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장의퀘스트
"이 설명은 방장의 퀘스트 NEW, revenge,Quest Maker 시리즈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유즈맵 중 하나로 '''방장의 퀘스트'''는 말 그대로 방장이 퀘스트를 내고 유저가 플레이 하는 맵이다. 시리즈로는 new, 레볼루션, se 시리즈가 있었으나 거의 없어졌다.
Quest Maker가 최근에 새로 나오고 있다
원래는 방장이 퀘스트(미션)을 내고 유저가 그걸 해결한다. 하지만 물론 그러면 지루해지고 재미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낸게 '''스토리'''였다. MMORPG,
결국 방장이 스토리를 생각해내서 방장이 퀘스트를 내는게 아니라 맵안의 NPC들이 낸다고 생각한다.(ORPG)
결국 revenge에서는 이걸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해 유닛의 이름을 모두 없앴다.
필드1 : 뒷동산
필드2 : 항구
필드3 : 숲(정글)
필드4 : 해저
필드5 : 성의 입구
필드6 : 콜로세움
필드7 : 불타는 마을
필드8 : 부식된 땅
필드9 : 감옥
필드10 : 리미테의 성
필드11 : 전설의 성(미로)
필드12 : 다크니스 rpg에 나오는 성
필드1 : 언덕(뒷동산?)
필드2 : 항구
필드3 : 숲
필드4 : 암석지대
필드5 : 콜로세움
필드6 : 불타는 마을 3
필드7 : 불모의 땅
필드8 : 성
필드9 : 감옥
필드10 : 리미테의 성
어쌔신 : 빠른 이속으로 적들을 유린한다고 한다. 다크 텔레포트 어택이라는 스킬이 대표적이다.
(패시브 : 일정 시간마다 무적이 걸린다. 생각보다 꽤나 좋은 패시브로 상향받았다)
컨셉: 빠른 이속과 무적유틸의 활용
마법사 : 강력한 마법(메테오)등을 사용한다. 콤보 스킬을 사용하는 녀석이다. 데미지는 매우 강하나 스피드가 느리고 몸이 약하다.
(패시브 : 마나 최대치에 비례해 가스를 준다. 설명만 들어도 좋은 패시브다., 매직가드(일정마나 사용) 또한 추가되었다.)
.(패시브 : 일정 시간마다 팀 무적. 어쌔신보다 지속시간이 더 길지만 그 텀이 더 길다.)
컨셉: 아군 보조
스나이퍼 : 멀리서 총으로 적을 때려 죽인다. 사거리가 매우 길고 한 방 데미지가 좋지만 연사력이랑 몸이 약하고 스피드도 느리지만 회피기가 생겨서 생존력은 나쁘지않다.
(패시브 : 락다운 : 에너지가 250이나 들어가지만 기계유닛들을 봉인할 수 있다.)
컨셉:저격
석궁병 : 중거리에서 적을 해치운다. 연사력이랑 데미지가 매우 좋지만 스나이퍼에 비해 데미지랑 사거리가 밀린다. 스피드는 상위권.(패시브가 스킬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컨셉:연사력, 빠른스피드, 원딜러
초인 : 많은 체력을 지니고 있고 실드 유지 스킬이 있어서 탱커로 쓰인다. 데미지는 평균이고 스피드랑 생존력도 좋다.
(패시브 : 없음.)
컨셉:어그로, 탱커
대검병 : 가까이서 적을 때리는 전사다. 데미지는 최상위권이다.
(패시브 : 최대 체력에 비례해 실드 유지. 딜러를 딜탱으로 만드는 마술.)
컨셉:딜탱, 근딜
7.7 신직업 추가 예정
리자드들은 오염된 숲에서 소환할 수 있는 유닛이다. 흔한 경험치 몬스터로 불리는 제일 약한 녀석들이다.
마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군인들이다. 강한 정도로 말하자면 리자드맨보다 강하고 해적들보다 약하다.
