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지 필화사건
'''문학작품 용공 탄압 제1호'''[1]
대한민국에서 계급의식이 법적으로 배척될 근거는 전혀 없으며 반미감정을 어째서 불법으로 단속할 수 있는가? 북괴가 반미 한다고 하여 대한민국 국민이 반미감정을 가져서는 안된다는 논법이 선다면, 지금 한창 반미노선을 걷고 있는 프랑스의 드골 대통령을 추켜올려도 북괴 동조라는 삼단논법이 성립되지 않겠는가? '''우리의 민주주의를 스스로 창살 없는 감옥으로 만드는 우(愚)만은 절대로 범해서는 안되겠기에''' 감히 일언하는 바이다.
조선일보(!) 1967년 5월 26일자 사설 #
1. 개요
1965년, 소설가 남정현이 발표한 「분지」라는 소설을 공안당국이 문제 삼은 필화사건.
2. 전개 과정
2.1. 소설 「분지」
1965년 소설가 남정현은 현대문학 1965년 3월호에 소설 하나를 써냈다. 그 소설의 제목은 '분지(糞地)'였다. '똥의 땅'이라는 뜻의 제목을 가진 이 소설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이 소설에서 남정현이 의도한 바는 '''민족적 자존의 본질과 미국의 오만성'''이었다.
2.2. 반공법의 굴레
남정현은 1965년 5월 초에 중앙정보부에 의해 연행되었다. 여기서 그는 자신이 쓴 소설의 용공성과 북한과의 관련성을 고백할 것을 요구받았다. 그는 자신의 혐의를 부인했고 마침내 7월 7일 정식으로 구속되었다. 검찰은 찬양 및 고무 관련 조항인 반공법 제4조에 의거해서 "남한의 현실을 왜곡 허위선전하며 빈민대중에게 계급 및 반정부의식을 불식 조장하고 (···) 방공의식을 해이케 하는 동시에 반미감정을 조성 격화시켜 반미사상을 고취하여 한미유대를 이간함을 표현"한다고 「분지」와 남정현을 공격했다. 공안당국은 이 소설을 처음부터 반미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용공소설로 본 것이다.그 때 수사관들은 <분지>는 네가 쓴 것이 아니라 북에서 누가 써가지고 와서 너에게 건네준 것이 틀림없다.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받았다는 이야기만 정직하게 털어놓으면 이곳에서 살아나갈 수가 있으니 어서 대답하라고 다그쳤다. 그러더니 나중에는 너의 작품은 그렇게도 하나같이 북의 대남전략에 편승하여 철저하게 반미·반정부를 선동했느냐고 호통을 쳤다. '''소설이란 아기자기한 사랑이야기가 주가 되어야(...) 하는데, 소설마저 일일이 세상일을 꼬집고 나서게 되니 세상이 조용할 리가 있느냐'''고 큰소리치기도 했다. [2]
<민족자주의 문학적 열망>, 남정현
남정현을 변호하기 위해 이항녕, 김두현, 한승헌 변호사가 사건을 맡았다. 남정현을 처음으로 등단시켰던 작가 안수길도 특별변호인 자격으로 사건에 임했다. 변호인 측에서는 당시 한참 떠오르고 있던 젊은 문학평론가 이어령을 증인으로 내세웠고. 검사 측에서는 북한에서 온 전향 인사와 전향 간첩들이 증인으로 나왔다. 재판은 1967년 9월 6일부터 시작되었다.
재판 내내 검사 측과 변호인 측을 사로잡았던 것은 '소설의 용공성과 반미성, 그리고 그 소설적 표현'이었다. 검사는 「분지」 속의 표현들을 들며 이 소설이 반미감정과 계급의식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남정현은 「분지」는 소설이기에 가능성의 세계를 표현한 것이고 우화와 상징의 기법을 사용했다며 항변했다. 또 북한의 선전에 동조할 의사가 없었다며 자신을 변호했다.
한편 소설에 대한 각 증인들의 반응도 볼 만 했다. 먼저 검사 측 증인들은 모두 북한에서 온 전향자들이었기에 검찰의 기소내용을 충실히 따르는 편이었다.
