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주의

 



대중의 취향에 따귀를

미래주의(Futurism, 未來主義) 1909 ~ 1916
미래주의 - 네이버캐스트
미래주의는 이탈리아에서 등장한 모더니즘 미술사조이다. 그 등장부터가 특이한데, 필리포 마리네티(Filippo Marinetti)가 1909년 2월 5일 <라 가제타 델레밀리아(La gazzetta dell'Emilia)>에 미래주의 선언을 출판하고, 이후 프랑스의 <르 피가로(Le Figaro)>(1909년 2월 20일)에 광고를 냄으로서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즉, 미술가가 나는 이런 예술을 하겠다 언론에 광고를 내고 시작된 미술사조라는 것. 그만큼 새로운 것을 시도한다는 자부심이 대단한 사조기도 했다.
미래주의는 회화, 조각, 건축, 의복, 실내장식, 영상,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실험적인 작업을 시도하였다. 대표적으로 미래주의에 참여하였던 예술가들로는, 미술 분야에서는 움베르토 보치오니(Umberto Boccioni), 카를로 카라(Carlo Carrà), 지노 세베리니(Gino Severini)가 동참했고, 음악 분야에서는 작곡가 루이지 루솔로(Luigi Russolo)가 이 운동에 참여했다.
이들 미래주의자들은 보통 속도와 역동성, 신기술 및 기계주의 등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근대 이후로 천주교적 전통에 얽매이고 낙후된 이탈리아 사회와 문화에 대한 반동이라 볼 수 있다. 18세기 이후의 이탈리아는 알프스 이북과 달리 산업화가 이뤄지지 못해 상대적으로 경제가 뒤쳐져 있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이를 만회하고자 빠른 공업화를 추진하고 있었고, 이것이 당시 신세대들에게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미래주의자들은 당대 이탈리아의 미술이 전통적인 예술적 가치와 조형의식 때문에 퇴보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심지어 미래주의적인 시도를 의복과 요리에 대해서도 했을 정도로 이탈리아의 전통 미술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해프닝적인 행위를 통해 과거의 미적 취향과 예술제작 과정을 타파하고자 애썼다. 게다가 산업도시와 자동차, 기차 등 산업혁명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도상들을 작품에 담았다. 미래주의자들은 심지어 사모트라케의 여신상보다 달리는 기차가 더욱 아름답다고 주장할 정도였다.
[image]
보치오니, <공간에서 연속성의 독특한 형태>, 1914
대표적으로 보치오니는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공간에서 연속성의 독특한 형태>에서 기계적이며 기하학적인 조각품을 만들기도 했다. 언뜻 보기에도 보치오니의 작품은 마치 로봇이나 스포츠카와 같은 느낌을 준다. 아마 이러한 시도와 움직임들이 이후, 이탈리아 디자인 산업의 발달과도 연관이 없지 않을 것이다.
[image]
자코모 발라, <줄을 단 개의 역동성>, 1912
그리고 사진이나 영화 등 당대에 새롭게 등장한 기록매체를 회화로 재현하고자 노력하기도 하였다. 자코모 발라는 <줄을 단 개의 역동성>에서 당시의 활동사진을 회화로 표현하기도. 참고로 이 당시에는 아직 대중에게 잔상효과가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였다.
문제는 이게 도를 지나쳐 정치적 무정부주의/젊음/폭력을 옹호하는 수준까지 나아갔다는 것. 이들은 반문화/반전통/반역사를 주장하면서 박물관과 미술관에 있는 옛 작품들을 파괴해야 한다고 주장할 정도였다. 파괴의 미학을 추종하던 미래주의자들은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즉각 군에 입대하였다. 그 결과로 1916년 보치오니는 말에서 떨어져 죽었고, 같은 해 미래주의 건축가 안토니오 산텔리아 또한 트레에스테를 방어전에서 28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이후,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스트 정권 휘하에서 일어난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당연히 좋은 결과는 없었고 이렇듯 두 차례의 거대하고 치열했던 전쟁들을 통해서 전쟁의 실상을 체험한 예술가들이 환멸을 느끼고 미래주의에서 이탈하게 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
러시아에서도 미래주의 경향의 예술 운동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부분 참고. 산업화가 덜된 나라들에서 미래 기계문명을 예찬하는 운동이 발전하고, 정작 산업적으로 선진국이던 영국이나 프랑스 등에서는 과거회귀적인 미술공예운동이나 비공업적인 제3세계에서 대안을 찾는 원시주의 경향이 나타난건 아이러니하다. 어쩌면 산업화되고 도시화된 사회의 실상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랬던 것일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