말 그대로 해적들이다, 다만 이름때문에 잦은 사용이 불가능한게 단점.[1]
잡몹 중에서 가장 강하다. 덕분에 초반에는 보스로도 자주 나온다.
NEW 맵 기준으로 썼다.
가장 유명한 보스 유닛 최종 보스 유닛 뉴버전에서는 '''top2'''의 유닛이다.
revenge 버전에서도 이 녀석만 보스 이름이 있다.(revenge 버전의 top1 최종 보스이기도 하다.)
뉴버전에서는 방장이 c스킬을 계속 사용하면 잡을 방법이 없는 보스이기도 하다.
신의 아들이다. top 2~3의 유닛 역시 c 스킬을 계속 사용하면 잡을 방법이 없다...
top 1~2의 유닛이다. 뉴버전의 최종 보스 유닛이다.
가장 많이 볼 보스이다. top 4의 보스이지만 약하다면 약하고 강하다면 강한 녀석이다.
스웜으로 스킬을 쓰며 중간에 싸우다가 리자드맨들을 소환하고 튄다고 한다.
어쌔신 : new랑 같다. 빠른 이속으로 적들을 유인하고 유린한다.
어벤져 : 어쌔신이랑 같은 계열이다. 다만 이속이 조금 느리고 체력이 낮다. 평타 데미지와 업글 데미지가 매우 높아서 돈 잘못줬다간 스킬 없이도 어벤져가 평타로 학살하고 다닐 수도 있다.
플레임 메이지 : 불의 마법사이다. 데미지로 말하자면 밸런스가 파괴될 뻔 했다. 그만큼 스킬 데미지가 센 놈이다. 엄청 느리기 때문에 앞에서 나대지는 말자.
기사 : 체력이 많은 탱커이다. revenge 맵을 할 때 이 녀석이 있으면 많이 편하다. 유일하게 캐릭중에서 기본방어 1이 붙어있으며, 초반부에는 데미지도 높다.
프로스트 메이지 : 얼음 마법사이다. 데미지는 상위권이다.
궁병 : 중거리에서 공격한다. 스피드랑 연사력이 장점. 초반부에는 방어력이 높은 적 한테는 데미지가 많이 들어가진 않는다.
스나이퍼 : 사거리가 매우 길다. 생존력도 좋다고 보지만 스피드가 느리다. 데미지는 어벤져보다 약하다.
매직 알케미스트(마법 연금술사) : 사거리가 꽤 길다. 마법계열 치고 평타 데미지도 높다.
전체적으로 직업들의 밸런스는 매우 잘 맞는 편이다.
1. 일단 스토리를 만들 플레이어 캐릭터를 골라라. 어쌔신, 스나이퍼, 석궁병, 초인 등 아무거나 좋다.
2. 이제 그 녀석을 기준으로 스토리를 만든다. 그 녀석이 어떻게 샤먼킹, 마인, 세이콘 등이랑 만나게 할 건지를 생각하자.(챕터를 나누어서 하면 좋다. 너무 많이 만들려고 하진 말자. 챕터 5 정도면 충분하다. 주의할 점은 당연하지만 주인공이 나가면 방이 터진다.)
3. npc의 대사를 연습하자. 당신이 하던 mmorpg 게임을 떠올리면 쉽다.
4. 그 녀석이 왜 그 퀘스트를 해야만 하는지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5. 플레이어랑 같이 즐겁게 만들면 된다.(가장 중요하다. 방장이 즐기지 않으면 바로 터졌다고 봐도 무관하다.)
1. second run
2. reminiscence
3. 바람의 동경
4. thanks giving
기껏해야 방퀘 뉴 맵의 퀄리티. 완성도는 짧은 시간 내에 만들 수 있을 정도. 몹들 자체도 보스몹 말곤 서로 스텟이 비슷비슷해 누구를 써도 차이가 없다. 또한 스토리, 게임시스템, 심지어 보스의 패턴까지 만들어야 한다.