반면 변호인 측 증인이었던 이어령은 소설적인 기법을 강조하며 이 소설을 적극 변호했다."제목부터 심히 반미적이다." - 공산권문제연구소장 한재덕
"그 내용이 남한에 대한 북괴의 악선전을 대신하고 있다.", "내용 자체가 북괴의 선전과 동일하다. - 남파간첩 최남섭
"철두철미한 공산주의 작가가 최고로 기술을 발휘해서 쓴대도 이 이상일 수는 없을 것이다." - 함흥공산대학 출신 이영명
변호인 : 이 소설은 반미적인가?
이어령 : 이 소설은 '''우화적 수법으로 쓴 것이므로 친미도 반미도 아니다.'''
변호인 : 현실 그 자체를 그린 것이 아니란 말인가?
이어령 : 그렇다. 이 작품에서 한국 여성과 미군의 관계는 미국 문화가 한국 문화에 접촉하는 과정을 비유한 것이다. 계급의식이란 것도 빈부의 차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관해서 작품 안에 언급이 없으므로 단순히 약자에 대한 동정으로 해석된다. 군 복무의식을 해이시켰다는 문제도 지엽적인 상황 설정이지, 그것이 목적이 아니므로 인정될 수 없다.
변호인 : 이 작품에서 작가는 어떤 저항성을 보이고 있는가?
이어령 : 그에게는 저항성의 일면과 도술, 은둔 등 동양적 풍류사상의 양면성이 있다.
변호인 : 이 작품이 북한 공산집단의 주장에 동조했다고 공격을 받고 있는데?
이어령 : '''달을 가리키라는데 달을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보는 격이다.''' 남씨가 가리키는 달은 주체적인 한국 문화이며 '어머니'로 상징되는 조국이다.
여러 번의 공판을 거친 후 검사는 남정현에게 징역 7년 형을 구형했다. 이에 변호인들은 '작가가 북괴에 동조했다고 볼 수 없다'면서 무죄를 주장했다. 특별변호인이었던 안수길의 경우에는 문학적인 표현과 관련 사례[3] 를 들면서 남정현을 변호했다. 하지만 1967년 6월 28일 법원은 "소설 「분지」가 우리 민족 주체성의 확립이라는 염원을 소설로 표현"했다면서 북한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부인했지만 "목적이 없다해도 독자에게 반국가단체에 호응하는 감동을 일으키는 걸 인식했다면 유죄"라며 남정현에게 선고유예 판결을 내렸다. 검사 측과 변호인 측 모두 여기에 항의해 항소했지만 고등법원은 이를 모두 기각했고, 남정현도 오랜 법정공방에 지쳐 더 이상의 재판을 원치 않는지라 사건은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검사 : 이 소설을 처음부터 상징으로 보았는가?
이어령 : 어머니를 강조한 데서 그렇게 느꼈다.
검사 : 작가의 내심까지 알 수는 없지 않은가?
이어령 : 작품은 자기가 썼지만 일반에게 발표가 된 뒤에는 작가만의 것이 아니며, 그렇다고 독자가 멋대로 해석해서도 안된다. 작품 속에 담긴 상징성은 그대로 존중되어야 한다.
검사 : 나는 이 소설을 읽고 놀랐는데 증인은 용공적으로 보지 않았는가?
이어령 : 나는 놀라지 않았다. 병풍 속의 호랑이를 진짜 호랑이고 아는 사람은 놀라겠지만, 그것을 그림으로 아는 사람은 놀라지 않는다. <분지>는 신문기사가 아니다.
검사 : '''증인은 반공의식이 약해서 이처럼 증언하는 것 아닌가?'''
이어령 : 나의 저술과 나를 비평하는 글들이 그 점에 대한 증거가 될 줄 믿는다.
3. 참고 자료
한승헌의 재판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 소설 '분지' 필화사건 上편中편下편
채형복 교수의 한국문학의 필화사건 - 남정현 <분지> 필화사건 1편2편3편4편
문학평론가 임헌영의 필화 70년 - 남정현 <분지> 필화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