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1. 개요
문재인 정부 기간 동안의
대한민국의 경제지표의 상태를 다룬다.
- GDP성장률(단위: %, 2015년 연쇄가격 기준)
연도
| 2017
|
| +0.5 ,(+2.8),
| +1.5 ,(+3.9),
| -0.1 ,(+2.8),
| +3.2
|
2018
| +1.0 ,(+2.8),
| +0.6 ,(+2.9),
| +0.5 ,(+2.1),
| +0.9 ,(+2.9),
| +2.7
|
2019
| -0.4 ,(+1.7),
| +1.0 ,(+2.0),
| +0.4 ,(+2.0),
| +1.2 ,(+2.2),
| +2.0
|
2020
| -1.3 ,(+1.4),
| -3.2
| 2.1
|
|
|
민간소비
| 정부소비
| 건설투자
| 설비투자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재고증감
| 수출
| 수입
|
2017
| +3.2
| +2.8
| +3.9
| +7.3
| +16.5
| +6.5
| +0.4
| +2.5
| +8.9
|
2018
| +2.7
| +2.8
| +5.6
| -4.3
| -2.4
| +2.2
| +0.2
| +3.5
| +0.8
|
2019
| +2.0
| +1.9
| +6.5
| -3.3
| -8.1
| +2.7
| +0.3
| +1.5
| -0.6
|
연도
| 1인당 GNI ,(명목, 원계열),
| 성장률 ,(실질, 전년대비),
|
2017
| 3,588.60
| 31,734.10
| +3.3
|
2018
| 3,693,00
| 33,563.70
| +1.6
|
2019
| 3,743,50
| 32,114.90
| +0.1
|
[image] [1]위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경기선행지수, 경기후행지수, 경기동행지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image] [2]위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경기선행지수, 경기후행지수, 경기동행지수의 전월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7.05
| 100.0
| 99.6
| 100.6
|
2017.06
| 100.1
| 99.7
| 100.5
|
2017.07
| 100.1
| 99.8
| 100.4
|
2017.08
| 100.1
| 99.8
| 100.2
|
2017.09
| 100.1
| 99.9
| 100.0
|
[3] OECD 발표: 17.12.11,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7.12.15,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7.10
| 100.1
| 99.7
| 100.3
|
2017.11
| 100.2
| 99.6
| 100.1
|
2017.12
| 100.2
| 99.5
| 100.0
|
2018.01
| 100.1
| 99.5
| 99.8
|
2018.02
| 100.1
| 99.5
| 99.8
|
[4] OECD 발표: 18.04.10,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8.04.13,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8.04
| 100.0
| 99.5
| 99.8
|
2018.05
| 99.9
| 99.5
| 99.6
|
2018.06
| 99.8
| 99.6
| 99.4
|
2018.07
| 99.7
| 99.6
| 99.3
|
2018.08
| 99.6
| 99.7
| 99.2
|
[5] OECD 발표: 18.10.08,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8.10.12,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8.09
| 99.7
| 99.2
| 99.0
|
2018.10
| 99.5
| 99.2
| 98.9
|
2018.11
| 99.4
| 99.2
| 98.9
|
2018.12
| 99.2
| 99.2
| 98.9
|
2019.01
| 99.1
| 99.1
| 99.0
|
[6] OECD 발표: 19.03.11,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9.03.16,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9.02
| 99.3
| 99.2
| 99.2
|
2019.03
| 99.2
| 99.2
| 99.1
|
2019.04
| 99.2
| 99.2
| 99.0
|
2019.05
| 99.1
| 99.3
| 98.9
|
2019.06
| 99.1
| 99.3
| 98.8
|
[7] OECD 발표: 19.08.09,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9.08.09,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9.07
| 99.2
| 99.2
| 98.9
|
2019.08
| 99.2
| 99.2
| 98.9
|
2019.09
| 99.2
| 99.2
| 98.9
|
2019.10
| 99.2
| 99.2
| 99.0
|
2019.11
| 99.3
| 99.2
| 99.1
|
[8] OECD 발표: 20.01.17,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20.01.17, #
|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2019.12
| 99.5
| 98.8
| 99.5
|
2020.01
| 99.5
| 98.7
| 99.6
|
2020.02
| 99.4
| 91.6
