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에 탄

 


[image]
[image]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관련 문서


1. 개요


Minié ball
프랑스 육군 장교 클로드-에티엔 미니에(Claude-Étienne Minié)가 개발한 전장식 라이플용 탄환.

2. 역사


원래 이런 개념의 확장탄은 1848년 프랑스 육군 장교 몽고메리(Montgomery)와 앙리-귀스타브 델비뉴(Henri-Gustave Delvigne)가 개발한 원통형 탄환과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구조에서 비롯한다. 미니에는 그 구조를 개량해서 완성형을 만들어냈고, 그래서 미니에 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과거 머스킷의 탄들이 문자 그대로 납구슬이었던 데에 반해, 당시 델비뉴와 투베냉 등은 길이가 긴 원통형+공기저항을 잘 가르는 원추형 선단 구조의 탄환의 가능성을 개발하고 있었다. 현대의 탄도 공학적 원추형 탄두가 사실상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원통형 탄환은 구슬형 탄보다 길이가 길어 탄의 무게가 더 무겁고 위력적이지만, 긴 탄이 무게중심과 중력과 공기저항 등등 때문에 비행 중에 펄떡 뒤집히는 등[1] 그다지 공기역학적이지 못 했다. 강선에 딱 맞추면 탄의 회전에 의해 탄도는 개선되지만 강선에 맞게 탄 밀어 넣는 것이 보통 수고가 아니었다.
델비뉴는 원통형-원추형 탄두에 타미지에 그루브를 도입했다. 타미지에 그루브는 프랑스 포병장교 프랑수아 타미지에가 개발한 강선대포용 탄두 가공인데, 탄 측면에 고리처럼 홈을 파 두고 여기에 그리스를 발라 강선포에 포탄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였다. 델비뉴의 고안은 절반의 성공이었는데, 타미지에 그루브 때문에 공기저항으로 탄은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강선에 확실하게 맞물리는 것은 오히려 저해했다.
여기에 투베냉이 조금 다른 방안을 제시하는데, 약실 안 탄두가 자리 잡을 위치에 툭 튀어나온 말뚝을 넣어 둔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장전봉으로 탄두를 힘껏 때려 박으면 탄두 뒤꽁무니가 힘껏 찔리면서 부풀어 올라서 강선에 탄두가 잘 맞물릴 거라는 것이었다.
미니에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가, 탄두 뒷부분을 오목하게 파내고 금속 고깔을 삽입했다. 화약의 연소가스를 이 오목한 고깔 부분이 받아내어 부풀어 오르면서 강선에 압착한다는 의도였지만, 사격시 고깔이 납탄두를 뚫고 사출되어 납이 총열 내부에 눌러붙는 현상 탓에 고깔을 제거하고 오목한 홈만 남겼다. 이로써 확장탄의 완성형인 미니에 탄이 개발되었다.

3. 특징


기존에는 전장식 라이플 총을 장전하려면 bullet starter[2]로 헝겊을 감은 총알을 총구에 눌러 넣은 다음 꼬질대로 힘을 줘서 쑤셔야 했다. 총알을 넣는 과정이 빡빡하고 힘을 많이 줘야 해서 보통 한 발 장전하는 데에 활강식 머스킷보다 시간이 더 소요되었다.[3] 반면에 미니에 탄은 '''격발 시 뒤쪽 오목한 부분이 폭압으로 확장되면서 총알 가장자리가 자동으로 강선에 맞춰지는 구조로 인해 기존 총의 4배 사거리인 400야드(365m)의 놀라운 성능을 발휘했고 장전시 활강식 머스킷 수준의 장전 속도와 편의성이 장점이었다.'''
또한 이 미니에 탄은 인체에 명중하면 5.56×45mm NATO처럼 탄두가 깨져서 기존의 구슬형 탄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살상력'''을 보였다.
이후 퍼커션 캡과 함께 미국 남북 전쟁 등에 사용되어 전쟁 사상자를 급격히 늘리는데 일조했다. 그 이전의 나폴레옹 시절의 전열 보병식 전투와는 비교도 안 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어떻게 보면 대량살상무기의 발명이 되었다.[4]
이후 이 형태는 단단한 대상물에 피격 시 납 탄두가 파쇄되어 위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고, 발사할 때마다 총신 내부가 납으로 코팅되어 여러 발 쏘면 납으로 강선이 묻히는 것을 막기 위해 앞에 구리로 된 고깔형 탄두를 달아 풀 메탈 재킷이 되었고, 이어 기존의 총알과 화약을 기름종이로 개별 포장해 놓은 물건에 가까운 페이퍼 카트리지에서 벗어나 화약뇌관이 달린 탄피가 달린 현재와 같은 구조의 총탄에 이르렀고, 그로 인해 비로소 실전에 쓸 만한 성능을 가진 후장식 총기가 성립되게 되었다.

4. 관련 문서


[1] 구슬형 탄 보다는 확실히 공기역학적 이지만 흑색화약의 효율이 좋지 못 한 탓에 현대의 원추형탄보다 회전이 약하기 때문이다.[2] 전 문서에서는 나무 망치라고 잘못 서술되어 있었다. 이 bullet starter가 망치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생긴게 망치와 비슷하게 생겼을 뿐, 절대 때리는데 쓰는 공구가 아니다. bullet starter 사진 bullet starter을 사용하여 장전하는 영상[3] Baker rifle이나 1796 m jaeger rifle 등의 군용 라이플 사수들은 bullet starter를 생략하고 바로 꼬질대로 넣어서 장전하는 경우가 흔했다. 또한 미리 천으로 감싸고 바느질한 총알을 준비해두면 장전속도를 일반 활강식 머스킷과 비슷한 수준까지 맞출 수 있었다. 다만 꼬질대로 쑤셔서 장전하기가 활강총에 비해 많이 뻑뻑하고 장전이 번거로운 건 사실이었다.[4] 활강식 머스켓의 구형 탄환 역시 제대로 맞으면 죽는 것은 매한가지였으나 맞으면서 탄두가 깨져 신체 내부를 다 헤집어 놓는 미니에탄에 비해 탄두 깨짐 현상이 적거나 없어서 나폴레옹 전쟁 시대에는 의외로 총에 맞아 현장에서 전사하는(물론 부상당하는 병사들은 많았지만) 병사들의 수는 미니에탄이 쓰이던 시대에 많지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