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네르헤임가

 

1. 개요

Mannerheim.

1. 개요


독일스웨덴-핀란드 귀족가문. 만네르헤임 남작가와 만네르헤임 백작가가 있다.
함부르크 출신의 제분업자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 1618년–1667년)이 시조다. 마르하인은 스웨덴으로 이주했고, 그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이 1693년 스웨덴에서 평귀족 작위를 받으면서 성을 스웨덴식으로 "만네르헤임"으로 갈았다. 아우구스틴의 아들 요한 만네르헤임이 1768년 남작으로 승격되었다. 만네르헤임 남작가는 1818년 스웨덴의 식민지였던 핀란드로 이주해 정착했고, 만네르헤임 남작가는 핀란드 기사원(핀란드의 4부 신분제 국회의 귀족부) 18번 의석을 가졌다.
만네르헤임 백작가는 만네르헤임 남작가의 분가다. 전쟁영웅이자 국부 취급을 받는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이 이 계통이다. 요한 만네르헤임의 아들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남작은 1788년 아날라 음모사건에 가담하여 구스타브 3세에게 반역했다. 음모가 진압된 뒤 칼 에리크 남작은 사면을 받고 1795년 스웨덴의 본가보다 먼저 핀란드로 건너가 거기서 경제인 활동을 했다. 핀란드 전쟁으로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에 넘어가자 칼 에리크는 초대 원로원 재무부부장(핀란드의 총리의 전신)을 역임했다. 1824년 칼 에리크 남작은 알렉산드르 1세에게 백작으로 승격을 받았고, 만네르헤임 백작가는 기사원 8번 의석을 가졌다. 만네르헤임 백작 작위는 장남에게만 계승되며, 차남 이하의 자식들은 남작 작위를 받았다.
만네르헤임 백작가의 족보는 대략 다음과 같다.
  •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1759년–1837년): 정치인. 제1대 원로원 재무부부장.
  • 벤들라 소피아 만네르헤임(1779년–1863년):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의 부인.
    •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백작(1797년-1854년): 정치인, 곤충학자.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의 아들.
      •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1835년-1914년): 사업가.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백작의 아들.
      • 소피에 만네르헤임(1863년–1928년): 간호인.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의 딸.
      • 칼 에리크 요한 만네르헤임 백작(1865년-1915년): 사업가.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의 장남.
      • 아이나 만네르헤임(1869년–1964년): 성악가. 칼 에리크 요한 만네르헤임 백작의 부인.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1867년–1951년): 제6대 핀란드 대통령.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의 아들.
      •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만네르헤임(1872년–1936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의 첫 번째 부인.
        • 아나스타시에 만네르헤임(1893년–1978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과 아나스타시야 만네르헤임의 딸.
        • 소피아 만네르헤임(1895년–1963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과 아나스타시야 만네르헤임의 딸.
      • 요한 만네르헤임 남작(1868년-1934년): 사업가.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의 아들.
        •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 남작(1915년-2011년): 스웨덴 작가. 요한 만네르헤임 남작의 아들.
      • 에바 만네르헤임스파레(1870년-1958년): 작가. 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