투력/무뢰한을 선택할 수 있다.

3.2.3. 번역 이론 (Translation Theory)


꿈의 도시에서 활동을 완료하면 얻을 수 있는 태양 무기. 획득은 가능하지만 전투력 제한이 1060이라 빛의 저편 이후 콘텐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2.4. 애도 (The Keening)


선택받은 자 시즌에서 시련의 장 보상으로 추가된 전기 무기.

3.3. 공격적 점발사격 (Aggressive Burst)


2발의 탄약을 점발사격하여 큰 타격을 줍니다.

분당 325발의 연사력으로 2점사를 가한다. 파동 소총의 공격적 점발사격과 함께 포세이큰에서 추가되었다.
2점사 공격 방식 덕에 필요한 실제 조작 수가 낮아, 보조 무기 중에서는 제법 많이 쓰이는 프레임이다. 큰 의미는 없지만 사거리도 보조 무기 치고는 적당히 긴 편이다.

3.3.1. 황동 공격 (Brass Attacks)


선택받은 자 시즌 패스로 획득할 수 있는 공허 무기. 시즌 등급 45를 달성하면 처음 얻을 수 있다.
4퍽에 광란, 모위하, 광폭등의 성능 좋은 딜퍽이 달리고
3퍽에도 좋은 유틸퍽들이 달린다.
특히 빛의저편으로 오면서 수가 많이 적어진 공허무기라는점도 좋다.

3.4.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조작성이 탁월합니다. 이 무기를 장착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분당 360발의 연사력과 높은 조준 지원, 이동 속도 보너스를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의 문제점은 분당 360발, 즉 초당 6발이라는 연사력을 가졌음에도 완자동 사격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초당 6번의 속도로 마우스를 광클해야 하는데 성능은 둘째치고 손가락의 피로가 극심해진다. 완자방을 붙이지 않는다면 현실적으로 무기 성능을 온전히 끌어낼 수 없는 거나 다름없으니 웬만하면 완자방을 고정으로 넣는 게 권장된다.

3.4.1. 일곱 번째 세라프 SI-2 (Seventh Seraph SI-2)


자격의 시즌에 추가된 공허 무기. 이오에 있는 세라프 벙커에서 라스푸틴 무기 현상금을 통해 얻거나 전설 잊혀진 구역, 세라프 탑 공개 이벤트를 완료하고 열 수 있는 라스푸틴 보상 상자에서 무작위로 얻을 수 있었다. 매일 달라지는 라스푸틴의 세라프 무기 판매 대상으로 선정될 경우 전설 조각과 전쟁지능 조각을 들여서 1회에 한해 확정 획득할 수도 있었다. 이후 사냥 시즌에서 월드 드랍으로 복각됐다.

3.5. 서로스 속사 (Suros Rapid-Fire)


자동 발사되며,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분당 450발의 연사력을 가지며 보조 무기 중 유일하게 완자동 사격을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자체 성능은 뛰어나나 해당하는 무기가 얼마 없고 파밍 수단도 많지 않다.

3.5.1. 얼간이 치료제 (The Fool's Remedy)


강철 깃발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태양 무기. 원래는 1년차 강철 깃발 보상으로 한동안 입수 불가능했으나 출현의 시즌에서 재등장했다.
무기명이 오역이다. 원문의 Fool은 얼간이가 아니라 어리석은 자를 뜻한다. 무기 설명에 어리석은 자의 잘못을 고치던 니르웬을 추모하며 만든 무기라고 나와 있다. 정역은 어리석은 자의 치료제.

3.6. (오몰론) 적응형 프레임 ((Omolon) Adaptive Frame)


균형 잡히고 안정적입니다. 3발의 탄약을 점발사격합니다.

분당 491발의 연사력으로 3점사를 가한다. 공점발 보조 무기와 비슷한 이유로 보조 무기 중에서는 선호도가 높은 프레임이다.

3.6.1. 높은 알베도 (High Albedo)


빛의 저편에서 추가된 물리 무기. 유로파에서 활동을 완료하거나 바릭스에게 받을 수 있는 무기 퀘스트를 통해 입수할 수 있다.