| 99.7
|
2020.03
| 98.0
| 95.7
| 99.8
|
2020.04
| 95.8
| 95.4
| 99.9
|
[9] OECD 발표: 20.05.18,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20.05.18, #
|
위는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가 발표한 OECD 경기선행지수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 전산업생산지수(2015=100, %, 원지수)
- 경제심리지수(ESI), 소비자심리지수(CSI)
1.4. 소득, 분배
1.4.1. 소득 5분위별 소득
- 가계동향조사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별 가계 소득(단위: 천원, %, 전년동분기 대비)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2018 1/4
| 829.8
| 0.0
| 1,574.6
| +2.3
| 2,135.0
| +3.9
| 2,855.2
| +7.2
| 4,933.1
| +11.2
| 2,466.3
| +7.0
|
2018 2/4
| 849.6
| -0.4
| 1,567.5
| +1.4
| 2,090.9
| +4.0
| 2,753.2
| +7.3
| 4,443.3
| +10.2
| 2,341.2
| +6.3
|
2018 3/4
| 833.0
| -1.1
| 1,599.8
| +2.5
| 2,150.0
| +4.2
| 2,876.0
| +7.8
| 4,596.7
| +5.3
| 2,412.6
| +4.9
|
2018 4/4
| 823.4
| -8.1
| 1,596.1
| +0.4
| 2,148.3
| +3.7
| 2,809.6
| +6.1
| 4,506.1
| +9.1
| 2,377.5
| +4.8
|
2019 1/4
| 832.9
| +0.4
| 1,653.2
| +5.0
| 2,241.8
| +5.0
| 2,969.6
| +4.0
| 4,829.5
| -2.1
| 2,506.0
| +1.6
|
2019 2/4
| 865.7
| +1.9
| 1,639.5
| +4.6
| 2,190.1
| +4.7
| 2,902.4
| +5.4
| 4,591.4
| +3.3
| 2,438.4
| +4.2
|
2019 3/4
| 866.4
| +4.0
| 1,682.8
| +5.2
| 2,247.9
| +4.6
| 2,956.5
| +2.8
| 4,653.4
| +1.2
| 2,482.8
| +2.9
|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 2020년 2월 3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 가계금융복지조사
- 균등화소득 기준 5분위별 소득(단위: 만원, 전년대비, %)
연도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전체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2017
| 667
| +2.1
| 1,840
| +4.4
| 2,773
| +4.1
| 3,968
| +4.8
| 7,514
| +5.7
| 3,353
| +4.9
|
2018
| 689
| +3.3
| 1,907
| +3.6
| 2,881
| +3.9
| 4,110
| +3.6
| 7,685
| +2.3
| 3,455
| +4.0
|
연도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전체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2017
| 927
| +4.2
| 1,863
| +4.7
| 2,653
| +3.6
| 3,671
| +4.5
| 6,453
| +4.5
| 3,114
| +4.4
|
2018
| 999
| +7.8
| 1,952
| +4.8
| 2,764
| +4.2
| 3,800
| +3.5
| 6,534
| +1.3
| 3,210
| +3.1
|
,* 출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 2020년 2월 4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4.2.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 2020년 2월 3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도
| 시장소득 기준
| 처분가능소득 기준
| 상대적 빈곤율
|
지니계수
| 소득 5분위배율
| 지니계수
| 소득 5분위배율
|
2017
| 0.406
| 11.27
| 0.354
| 6.96
| 17.3
|
2018
| 0.402
| 11.15
| 0.345
| 6.54
| 16.7
|
,* 출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 2020년 2월 4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2017년
|
|
|
|
| +0.1 ,(+2.0),
| -0.2 ,(+1.8),
| +0.2 ,(+2.2),
| +0.6 ,(+2.5),
| +0.1 ,(+2.0),
| -0.1 ,(+1.8),
| -0.7 ,(+1.2),
| +0.4 ,(+1.4),
|
2018년
| +0.4 ,(+0.8),
| +0.8 ,(+1.3),
| -0.1 ,(+1.2),
| +0.2 ,(+1.5),
| 0.0 ,(+1.5),
| -0.2 ,(+1.5),
| -0.2 ,(+1.1),
| +0.9 ,(+1.4),
| +0.8 ,(+2.1),
| -0.2 ,(+2.0),
| -0.7 ,(+2.0),
| -0.3 ,(+1.3),
|
2019년
| -0.1 ,(+0.8),
| +0.4 ,(+0.5),
| -0.2 ,(+0.4),