첫 번째는 친목질이 너무 심하다. 몇 십판 같이 한 인맥사이에는 서로 스토리도 잘 알고있다. 심하면 그 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든다. 더 심할 경우 그 사람에게만 특정 편의를 제공한다. 미네랄을 몰래 더 준다거나.
두 번째는 방장을 할 줄 아는 유저는 적다. 제대로 된 스토리를 짜내거나 기능을 사용할 줄 아는 방장유저의 수가 굉장히 적다. 어찌됐든 맵의 중요점은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는 퀘스트 진행이다. 하지만 스토리를 중구난방으로 짜거나, 여기저기 설정구멍이있다면..[2]
세 번째는 몬스터의 스텟이 뒤죽박죽이고 밸런스도 맞지 않는다. 일례로, 울트라는 마린보다 체력이 높은데 마린이 스팀팩을 쓰면 4명의 울트라보다 4명의 마린이 더 강하다, 즉 마린의 공격력이 비정상적이라는 것. 이 같은 경우는 마린의 스팀팩으로 인한 공속 증가를 고려치 않았다는 것이다.[3] 문제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방퀘 뉴는 유닛들의 이름이 정해져 있다보니 스토리 짜기가 힘들다. 트루 라인이 제작한 방퀘 시리즈의 경우 몬스터의 이름이 없어 자기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배경이 가능하지만, 뉴 시리즈는 그렇지 않다.
네 번째는 캐릭간의 벨런스다. 위에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방퀘는 그런거 없다. 그냥 탱커가 탱을 하기전에 적들을 녹여버린다.
이에 대해서 NEW맵에서는 보스를 매우 강하게 패치하였고, 속박cc보스로 벨런스를 맞추었다.[4]
그 외에 초보방장을 위해 각 구간별 설명서를 배치해두는등,이해가 어느정도 될수 있게 되어있다.
다만 초반은 여전히 학살중이고, 방업의 의미가 전보다는 늘었지만 그리 큰 비중은 없다.
이번에 새로나온 Quest Maker에서는 철저하게 계산되어서 초중반까지는 방업으로 탱커역활을 활약할 수 있게 하였다[5]
다섯 번째는 맵 시스템 자체가 너무 낡았다[6] 보스들 스킬도 패턴은 알아도 무조건 쳐맞거나 취소시킬 방법이 없다.
1. 맵
스타크래프트 유즈맵 중 하나로 '''방장의 퀘스트'''는 말 그대로 방장이 퀘스트를 내고 유저가 플레이 하는 맵이다. 시리즈로는 new, 레볼루션, se 시리즈가 있었으나 거의 없어졌다.
Quest Maker가 최근에 새로 나오고 있다
1.1. 맵의 방향
원래는 방장이 퀘스트(미션)을 내고 유저가 그걸 해결한다. 하지만 물론 그러면 지루해지고 재미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생각해낸게 '''스토리'''였다. MMORPG,
결국 방장이 스토리를 생각해내서 방장이 퀘스트를 내는게 아니라 맵안의 NPC들이 낸다고 생각한다.(ORPG)
그리고 유저가 용사가 되어서 악당(마왕)들을 물리친다.
흔한 mmo 게임의 용사 스토리, 소년 만화의 스토리로도 재미있게 플레이가 가능하다. 그리고 그것으로 new 2.0~4.0 이랑 se 3.0에서 꽤나 인기를 끌었다고 봐야겠다.결국 revenge에서는 이걸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해 유닛의 이름을 모두 없앴다.
1.2. 필드
1.2.1. new 7.6맵 기준
필드1 : 뒷동산
필드2 : 항구
필드3 : 숲(정글)
필드4 : 해저
필드5 : 성의 입구
필드6 : 콜로세움
필드7 : 불타는 마을
필드8 : 부식된 땅
필드9 : 감옥
필드10 : 리미테의 성
필드11 : 전설의 성(미로)
필드12 : 다크니스 rpg에 나오는 성
1.2.2. revenge2.8 기준
필드1 : 언덕(뒷동산?)