3.6.2. 마지막 춤 (The Last Dance)


1년차 공격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던 태양 무기. 무법자 시즌에서는 무작위 특성을 붙여 다시 출시됐고, 풍요의 시즌부터는 전시장 파밍이 가능해졌다. 이후 출현의 시즌에서는 택갈이를 하여 월드 드랍 무기가 됐다.

3.7. 경이



3.7.1. 악마의 몰락



3.7.2. 쥐의 왕



3.7.3. 여행자에게 선택받은 자



3.8. 단종된 무기


해당 무기들은 입수가 불가능하며, 전투력 제한으로 인해 최신 콘텐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8.1. 개구쟁이-3si (Urchin-3si)


필드나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무기명이 오역이다. 독이나 날카로운 가시나 이빨을 가진 생물들에서 이름을 따오는 바이스트의 특성 상 Urchin은 개구쟁이가 아니라 성게로 번역되어야했다. 정역은 '''성게-3si'''

3.8.2. 경멸자에게 당하다 (Death by Scorn)


경멸자 남작을 처치하거나 거미의 주간 현상금 보스를 처치하면 나온다.

3.8.3. 공위 기간 XVI (Interregnum XVI)


1년차의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신 군주국과 동맹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무기다. 지금은 입수 불가능.

3.8.4. 균열의 빛 (Breachlight)


서광의 시즌에서 뒤엉킨 해안 오벨리스크를 해시계에 연결하면 해시계 보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해당 오벨리스크에서 무기 현상금을 통해 얻을 수도 있었다.

3.8.5. 노도(바로크) (Drang (Baroque))


질풍과 짝을 이루는 노도를 칼루스가 개조한 물건. 무뢰한과 완자방이 붙을 수 있어 유용해졌다.

3.8.6. 마지막 군단 (Last of the Legion)


별의 탑 레이드에서 보상으로 나오는 "적응형 프레임" 보조무기. 말만 적응형 프레임이지 사실 에너지 무기의 오몰론 적응형 프레임을 물리로 복붙한 무기다. 다만 퍽조합이 참선/야심암살 - 완자방 이라 별 쓸모는 없다.

3.8.7. 밀수범의 이야기 (Smuggler's Word)


포세이큰에 추가된 공격적 프레임 랜덤퍽 보조무기. 아래의 고독과 함께 물리 보조무기중 단 둘밖에 없는 랜덤퍽 무장중 하나로, 기본 사거리가 55로 훌륭한 편[1]이고 다소 낮은 안정성과 2점사로부터 오는 힘든 연속 헤드타격은 규칙적인 직선 반동방향과 82라는 높은 에임어시 수치로 커버하며, 무엇보다 2점사라 실제 클릭속도는 분당 160번으로 완자방이 필요없는 매우 훌륭한 무장. 랜덤퍽으로 무법자-광란을 띄울수 있어 PvE 주무장으로 훌륭하다. 기관단총이 손에 안맞는데 비슷한 성능의 무기가 필요하다면 추천되는 무기 1순위.

3.8.8. 살아 있는 망령 (Dead Man Walking)


필드나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9. 살아 있는 망령 XX7463 (Dead Man Walking XX7463)


1년차 무기였던 살아 있는 망령을 검은 무기고의 기술로 개조한 무기. 대장간 방해꾼이나 대장간 클리어에서 랜덤으로 나온다.

3.8.10. 선견지명 (Controlling Vision)


1년차의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죽은 궤도와 동맹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무기다. 지금은 입수 불가능.

3.8.11. 세로형 궤도 QSm (Vertical Orbit QSm)


필드나 총기 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12. 수다쟁이 (The Rattler)


이름은 수다쟁이지만 소음기가 달려있는 보조무기. 특유의 쏘는 맛이 좋지만 사거리가 짧아 정밀 조준 탄약 퍽이 강제된다. 빠르게 뽑아 쓸 수 있는 보조무기류 중에서도 특히나 경량 프레임과 높은 조작성으로 인해 뽑는 속도와 정조준 속도가 월등히 좋다. 또, 재장전 속도도 빠른데 살상탄창이 달려있기에 의외로 딜도 좋은 편으로 확실히 보조무기의 정석같은 느낌이 드는 무기. 무기명이 오역이다. 독이나 날카로운 가시나 이빨을 가진 생물들에서 이름을 따오는 바이스트의 특성 상 Rattler는 수다쟁이가 아니라 방울뱀으로 번역되어야했다. 정역은 '''방울뱀'''.