| +0.4 ,(+0.6),
| +0.2 ,(+0.7),
| -0.2 ,(+0.7),
| -0.3 ,(+0.6),
| +0.2 ,(0.0),
| +0.4 ,(-0.4),
| +0.2 ,(0.0),
| -0.6 ,(+0.2),
| +0.2 ,(+0.7),
|
,* 출처: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도
| 지수
| 농산품 및 석유류 제외지수 ,(전년비),
|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전년비),
| 생활물가지수 ,(전년비),
| 신선식품지수 ,(전년비),
|
2017
| 102.93
| +1.9
| +1.5
| +1.5
| +2.5
| +6.2
|
2018
| 104.45
| +1.5
| +1.2
| +1.2
| +1.6
| +3.6
|
2019
| 104.85
| +0.4
| +0.9
| +0.7
| +0.2
| -5.1
|
,* 출처: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 2020년 2월 4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2017년
|
|
|
|
| -0.3 ,(+3.4),
| -0.4 ,(+2.8),
| +0.1 ,(+3.0),
| +0.5 ,(+3.3),
| +0.7 ,(+3.8),
| +0.1 ,(+3.6),
| -0.1 ,(+3.0),
| +0.0 ,(+2.2),
|
2018년
| +0.4 ,(+1.2),
| +0.4 ,(+1.2),
| 0.0 ,(+1.2),
| +0.1 ,(+1.5),
| +0.3 ,(+2.1),
| 0.0 ,(+2.5),
| +0.5 ,(+2.9),
| +0.5 ,(+2.9),
| +0.3 ,(+2.5),
| -0.3 ,(+2.1),
| -0.7 ,(+1.5),
| -0.5 ,(+0.9),
|
2019년
| -0.1 ,(+0.4),
| +0.1 ,(+0.1),
| +0.3 ,(+0.5),
| +0.3 ,(+0.6),
| +0.1 ,(+0.4),
| -0.3 ,(+0.1),
| 0.0 ,(-0.3),
| +0.2 ,(-0.6),
| +0.1 ,(-0.8),
| -0.2 ,(-0.7),
| -0.1 ,(-0.1),
| +0.3 ,(+0.7),
|
| 지수
| 농림수산품 ,(전년비),
| 공산품 ,(전년비),
|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 ,(전년비),
| 서비스 ,(전년비),
|
2017
| 101.57
| +3.5
| +6.4
| +4.8
| +1.6
| +1.4
|
2018
| 103.48
| +1.9
| +3.6
| +2.2
| +0.5
| +1.4
|
2019
| 103.50
| +0.0
| -2.3
| -1.0
| +2.3
| +1.2
|
1.6. 고용, 실업
- 경제활동인구 총괄(단위: 천명, %, 전년대비)
연도
| 15세 이상 인구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비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참가율
| 고용률
| 실업률
|
2017
| 43,931 ,(+325),
| 27,748 ,(+330),
| 26,725 ,(+316),
| 1,023 ,(+14),
| 16,183 ,(-4),
| 63.2 ,(+0.3),
| 60.8 ,(+0.2),
| 3.7 ,(0.0),
|
2018
| 44,182 ,(+251),
| 27,895 ,(+147),
| 26,822 ,(+97),
| 1,073 ,(+50),
| 16,287 ,(+104),
| 63.1 ,(-0.1),
| 60.7 ,(-0.1),
| 3.8 ,(+0.1),
|
2019
| 44,504 ,(+322),
| 28,186 ,(+291),
| 27,123 ,(+301),
| 1,063 ,(-10),
| 16,318 ,(+31),
| 63.3 ,(+0.2),
| 60.9 ,(+0.2),
| 3.8 ,(0.0),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도
| 15~64세 인구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비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참가율
| 고용률
| 실업률
|
2017
| 36,860 ,(+21),
| 25,520 ,(+218),
| 24,559 ,(+217),
| 961 ,(0),
| 11,340 ,(-196),
| 69.2 ,(+0.5),
| 66.6 ,(+0.5),
| 3.8 ,(0.0),
|
2018
| 36,796 ,(-64),
| 25,515 ,(-5),
| 24,511 ,(-48),
| 1,003 ,(+42),
| 11,282 ,(-58),
| 69.3 ,(+0.1),
| 66.6 ,(0.0),
| 3.9 ,(+0.1),
|
2019
| 36,791 ,(-5),
| 25,564 ,(+49),
| 24,585 ,(+74),
| 979 ,(-24),
| 11,228 ,(-54),
| 69.5 ,(+0.2),
| 66.8 ,(+0.2),
| 3.8 ,(-0.1),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2017년
|
|
|
|
| 61.5
| 61.5
| 61.6
| 61.2
| 61.4
| 61.4
| 61.4
| 60.4
|
2018년
| 59.5
| 59.2
| 60.2
| 60.9
| 61.3
| 61.4
| 61.3
| 60.9
| 61.2
| 61.2
| 61.4
| 60.1
|
2019년
| 59.2
| 59.4
| 60.4
| 60.8
| 61.5
| 61.6
| 61.5
| 61.4
| 61.5
| 61.7
| 61.7
| 60.8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5세 이상),
