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 무아브르 공식
1. 개요
''' ''de Moivre’s formula'' '''$$\left(\cos\theta+i\sin\theta\right)^{n}=\cos n\theta+i\sin n\theta$$
$$[ \mathrm{cis}(x) ]^n = \mathrm{cis}(nx)$$[1]
오일러 공식에서 유도되는, 절대값이 1인 복소수의 '''실수지수 거듭제곱'''을 단순화시켜주는 공식이다.[2]
또한 이 공식에 따라 허수지수함수는 반쌍형성[3] 을 띤다.
2. 지수의 확장에 따른 드 무아브르 공식의 증명
증명 과정은 먼저 수학적 귀납법으로 자연수 지수에 대해서 증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정수 지수, 유리수 지수에 대해서 증명하고 마지막으로 실수의 완비성을 이용해 실수 지수에 대해서 증명한다.
이 전제를 토대로,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한다.'''전제'''
정수론에서, 정수의 집합 $$\mathbb{Z}$$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①. 자연수 집합 $$\mathbb{N}:=\{n|n\in\mathbb{N}\}=\mathbb{Z^{+}}$$
※자연수 집합은 페아노 공리계를 만족하는 최소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자세한 내용은 자연수 항목 참조.
②. 음의 정수 집합 $$\mathbb{Z^{-}}:=\{-n|n\in\mathbb{N}\}$$
※음의 정수는 덧셈에 대한 역원이 자연수 집합에 속해있는 모든 수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③. 덧셈의 항등원 집합인 $$\{0\}$$
→ 정수의 집합 $$\mathbb{Z}:=\mathbb{Z^{+}}\cup\{0\}\cup\mathbb{Z^{-}}$$
2.1. 정수
2.1.1. 자연수(양의 정수)
즉, $$k$$에서 성립할 때, $$\left(k+1\right)$$에서도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이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해서 항상 성립한다. 이로써 자연수(=양의 정수) 지수에서 드 무아브르 공식이 성립함을 증명했다.
2.1.2. 0
$$\left(\cos\theta+i\sin\theta\right)^{n}=\cos \left (n\theta \right)+i\sin \left(n\theta\right)$$에서, $$n=0$$일 때
좌변은 $$\left(\cos\theta+i\sin\theta\right)^{0}=1$$이며
우변은 $$\cos \left(0\theta\right)+i\sin \left(0\theta\right)=1+0i=1$$이므로 자명하다.
2.1.3. 음의 정수
$$a^{-b}=\displaystyle{\frac{1}{a^{b}}}$$라는 것과 $$\cos(\theta)-\sin(\theta)=\cos(-\theta)+\sin(-\theta)$$라는 것을 기억하자.
이제, 음의 정수 $$k$$에 대해서, $$k=-t$$가 되는 양의 정수 $$t$$를 생각하면, 자연수 지수에서의 드 무아부르 정리에 의해
$$\left(\cos\theta+i\sin\theta\right)^{k}=\left(\cos\theta+i\sin\theta\right)^{-t}=\displaystyle{\frac{1}{\left(\cos\theta+i\sin\theta\right)^{t}}}=\displaystyle{\frac{1}{\cos \left( t\theta \right) +i\sin \left( t\theta \right) }}$$가 된다.
이제 이 식을 실수화 시키기 위해 분자와 분모에 $$\cos \left ( t\theta \right)-i\sin \left(t\theta \right) $$를 곱하자. 이는 $$\cos \left( t\theta\right)+i\sin \left(t\theta \right)$$의 켤레 복소수이다.
$$\displaystyle{\frac{\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left(\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right)\cdot\left(\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right)}}=\displaystyle{\frac{\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cos^{2} \left(t\theta\right)+\sin^{2} \left(t\theta\right)}}=\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가 된다.[4]
이 때, $$\cos \left(t\theta\right)-i\sin \left(t\theta\right)=\cos\left ( -t\theta \right )+i\sin\left ( -t\theta \right )=\cos \left(k\theta\right)+i\sin \left(k\theta\right)$$가 되어, 음의 정수 지수에서도 성립함을 증명했다.
이로써 자연수(=양의 정수), 0, 음의 정수 지수에서 모두 성립하므로, 정수 지수에서 드 무아브르 공식이 성립함을 증명했다.
2.2. 실수
2.2.1. 유리수
2.2.2. 무리수
전제1. 실수의 완비성
수직선상에 위치한 어떤 수라도, 그 수를 향해 수렴하는 단조 증가, 혹은 단조 감소 유리수열을 만들 수 있다.
※예시
$$\sqrt{2}=1.414213\cdots$$라는 무리수가 존재한다면, 이런 수열을 만들 수 있다.
$$1, 1.4, 1.41, 1.414, 1.4142, 1.41421, 1.414213, \cdots$$
$$\displaystyle{\frac{a}{b}}$$라는 유리수가 존재한다면 이런 수열을 만들 수 있다.
$$a_{n}=\displaystyle{\frac{a}{b}-10^{-n}}$$
이로써 유리수, 무리수 지수에서 모두 성립하므로, 실수 지수에서 드 무아부르 공식이 성립함을 증명했다.전제2. 지수함수의 무리수지수 정의
$$a^{b}$$라는 수가 주어졌을 시, $$b$$가 무리수라면, 이 $$b$$를 향해 수렴하는 단조증가/단조감소 수열 $$u_{n}, l_{n}$$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displaystyle{\lim_{n \to \infty}a^{u_{n}}}=\displaystyle{\lim_{n \to \infty}a^{l_{n}}}$$로 극한값은 하나의 값으로 수렴하여, 이 수렴되는 극한값이 바로 $$a^{b}$$라고 정의된다.
즉, 실수의 완비성에 의하여 모든 실수 지수에서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Q.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