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

 


1. 개요
2. 가는 방법
3. 중리·통리해변
4. 보죽산
5. 공룡알 해변
6. 예송리 갯돌 해변
7. 망끝 전망대
8. 김양제 고택
9. 정자리 황칠나무
10. 도치미 끝
11. 윤선도 유적지
11.1. 낙서재와 곡수당
11.2. 동천석실
11.3. 세연정
11.4. 윤선도 문학관

[image]

1. 개요


보길도(甫吉島)는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에 속한 섬이다. 완도군 남서쪽에 위치하며 2개의 유인도와 15개의 무인도와 함께 보길면을 이루고 있다.[1] 보길도는 완도에서 남쪽으로 32km 거리에 있는 섬으로 동서가 12km, 남북이 8km, 노화도, 소안도, 넙도로 둘러싸여 있다. 섬의 면적은 32.98㎢, 해안선의 길이는 41km이다.
보길도의 북쪽해안은 비교적 수심이 얕고 니질로 구성된 간석지가 형성되어 있다. 예송리에서 선창리까지의 남서편 해안은 해안을 벗어나면 곧 20m이상의 수심을 보인다. 이 해안은 산지나 구릉이 연속되고 그 말단 부분이 해수의 침식에 의해 깎여 낭떠러지 해식대와 이에 연속되는 파식대로 해수에 의한 퇴적작용은 볼 수 없고 주로 해식이 강한 암석해안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남서쪽 해안은 해식동과 해식대가 연속되어 분포하고, 해식동은 해변에 면한 암석 중 침식에 약한 암석이 차별 침식되어 검고 깊은 바닷가 동굴을 곳곳에 이루고 있어 수려한 해안경관을 보인다.
보길도에는 여러 종류의 해빈(海濱)[2]이 있다. 모래만으로 이루어진 사빈(砂濱, sand beach)은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데, 중리, 통리 해수욕장 등이 있다. 역(礫)으로 구성된 비치를 역빈(礫濱, single beach)라 하며 역시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자갈(몽돌) 해안이라고도 하는데 예송리 해수욕장이 이에 해당한다. 보옥리는 ‘공룡알 해변’으로 불리는데 공룡알처럼 생긴 돌들로 이루어진 역빈 해안이다. 예송리와 보옥리는 외해에 접해 있어 역빈 해안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보길도는 난류의 영향으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이다. 1월의 평균기온은 0.1℃, 8월의 평균기온은 25.3℃ 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98mm, 연 강설량은 11mm이다.

2. 가는 방법


본토에서 보길도로 가는 여객선 편은 크게 2개가 있다. 보길도에 직접 도착하는 배는 없고, 대신 보길도와 보길대교로 연결된 노화도에 닿는다. 노화도에서 보길도까지는 육로로 다닌다.
첫번째는 해남 땅끝마을과 노화도 산양항을 오가는 여객선, 두번째는 완도 화흥포항과 노화도 동천항을 오가는 여객선이다.(참고로 완도공용버스터미널에서 완도 화흥포항까지 셔틀버스가 있으므로 그걸 이용하면 저렴히 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완도군청 홈페이지의 여객선 정보 참고.

3. 중리·통리해변


보길도 동쪽 해안 2곳에는 모래 해변이 발달해 있는데 각각 마을 이름과 해변 특징을 결부하여 '중리 은모래 해변'과 '통리 솔숲 해변'으로 불린다. 두 곳다 모래 입자가 매우 곱고 숙소와도 가까운 편이라 여름이면 많은 휴양객들이 찾는다. 보길도에는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해수욕장이 총 세군데가 있는데 그 중 두군데가 바로 중리·통리의 사빈이다.

4. 보죽산


보길도 남쪽 보옥리 뒤쪽에 위치한 산으로 이름그대로 뾰족하게 솟아오른 산이다. 보길도 현지 사람들은 보옥리를 뽀리기라고 부르는데 뾰족산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정된다. 겉보기에는 도저히 오를 수 없을 것 같지 생겼지만 의외로 등산로가 잘 갖춰진 산이다. 다만 경사가 매우 급하므로 노약자가 등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5. 공룡알 해변


보옥리 안쪽으로 들어가서 마을을 감아 돌아 흐르는 냇가를 따라가다 보면 나오는 해변이다. 어른 머리크기 만한 돌들로 이루어진 해변으로 돌들이 파도와 바람에 침식되어 둥글둥글해 마치 공룡알처럼 보인다. 공룡알 해변에 다다르면 이 돌들을 이용해 탑 쌓기를 하는데 중심점만 잘 잡으면 성인 키 만큼 돌을 쌓는 것도 가능하다.그리고 이 곳에서 날씨가 좋은 날에는 사수도를 볼 수 있다.

6. 예송리 갯돌 해변


검은 빛을 띄는 작은 갯돌로 이루어진 해변으로 보길도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파도에 작은 갯돌들이 밀려다니며 촤라락 소리를 내는데 곱게 마모된 갯돌들이 굴려서 나는 소리가 의외로 들을만 하다. 과거에는 외지인들이 마대자루에 갯돌을 퍼가거나 차량을 이용해 가져가기도 했으나 현재는 철저히 반출이 금지되어 있다. (CCTV까지 설치되어 있으며,인적이 감지될 시 갯돌을 가져가지 말라고 안내방송까지 나오므로 가져가지 맙시다.) 그리고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곳 중 나머지 한군데가 바로 이곳 예송리 몽돌해변이다.

