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월경

 

진료과
산부인과
관련증상
무월경
관련질병
호르몬 장애, 갑상샘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종양
'''Amenorrhea'''
1. 원발성 무월경(primary amenorrhea)
1.1. 진단 및 치료
2. 속발성 무월경(secondary amenorrhea)
2.1. 진단 및 증상


1. 원발성 무월경(primary amenorrhea)


이는 여성이 월경을 한번도 겪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만 14세 이후에도 이차 성징(secondary sexual development)을 겪지 않은 여성이나, 만 16세 이후에 이차 성징은 '''보여지나''' 월경(menstruation)을 하지 않는 경우, 좀 더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다.
원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다양하다.

1.1. 진단 및 치료


정확한 원인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매우 중요하다.
  • 유방(breast)의 발달 - 여성의 유방은 여성호르몬(estrogen)에 의해 발달하게 되어, 유방을 발달을 살펴보아 여성호르몬 수치를 대략적으로 파악할수 있다. 만일 유방이 발달하지 않은 경우, 여성호르몬 수치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 자궁(uterus)의 유무 - 초음파검사(US)를 통해 자궁을 검사해 자궁 기형 등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통해 진단을 내리게 된다.
  • 유방(breast)의 발달과 자궁(uterus)이 보여질 경우
    • 가장 흔히 처녀막 폐쇄증(imperforate hymen)으로 인해 무월경이 발생하게 된다. 그 외 과다한 운동(excess exercise), 거식증(anorexia) 및 첫 월경 전 임신을 의심할 수 있다.
    • 위의 원인을 배제하였을 경우, 속발성 무월경(secondary amenorrhea)을 의심하게 된다.
  • 유방(breast)의 발달, 자궁(uterus)이 보여지지 않을 경우
    • 전체적으로 뭘러리안 증후군(Mullerian agenesis)와 안드로겐 무감응 증후군을 의심하게 된다. 이 경우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수치와 핵형(karyotype)을 검사하게 된다.
    • 뭘러리안 증후군(Mullerian agenesis)은 46 XX 핵형의 여성에게서, 특발적인 원인으로 인해 뭘러리안 관이 발달하지 않아, 난관(fallopain tubes), 자궁(uterus), 자궁(cervix) 및 질상부(upper vagina)가 보여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 난소(ovary)의 기능은 보여지기에 정상적인 음모(pubic)와 겨드랑이 털(axillary hair)이 보여지게 된다.
      • 남성호르몬(testosterone) 수치는 여성 기준 정상치가 보여지게 된다.
      • 치료는 외과적 수술을 통해 질(vaginal elongation)을 늘려, 후에 성관계에 지장이 가지 않게 한다. 임신은 가능하지 않다.
    • 안드로겐 무감응 증후군(AI)은 46 XY의 남성에게서, 태아의 생식기관 발달 시에 수용체 장애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 전체적으로 무월경이 발생하며, 여성의 이차 성징(female secondary sexual)이 보여지게 된다. 하지만 음모 및 겨드랑이 털은 보여지지 않으며, 남성호르몬(testosterone) 수치는 남성 기준 정상치가 보여지게 된다.
      • 치료는 고환을 만 20세 쯤 제거하게 된다. 그대로 둘 경우 고환암(testicular cancer)이 발병할수 있다.
  • 유방(breast)이 발달하지 않음, 자궁(uterus)이 보여질 경우
    • 흔히 생식선발장애(gonadal dysgenesis)나 시상하부-뇌하수체 장애(hypothalamic-pituitary insufficiency)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FSH 수치와 핵형(karyotype)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 터너 증후군으로 45 XO의 핵형이 발견될 경우. 특징적으로 선성선(streak gonads)이 보여지며, FSH 수치 증가가 발견된다. 여성 이차 성징 역시 보여지지 않는다.
      • 치료는 Estrogen과 Progesterone을 투여해 이차 성징을 유도하게 된다.
    • 시상하부-뇌하수체 장애(hypothalamic-pituitary insufficiency)는 특징적으로 FSH 수치 저하가 보여지게 된다. 흔히 Kallman Syndrome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GnRH 생성 부전과 후각소실(anosmia)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이 경우 MRI를 시행하여 뇌종양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 치료는 Estrogen과 Progesterone을 투여하 이차 성징을 유도하게 된다.