필드2 : 항구
필드3 : 숲
필드4 : 암석지대
필드5 : 콜로세움
필드6 : 불타는 마을 3
필드7 : 불모의 땅
필드8 : 성
필드9 : 감옥
필드10 : 리미테의 성
1.2.3. Quest Maker
2. 유닛
''2-1 new버전 기준으로 작성.''
2.1. 플레이어의 유닛
어쌔신 : 빠른 이속으로 적들을 유린한다고 한다. 다크 텔레포트 어택이라는 스킬이 대표적이다.
(패시브 : 일정 시간마다 무적이 걸린다. 생각보다 꽤나 좋은 패시브로 상향받았다)
컨셉: 빠른 이속과 무적유틸의 활용
마법사 : 강력한 마법(메테오)등을 사용한다. 콤보 스킬을 사용하는 녀석이다. 데미지는 매우 강하나 스피드가 느리고 몸이 약하다.
(패시브 : 마나 최대치에 비례해 가스를 준다. 설명만 들어도 좋은 패시브다., 매직가드(일정마나 사용) 또한 추가되었다.)
컨셉: 광역기의 잡몹학살이랑 강력한 딜
성기사 : 서포터. 팀원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패시브 : 일정 시간마다 팀 무적. 어쌔신보다 지속시간이 더 길지만 그 텀이 더 길다.)
컨셉: 아군 보조
스나이퍼 : 멀리서 총으로 적을 때려 죽인다. 사거리가 매우 길고 한 방 데미지가 좋지만 연사력이랑 몸이 약하고 스피드도 느리지만 회피기가 생겨서 생존력은 나쁘지않다.
(패시브 : 락다운 : 에너지가 250이나 들어가지만 기계유닛들을 봉인할 수 있다.)
컨셉:저격
석궁병 : 중거리에서 적을 해치운다. 연사력이랑 데미지가 매우 좋지만 스나이퍼에 비해 데미지랑 사거리가 밀린다. 스피드는 상위권.(패시브가 스킬을 업그레이드 해준다.)
컨셉:연사력, 빠른스피드, 원딜러
초인 : 많은 체력을 지니고 있고 실드 유지 스킬이 있어서 탱커로 쓰인다. 데미지는 평균이고 스피드랑 생존력도 좋다.
(패시브 : 없음.)
컨셉:어그로, 탱커
대검병 : 가까이서 적을 때리는 전사다. 데미지는 최상위권이다.
(패시브 : 최대 체력에 비례해 실드 유지. 딜러를 딜탱으로 만드는 마술.)
컨셉:딜탱, 근딜
7.7 신직업 추가 예정
2.2. 방장의 유닛
2.2.1. 기본 유닛
2.2.1.1. 리자드맨, 스핀리자드맨, 와일드리자드맨
리자드들은 오염된 숲에서 소환할 수 있는 유닛이다. 흔한 경험치 몬스터로 불리는 제일 약한 녀석들이다.
2.2.1.2. 궁병, 장궁병, 의사, 보병, 기마병, 기사, 투석기, 공성병기
마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군인들이다. 강한 정도로 말하자면 리자드맨보다 강하고 해적들보다 약하다.
2.2.1.3. 해적, 해적왕, 대해적
말 그대로 해적들이다, 다만 이름때문에 잦은 사용이 불가능한게 단점.[1]
2.2.1.4. 드래곤, 흑룡
잡몹 중에서 가장 강하다. 덕분에 초반에는 보스로도 자주 나온다.
2.2.2. 보스 유닛(4명 대표적으로)
NEW 맵 기준으로 썼다.