| ,(15~64세),
| ,(15~29세),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세 이상
| ,(65세 이상),
|
2017
| 60.8 ,(+0.2),
| 66.6 ,(+0.5),
| 42.1 ,(-0.6),
| 57.6 ,(+0.4),
| 75.3 ,(+0.6),
| 79.4 ,(+0.1),
| 75.3 ,(+1.0),
| 39.9 ,(+0.4),
| 30.6 ,(0.0),
|
2018
| 60.7 ,(-0.1),
| 66.6 ,(0.0),
| 42.7 ,(+0.6),
| 57.9 ,(+0.3),
| 75.7 ,(+0.4),
| 79.0 ,(-0.4),
| 75.2 ,(-0.1),
| 40.1 ,(+0.2),
| 31.3 ,(+0.7),
|
2019
| 60.9 ,(+0.2),
| 66.8 ,(+0.2),
| 43.5 ,(+0.8),
| 58.2 ,(+0.3),
| 76.0 ,(+0.3),
| 78.4 ,(-0.6),
| 75.4 ,(+0.2),
| 41.5 ,(+1.4),
| 32.9 ,(+1.6),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2017년
|
|
|
|
| 3.6
| 3.8
| 3.4
| 3.6
| 3.3
| 3.2
| 3.1
| 3.3
|
2018년
| 3.7
| 4.6
| 4.5
| 4.1
| 4.0
| 3.7
| 3.7
| 4.0
| 3.6
| 3.5
| 3.2
| 3.4
|
2019년
| 4.5
| 4.7
| 4.3
| 4.4
| 4.0
| 4.0
| 3.9
| 3.0
| 3.1
| 3.0
| 3.1
| 3.4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5세 이상),
| ,(15~64세),
| ,(15~29세),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세 이상
| ,(65세 이상),
|
2017
| 3.7 ,(0.0),
| 3.8 ,(0.0),
| 9.8 ,(0.0),
| 9.9 ,(+0.1),
| 3.3 ,(+0.2),
| 2.1 ,(0.0),
| 2.2 ,(-0.1),
| 2.9 ,(+0.2),
| 2.8 ,(+0.5),
|
2018
| 3.8 ,(+0.1),
| 3.9 ,(+0.1),
| 9.5 ,(-0.3),
| 9.5 ,(-0.4),
| 3.4 ,(+0.1),
| 2.5 ,(+0.4),
| 2.5 ,(+0.3),
| 3.1 ,(+0.2),
| 2.9 ,(+0.1),
|
2019
| 3.8 ,(+0.1),
| 3.8 ,(-0.1),
| 8.9 ,(-0.6),
| 8.9 ,(-0.6),
| 3.3 ,(-0.1),
| 2.3 ,(-0.2),
| 2.5 ,(0.0),
| 3.4 ,(+0.3),
| 3.2 ,(+0.3),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5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 고용보조지표(Labor Underutilization Indicator, 노동저활용지표)
- 용어
- 고용보조지표1: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 고용보조지표2: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확장경제활동인구 * 100
-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 (시간관련추가취업가능자 +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확장경제활동인구 * 100
-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실제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추가취업이 가능한 자
- 잠재취업가능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자
- 잠재구직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한 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잠재취업가능자 + 잠재구직자
- 확장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 + 잠재경제활동인구
- 연간(%)
연도
| 고용보조지표1
| 고용보조지표2
| 고용보조지표3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5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2017.11.30
| 1.25% → 1.50%
| #
|
2018.11.30
| 1.50% → 1.75%
| #
|
2019.07.18
| 1.75% → 1.50%
| #
|
2019.10.16
| 1.50% → 1.25%
| #
|
연도
| 2017
|
| 1,387,757.1 ,(+28,789.7),
| 1,419,108.3 ,(+31,351.2),
| 1,450,627.4 ,(+31,519.1),
| 1,450,627.4 ,(+108,100.6),
|
2018
| 1,468,242.0 ,(+17,614.6),
| 1,492,352.4 ,(+24,110.4),
| 1,513,890.5 ,(+21,538.1),
| 1,536,712.3 ,(+22,821.8),
| 1,536,712.3 ,(+86,084.9),
|
2019
| 1,539,900.5 ,(+3,188.2),
| 1,556,726.4 ,(+16,825.9),
| 1,572,540.9 ,(+15,814.5),
| 1,600,132.2 ,(+27,591.3),
| 1,600,132.2 ,(+63,4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