2. 속발성 무월경(secondary amenorrhea)


이는 여성이 3개월 이상 월경을 하지 않을 경우를 의미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속발성 무월경이 발생하게 된다. FSH 및 LH 호르몬 수치 변화에 따른 병리는 다음과 같다.
  • 저생식샘자극호르몬(hypogonadotropic) - 이는 뇌하수체(pituitary) 및 시상하부(hypothalamus)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특징적으로 FSH 및 LH 수치 저하가 보여진다.
  • 고생식샘자극호르몬(hypergonadotropic) - 이는 난소부전(ovarian failure)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FSH 및 LH 수치 증가가 보여지고 Estrogen 수치 저하가 관찰된다.
  • 정상적인 생식샘자극호르몬(eugonadotropic) - 이는 임신, 무배란증(anovulation) 혹은 자궁의 이상으로 인해 무월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위의 병리를 통해, 속발성 무월경을 일으키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 임신
  • 무배란증(anovulation) - 이는 황체(corpus luteum)이 생성되지 않아 Progesterone 호르몬이 신체에서 만들어 지지 않으면서 무월경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저항성 여성호르몬(estrogen)이 특징적으로 발견되게 된다. 또한 한동안은 무월경(amenorrhea)이 발생하다가 불규칙적으로 기능성 자궁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 여성호르몬(estrogen) 결핍 - 시상하부-뇌하수체 장애(hypothalamic-pituitary insufficiency) 등으로 인해
  • 유출관 장애(outflow tract obstruction)

2.1. 진단 및 증상


속발성 무월경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가장 먼저 다음과 같은 검사법을 시행하게 된다.
  • 임신 테스트 - hCG 수치 검사를 시행한다.
  • TSH 수치 검사 - 이를 통해 갑상샘 기능 저하증을 확인하게 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경우, TRH라는 호르몬 수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 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Prolactin 수치를 증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Prolactin 수치가 증가할 경우, GnRH 성 호르몬 수치 저하가 발생하게 되어 무월경이 발생하게 된다.
  • 프로락틴(prolactin) 수치 검사
    • 다양한 약물(항우울제 및 항정신제) 등으로 인해 도파민(dopamine) 수치 저하가 발생할 경우, 고프로락틴혈증이 보여지게 된다.
    •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해 고프로락틴혈증이 보여질 경우 - MRI를 시행하게 된다.
    • 특발적(idiopathic)인 경우
위의 검사에 모두 정상적인 결고가 보여질 경우, Progesterone IM을 이용한 검사법을 시행하게 된다(PCT).
  • Progesterone을 투여한 후 몇일 이내에 환자가 월경을 시작할 경우, 무배란증(anovulation)을 확진할수 있다. 이런 환자의 경우, 꾸준히 Progesterone을 투여하여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을 예방하게 되며, 임신을 원할 경우 Clomiphene Ovulation Induction을 사용한다.
  • 이 검사에 음성(negative) 반응이 보여질 경우, EPCT법을 시행하게 된다.
EPCT 검사법은 여성호르몬(estrogen)을 21일간 투여한 후 7일간 progesterone을 투여하는 방법이다.
  • 그 후 몇일 이내에 환자가 월경(menstruation)을 시작할 경우, 이는 전체적인 여성호르몬(estrogen) 결핍으로 인한 무월경으로 확진하게 된다. 그 후 FSH 수치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 FSH 수치 증가가 보여질 경우 - 난소 부전(ovarian failure)으로 인한 무월경. 주로 만 25세 이전의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Savage Syndrome과 연관 깊다고. 이는 난소(ovary)가 초음파검사(US)에 보여지나 성호르몬(gonadotropic)에 반응하지 않는것이 특징적으로 발견된다.
    • FSH 수치 저하가 보여질 경우 - 시상하부-뇌하수체 장애(hypothalamic-pituitary insufficiency)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즉시 뇌 MRI를 시행하여 뇌종양의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이런 형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osteoporosis) 발병률이 높다. 거식증(anorexia) 환자나 과도한 운동을 하는 여성에게서도 이러한 결과가 보여지게 된다.
  • EPCT 검사법에 음성(negative) 결과가 보여질 경우, 유출관 장애(outflow tract obstruction)이나 자궁내막 상처(endometrial scarring)에 의해 무월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특히 내막상처는 Asherman Syndrome이라고 하며, 이는 소파술(curretage)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게 된다. 외과적 시술을 통해 유착부분을 제거해 완치할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