2.2.2.1. king, limite : hp : 33만 실드 : 1만
가장 유명한 보스 유닛 최종 보스 유닛 뉴버전에서는 '''top2'''의 유닛이다.
revenge 버전에서도 이 녀석만 보스 이름이 있다.(revenge 버전의 top1 최종 보스이기도 하다.)
뉴버전에서는 방장이 c스킬을 계속 사용하면 잡을 방법이 없는 보스이기도 하다.
2.2.2.2. 신의 아들 세이콘 : hp : 28만 실드 : 1만
신의 아들이다. top 2~3의 유닛 역시 c 스킬을 계속 사용하면 잡을 방법이 없다...
2.2.2.3. 마인, 마인의 영혼 (마인 hp : 18만 실드 : 1만)(영혼 hp : 45만)
top 1~2의 유닛이다. 뉴버전의 최종 보스 유닛이다.
2.2.2.4. 샤먼킹 (hp : 15만)
가장 많이 볼 보스이다. top 4의 보스이지만 약하다면 약하고 강하다면 강한 녀석이다.
스웜으로 스킬을 쓰며 중간에 싸우다가 리자드맨들을 소환하고 튄다고 한다.
2.3. revenge 버전 기준.
2.3.1. 플레이어 유닛
어쌔신 : new랑 같다. 빠른 이속으로 적들을 유인하고 유린한다.
어벤져 : 어쌔신이랑 같은 계열이다. 다만 이속이 조금 느리고 체력이 낮다. 평타 데미지와 업글 데미지가 매우 높아서 돈 잘못줬다간 스킬 없이도 어벤져가 평타로 학살하고 다닐 수도 있다.
플레임 메이지 : 불의 마법사이다. 데미지로 말하자면 밸런스가 파괴될 뻔 했다. 그만큼 스킬 데미지가 센 놈이다. 엄청 느리기 때문에 앞에서 나대지는 말자.
기사 : 체력이 많은 탱커이다. revenge 맵을 할 때 이 녀석이 있으면 많이 편하다. 유일하게 캐릭중에서 기본방어 1이 붙어있으며, 초반부에는 데미지도 높다.
프로스트 메이지 : 얼음 마법사이다. 데미지는 상위권이다.
궁병 : 중거리에서 공격한다. 스피드랑 연사력이 장점. 초반부에는 방어력이 높은 적 한테는 데미지가 많이 들어가진 않는다.
스나이퍼 : 사거리가 매우 길다. 생존력도 좋다고 보지만 스피드가 느리다. 데미지는 어벤져보다 약하다.
매직 알케미스트(마법 연금술사) : 사거리가 꽤 길다. 마법계열 치고 평타 데미지도 높다.
전체적으로 직업들의 밸런스는 매우 잘 맞는 편이다.
2.4. Quest Maker 버전 기준.
3. story 만드는 팁
1. 일단 스토리를 만들 플레이어 캐릭터를 골라라. 어쌔신, 스나이퍼, 석궁병, 초인 등 아무거나 좋다.
2. 이제 그 녀석을 기준으로 스토리를 만든다. 그 녀석이 어떻게 샤먼킹, 마인, 세이콘 등이랑 만나게 할 건지를 생각하자.(챕터를 나누어서 하면 좋다. 너무 많이 만들려고 하진 말자. 챕터 5 정도면 충분하다. 주의할 점은 당연하지만 주인공이 나가면 방이 터진다.)
3. npc의 대사를 연습하자. 당신이 하던 mmorpg 게임을 떠올리면 쉽다.
4. 그 녀석이 왜 그 퀘스트를 해야만 하는지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5. 플레이어랑 같이 즐겁게 만들면 된다.(가장 중요하다. 방장이 즐기지 않으면 바로 터졌다고 봐도 무관하다.)
