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렬
1. 개요
放列[1] , Laying. 견인포, 자주포. 박격포의 사격준비를 뜻하는 군사 용어. 분명히 방'''렬'''이 올바른 표기이고 국어사전에도 '방렬(放列)[방ː녈]'로 등재되어 있지만 어째 방열[2] 로 잘못 쓰이는 경우가 잦다.
이는 '列(렬)'이라는 한자가 '오와 열', '열도' 등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전열', '대열', '서열', '진열', '분열' 등 뒤에서 사용될 때에도 '열'로 쓰는 경우가 많다 보니 '방렬'의 경우에도 '방열'로 쓰는 것이라 오해한 것으로 보인다.
'列'은 본음이 '렬'이나 어두에서는 '열'이 되며, 어두가 아닐 때에는 앞 음절의 받침이 없거나 앞 음절의 받침이 ㄴ일 경우에만 '열'로 쓴다. '放列'의 '放(방)'은 'ㅇ' 받침이므로 이 조건에 맞지 않기에 두음법칙을 적용할 것 없이 그냥 '방렬'로 쓰면 된다. 발음이야 유음의 비음화가 적용된 [방ː녈]로 하면 되고.
흔히 사용되는 단어 중에 列를 렬로 읽는 단어는 '행렬'이나 '항렬', '일렬' 정도밖에 없어 '방렬'이라는 표기는 좀 낯설게 느껴지는 모양.
2. 종류
긴급 방렬, 방렬, 화력정찰, 그리고 장비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방렬의 일반적인 절차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1. 정찰
"정찰반"이라는 분대단위 집단이 포대가 자리잡을 곳으로 미리 정찰하여 사격 방위각을 확인한다.
- 2. 포반 기동
포대가 진입하여 정해진 위치에 도착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미리 정해진 사격 방위각에 가깝게 도착해야한다. 각 포반[3] 이 정 위치에 도착하면 장교or부사관[4] 의 지휘 하에 사격 방위각을 정밀조정한다. 견인포나, 스페이드가 달린 장비의 경우 사격방위각을 확인한 다음, 스페이드로 장비를 고정한다.
- 3. BL 준비
Basic Loaded라 하여, 방렬 후 바로 사격할 수 있게 포탄, 장약, 뇌관, 장전봉, 방아끈 등, 사전에 준비해둔 장비를 말한다. 사격 방위각에 맞게 기동했으면, 바로 BL 장비들을 준비하여 사격 준비태세에 들어간다. 보통 여기까지를 방렬이라 한다. 사실 일반인이 생각하기에 포는 조준하고 그냥 쏘면 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상황은 스타크래프트가 아니며 머나먼 미래의 전차 겸 자주포인 시즈탱크(공성 전차)조차 시즈모드를 해야 멀리 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 포를 쏠 때마다 발생하는 반동에 포가 조금씩 이동한다.
오래전부터 견인포들과 대전차포는 모두 쏠 때마다 적어도 들썩들썩 거린다. 그렇기 때문에 기껏 목표물을 조준해도 쏠 때마다 재정렬을 해줘야 하는데 이것을 포병에서는 '재방열(렬)'[5] 이라고 한다. 고정이 안되면 재방열 시간이 길어져서 사격 속도가 느려지므로 주임무인 화력지원의 효과가 떨어지는데다가 재방열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사격시 반동으로 포가 튕겨나가서 아군 쪽에 사상자가 생길 수도 있다. 자주포는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견인포에 비하면 방렬이 엄청나게 빠르지만, 그래도 수 분에서 길게는 수십 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대신 견인포는 기본적으로 방열 자체는 오래 걸리지만 발톱과 발사판으로 땅에 화포 일부를 박아버려서 자주포보다 더 단단히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지반에서 진방열을 제대로 했다면) 일제사격이 끝날 때까지 숙련된 사수 및 부사수의 능력만으로 거의 텀이 없다시피한 재방열 속도를 보여주는 데, 반대로 자주포는 방열 시간을 단축시킨 대가로 사격할 때 마다 틀어지는 정도가 더 커져서 재방열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것 또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빨라지는듯.
- 탄이 멋대로 날아간다.