7. 망끝 전망대


보길도 서남쪽에 위치한 전망대로 맑은 날에는 이 곳에서 제주도까지 보인다. [image] 확대해서 보면 거뭇하게 제주도 한라산의 모습이 보인다. 참고로 이곳의 위치는 망끝전망대의 왼편의 위치한 주차장이다.

8. 김양제 고택


한국·일본·중국식 건축기법이 사용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고택이다. 고택 안쪽에는 성모상이 위치해 있어서 서양적 기풍까지 가미되어 있다. 고택 뒤쪽 뜰에는 승탑이 위치해 있는데 완도 법화사지에 위치해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라 한다.

9. 정자리 황칠나무


국내에 있는 황칠나무 중 가장 크고 수령도 오래된 황칠나무로 천연기념물 479호로 지정되어 있다.

10. 도치미 끝


보길도 동쪽 반도에서 뻗어나온 작은 반도 부분이다. 이곳 방언으로 도끼를 도치미라고 하는데 풀어서 읽으면 도끼 끝이라고 읽을 수 있다. 바다 한복판으로 뻗어나온 좁은 반도라서 사방으로 펼쳐진 바다 풍경을 감상 할 수 있고 가는 도중 무수히 피어 있는 부처손도 발견 할 수 있다.

11. 윤선도 유적지


보길도는 윤선도가 여생을 마칠 곳으로 삼은 이다. 보길도에서의 운둔 생활은 병자호란의 수치로부터 대의를 세우고 자기를 배척하는 세상 사람들의 질시에서부터 떠나고자 함이었다. 병자호란 당시 윤선도는 청나라에의 항복을 반대하는 무리의 우두머리였는데 1636년 왕이 삼전도에서 청나라 태종에 굴복하자 항복을 반대하던 윤선도가 은거를 한 곳이 완도군의 보길도다. 이곳은 윤선도의 본가인 해남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으로 속세와 멀고 경관도 수려하여 조용히 여생을 정리하는데 안성맞춤인 곳이다.
보길도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가 있고, 분지를 벗어나면 모두 바다와 닿아 있다. 세가 마치 피어오르는 연꽃 같다고 해서 분지 안을 부용동이라 이름 붙였다. 부용동에서 바다로 연결되는 곳은 들어오는 입구밖에 없다. 윤선도의 유적지는 이곳 부용동에 위치한다.

11.1. 낙서재와 곡수당


낙서재는 고산 윤선도가 이곳에 유배할 당시 살았던 곳으로 윤선도가 살았을 당시에는 초가였던 곳을 후손이 기와집으로 개축하였는데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이곳은 고산이 거처하며 시를 짓던 산실이다.
곡수당은 낙서재로부터 동북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정자로 윤선도의 자제 학관이 주로 머물렀던 건물이다. 부용동 원림에는 이곳 말고도 세연정이라는 훨씬 큰 규모의 정자가 있지만 이곳 역시 작은 개울을 중심으로 윤선도의 아들이 조성한 초당, 석정, 석가산, 연지, 화계, 다리 등의 다채로운 조원이 조성되어 있다.

11.2. 동천석실


고산 윤선도 선생은 부용동 안산의 산 중턱에 한 칸의 정자를 짓고 동천석실로 이름을 지었으며, 이를 수시로 찾았고 이곳을 부용동 제일의 절승이라고 하였다. 동천(洞天)이란 문자적 의미로는 신선 또는 은자가 사는 곳으로, 그곳은 선경과 같이 수려한 경관을 지닌 지상낙원이며, 문학작품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공간으로 나타나고, 실제 공간과 관련되어 ‘좁은 입구를 통해 들어가게 되면 누구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곳’이라는 지상낙원의 장소로 표현되어 있다.

11.3. 세연정


[image]
‘세연(洗然)’이란 ‘주변경관이 매우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하다’는 뜻으로, 세연정은 주로 윤선도의 연회와 유희장소로 쓰였다. 세연정 주변에는 계담과 계담을 막는 판석보, 동대와 서대, 칠암과 흑약암 등이 있으며, 옥소대라 불리는 석대가 존재한다. 옥소대는 세연지 건너편 산 중턱에 있는 넓적한 바위로 고산 윤선도 선생은 자녀들에게 소매가 긴 채색옷을 입혀 춤추게 하고 그 모습이 세연지 못에 거꾸로 비치는 그림자를 즐겼다고 한다.

11.4. 윤선도 문학관


윤선도의 작품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으로 윤선도 원림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1] 부속 무인도서로는 소도, 복생도, 치도, 기도, 황도, 동추도, 가도, 남도, 옥매도, 미정도(미역섬), 상도, 사도, 항도, 가덕도, 동마도 등 15개가 있다.[2] 파랑과 연안류가 해안선을 따라 모래나 자갈을 퇴적시켜 만들어 놓은 지형, 파랑의 작용을 직접 받은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