4. 브금
1. second run
2. reminiscence
3. 바람의 동경
4. thanks giving
5. 문제점
기껏해야 방퀘 뉴 맵의 퀄리티. 완성도는 짧은 시간 내에 만들 수 있을 정도. 몹들 자체도 보스몹 말곤 서로 스텟이 비슷비슷해 누구를 써도 차이가 없다. 또한 스토리, 게임시스템, 심지어 보스의 패턴까지 만들어야 한다.
첫 번째는 친목질이 너무 심하다. 몇 십판 같이 한 인맥사이에는 서로 스토리도 잘 알고있다. 심하면 그 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든다. 더 심할 경우 그 사람에게만 특정 편의를 제공한다. 미네랄을 몰래 더 준다거나.
두 번째는 방장을 할 줄 아는 유저는 적다. 제대로 된 스토리를 짜내거나 기능을 사용할 줄 아는 방장유저의 수가 굉장히 적다. 어찌됐든 맵의 중요점은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는 퀘스트 진행이다. 하지만 스토리를 중구난방으로 짜거나, 여기저기 설정구멍이있다면..[2]
세 번째는 몬스터의 스텟이 뒤죽박죽이고 밸런스도 맞지 않는다. 일례로, 울트라는 마린보다 체력이 높은데 마린이 스팀팩을 쓰면 4명의 울트라보다 4명의 마린이 더 강하다, 즉 마린의 공격력이 비정상적이라는 것. 이 같은 경우는 마린의 스팀팩으로 인한 공속 증가를 고려치 않았다는 것이다.[3] 문제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방퀘 뉴는 유닛들의 이름이 정해져 있다보니 스토리 짜기가 힘들다. 트루 라인이 제작한 방퀘 시리즈의 경우 몬스터의 이름이 없어 자기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배경이 가능하지만, 뉴 시리즈는 그렇지 않다.
네 번째는 캐릭간의 벨런스다. 위에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방퀘는 그런거 없다. 그냥 탱커가 탱을 하기전에 적들을 녹여버린다.
성기사가 말이 좋아 서포터지 실상은 사실상 올라운더에 가깝고 서포터 기술이 거의 없는것을 볼수있다.캐릭터들의 스킬 데미지 또한 후반으로 가면 밸런스가 붕괴되는 급으로 강해져서 보스가 패턴을 보여주기도 전에 죽어버린다.
다섯 번째는 방장의 난이도가 너무나도 높다.방장은 혼자서 게임 기획(스토리), 게임 디자인(설정), 게임 프로그램(스킬)을 모두 해야 한다. 즉 이 맵의 의존도는 방장이 99.99% 모든 건 방장이 하기에 달렸는데... 만약 방장이 초보면 어떻게 될까? 이 맵은 평균 플레이 시간이 2~4시간이 나온다. 하지만 초보라면 10분도 하기 힘들고 방폭되고 말 것이다. 그리고 맵의 기능(돈, 부활, 몬스터, 보스 소환, bgm, 동맹 설정, 맵 이동, 유닛 주기, 삭제, 무적, 무적 해제, 강퇴, 포션 주기, 스킬 주기, 핵 장전, 스캔, 문 개방, 시야 공유 차단, 지정 이동, 자동 공격, hp, mp 회복 속도 조정, 포션값 조정 등등.)도 한계적이라 방장 생각대로 따라주지 않는다.이에 대해서 NEW맵에서는 보스를 매우 강하게 패치하였고, 속박cc보스로 벨런스를 맞추었다.[4]
그 외에 초보방장을 위해 각 구간별 설명서를 배치해두는등,이해가 어느정도 될수 있게 되어있다.
다만 초반은 여전히 학살중이고, 방업의 의미가 전보다는 늘었지만 그리 큰 비중은 없다.
이번에 새로나온 Quest Maker에서는 철저하게 계산되어서 초중반까지는 방업으로 탱커역활을 활약할 수 있게 하였다[5]
다섯 번째는 맵 시스템 자체가 너무 낡았다[6] 보스들 스킬도 패턴은 알아도 무조건 쳐맞거나 취소시킬 방법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