포는 개별로 사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포대단위로 사격하는데 잘못된 제원을 받거나 제원에 제대로 조준되지 못하면 탄착군이 흐트러져서 제대로 된 효과를 보지 못한다. 특히 견인포나 자주포는 장사정 병기이므로 0.1도의 차이도 큰 오차를 만든다. 계산해보면[6] 1km에서 0.1도의 오차가 있다고 가정하면 무려1.74m의 오차가 생긴다. 겨우 이 정도?라고 생각하는 분을 위해서 대충 방렬해서 오차가 1도, 사거리가 15km으로 가정하면 261m의 오차가 발생한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장거리의 목표에 대한 간접 사격을 주로 수행하는 곡사포는 아주 조금 틀어진 각도만으로도 매우 큰 오차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포병은 각도를 도같이 큰 단위가 아니라 밀이라고 해서 360도=6400밀(그리고, 1밀=arctan0.001)로 정의하는 세분화된 단위를 쓴다. 게다가 방렬에서 오차 범위는 2밀(105mm/155mm 견인곡사포 기준)로 0.1125도가 벗어나면 간부들에게 까인다.[7] [8] 이는 포대가 방렬할때 포대가 사격목표를 1개점으로 모으는데 이는 발사할때 공기 밀도나 포의 미묘한 특성등등에 의해 탄도가 미묘한 차이를 보여 한점에 떨어지지 않고 흩어지는 상황에서 조준점이 어긋나면 명중이 불가능하다. 괜히 포탄사격 훈련때 방열점검만 2~3번이나 하면서 철저하게 오차를 배제하고, 기준포를 통해 수정사까지 해서 다시 전체 포반에게 사격 제원을 내리는게 아니다.
따라서 최선의 KILL ZONE을 형성하기 위해 사격점을 하나로 모으는 방향으로 포를 정렬한다. 다만 긴급 방렬이나 화력정찰의 경우에는 대충 계산하는 대신 빨리 쏘고 탄착점에서 유도하는 방식을 쓰기도 한다.- 현재 좌표가 자동으로 나온다.
방렬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적의 좌표와 포의 좌표를 알아야 하는데 적의 좌표는 전방의 관측반이 알려준다지만 포의 좌표는 고정진지나 지정된 진지가 아니라면 지도상에서 알아내야 한다. (관측장교의 소양 중 하나가 지도와 쌍안경만 갖고 목표 타격지의 좌표를 따내는 것일 정도다.) 하지만 GPS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좌표가 나와서 기동사격 절차 중 1단계가 생략되므로 빨라진다.
- 정확한 좌표를 알 수 있다.
독도법을 익힌 사람이라도 타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고속으로 이동해서 현재 위치를 확실하게 알지 못하면 좌표를 따는데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GPS로 대략의 위치를 알게 되면 헤매는 시간이 짧아진다.[9]
[1] 놓을 방/벌일 렬.[2] 방열은 放熱. 놓을 방 자는 같이 사용하지만 뒤의 열은 '더울 열'을 쓴다. 열방출이라는 의미[3] 포병의 분대단위. 보통 1포반이 1장비를 운용한다.[4] 보통은 전포대장이나 전포사격통제관[5] 아침마다 포반에서 하는 그것인데, 주기적으로 표적을 교체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기 중 습도와 풍량 및 풍향 등 날마다 바뀌는 기상 상황을 반영해서 제원을 매일 다시 받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았어도 재방열을 해야하기 때문이다.[6] 오차각을 θ라 하면 사거리 χ에서 오차는 2χ√(1-(cos(θ/2)²)가 된다. 이해가 어렵다면 아래그림을 보자. [image][7] 그도 그럴것이 이 경우 10km(2차 대전시 105mm급 포의 일반적인 사거리였다)에서 오차는 약 20m가 되기 때문 즉 2밀 이상 벗어나면 최대사거리에서 유효타를 기대할 수 없다. 155mm인 경우 15km에서 30m오차가 나게 된다. 아무것도 아닌것 같아도 군대문화(?)에는 나름 배경이 있다.[8] 기본적으로 발사하는 탄종인 고폭탄의 살상범위가 반경 50m인데 이 경우 위에서 나열된 오차들만 따져봐도 상대측에게 주는 피해의 그 정도가 달라지게 되거나 다른 쪽에 피해를 주는 경우도 생긴다.[9] 다만 측지반이 힘들게 측량한 좌표가(제대로 측량하기만 했다면) GPS보다 더 정확하긴 하다. 게다가 실전에서는 GPS 교란장치 때문에 해당 신호가 안잡히거나 부정확하게 잡힐 수 있으므로 측지반도 활발히 활동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