3.8.13. 스포일러 주의 (Spoiler Alert)


선봉대 1년차 랜덤 무기다. 현재 입수 불가능.
여담으로 의도한지는 모르겠지만 무기 설명에 진짜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다.[2]

3.8.14. 애설플라드-D (Athelflad-D)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15. 에타나-SI4 (Etana-SI4)


필드나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16. 여행자의 심판 5 (Traveler's Judgement 5)


수성에서 예언 5를 끝내면 보상으로 나온다. 이후 서광의 시즌 프랙탈린 기부를 통해 랜덤롤을 뽑을수 있게 되면서 이 시기에 파밍을 해놨다면 전투력 주입제한이 걸리는 시점까지는 요긴하게 써먹을 훌륭한 보조무기다. 스탯을 보면 알겠지만 보조무기 군에서 총열과 탄창을 통해 사거리가 거의 최대를 찍을수 있는 놈이고, 3점사라는 이점과 적은 반동, 높은 dps로 어느 정도 거리 내에서 오히려 기관단총보다 더 빠르게 잡몹 처리를 보여준다. 보조무기로 리더나 보스급 몹을 상대하는 일이 잘 없다는 특성 상 어중간하게 있는 딜퍽보다는 잠자리를 채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이다.

3.8.17. 연합 요구 (Alied Demand)


1년차의 강철 깃발 보상으로 현재 입수 불가능하다.

3.8.18. 이름없는 가을 (Anonymous Autumn)


시련의 장 보상이다.

3.8.19. 잠깐의 최고점 (Swist Solstice)


시즌 2의 시련의 장 보상 중 하나로 현재 입수 불가능하다.

3.8.20. 절대온도 18도 (18 Kelvins)


슬리퍼 노드에서 나오는 브레이테크 설계도에서 나온다.

3.8.21. 즉결 심판 (A Swift Verdict)


1년차의 이벤트였던 아홉의 시련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무기다. 번지가 아홉의 시련이 돌아오지 않는다고 못 박았기에 1년차에 얻지 않았으면 영원히 못 얻는 무기다.

3.8.22. 찬사 SI4 (Eulogy SI4)


필드나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23. 최소한의 거리 (Minimum Distance)


필드나 총제작자 보상에서 나오는 1년차 랜덤 무기다.

3.8.24. 최후의 순간 (Eleventh Hour)


1년차의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죽은 궤도와 동맹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무기다. 지금은 입수 불가능.

3.8.25. 최후의 희망 (Last Hope)


포세이큰 시즌 이전까진 TTK 속도가 가장 높은 보조무기로 이름을 날렸던 무기.
섀도우킵 서광의 시즌부터 광란이나 다중 처치 탄창 달리는 오몰론 적응형 프레임 보조무기가 되었다. 이 때문에 보조무기군 중 평가가 좋은 편이다.

3.8.26. 합의에 의한 평화 (Peace by Consensus)


1년차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시즌 2에 한 캐릭터로 모든 세력과 한번씩 동맹을 맺으면 세 세력 중 동맹하고 있는 세력의 앤그렘에서 드랍된다.
여담으로 번역명에 약간 오역이 있는데 원문의 Consensus는 합의가 아니라 의회를 뜻한다. 원문의 뜻을 따른 번역은 '''의회에 의한 평화'''.

3.8.27. 환영 (The Vision)


1년차의 이벤트였던 팩션 랠리에서 미래 전쟁 교단과 동맹한 상태에서 얻을 수 있었던 무기다. 지금은 입수 불가능.

[1] 부품과 걸작으로 80까지 끌어올릴수 있다. 이정도 되면 경량 핸드캐논 수준의 사거리가 나온다.[2] '''"누군가 죽을 거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