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지(시술)

 

[image]
1. 개요
2. 임플란트와의 비교


1. 개요


치과의 치료법 중 하나.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심하게 상한 치아를 뽑아낸 뒤 그 치아의 양 옆에 있는 치아를 갈아내고 갈아낸 양쪽 치아를 지지대로 삼아 필요한 만큼 크라운을 제작하여 부착하는 시술이다. 일종의 소형 틀니로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임플란트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충치 치료의 최후 처방인 '''발치''' 이후의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었으며, 지금도 임플란트와 함께 쓰이고 있다. 다만 임플란트에 비해 인지도는 꽤나 부족한 듯 하다.

2. 임플란트와의 비교


임플란트에 비하면 치유 기간도 짧고[1], 비용도 저렴한 편이다[2]. 다만 어디까지나 '''임플란트에 비해''' 저렴하다는 거지, 기본적으로 크라운을 3개나 해 넣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십만원은 들어간다.
임플란트가 등장한 이후 임플란트의 홍보를 위해 상당히 평가절하되는 부분이 있는데, 완전히 없어진 치아 메꾸자고 양 옆의 치아 두 개를 갈아내는 것이 가장 비판받는 요소다. 이전까지는 크라운 시술이 완전히 틈을 메꿀 정도의 정밀함이 없던 탓에 시간이 지나면서 크라운 속의 치아가 삭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이와 연관되어 더욱 비판이 가중되곤 했다.[3] 게다가 치아를 새로 끼우는 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양 옆의 치아를 지지대로 일종의 소형 틀니를 씌우는 형태인지라 임플란트에 비해 이물감도 큰 편이다. 더불어 양 쪽에 지지대 역할을 해주는 치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맨 끝의 어금니가 손실된 경우엔 어려운 편.
그럼에도 지금까지 사라지지 않고 임플란트와 병용되고 있는 이유는 위에 언급한 값이 싸고 시술이 빠르다는 점과, 환자에 따라 임플란트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점 때문이다. 임플란트가 턱뼈에 나사를 박아넣는 구조이다 보니 턱뼈가 약한 사람은 이게 힘들 수 있다.[4]또한 주로 노년층이 대상이기에 전신 병력으로 인해 인종의 수술인 임플란트 수술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영구 손실된 치아 양 옆의 치아가 '''멀쩡하다'''는 것 역시 어폐가 있을 수 있는 것이, 충격에 의해 빠진 것이 아닌 충치치주염으로 인해 뽑을 정도까지 간 치아라 한다면 그 양 옆의 치아들도 그리 멀쩡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 이 경우엔 해당 치아들의 치료까지 감안해서 보아야 하므로 전체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때 치과의사의 판단이 중요해진다.
더불어 크라운 정도로 끝나는 만큼 시술 후 관리도 임플란트보다 용이한 면이 있고, 해당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치간에 음식물이 끼는 경우를 막을 수 있어 위생 관리 면에서도 용이해지는 면이 있다. 허나 잇몸과 브리지의 경계는 틈새가 있기 때문이 이 부분의 위생관리는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크라운 시술의 정밀도도 높아져 치아와 크라운 사이의 틈도 상당 부분 좁혀져 크라운의 수명이 높아진 것 역시 브리지가 임플랜트 다음 가는 시술법으로 자리잡게 만든 요인 중 하나.
그렇기에 치아가 영구 손실되었다고 해서 바로 임플란트로 대체하기 보다는, 자신의 치아 상태와 연관지어 어느 쪽이 더 나은지 의사와 상담받은 뒤 결정하는 것이 좋다.


[1] 다만 이 시술도 잇몸이 아물 때까지는 기다려야 한다.[2] 다만 임플란트를 딱 하나 넣을 경우는 임플란트가 더 저렴할 수도 있다.[3] 당장 임플란트 관련 광고에서 이런 식으로 삭은 브리지 치아와 임플란트 비교란이 나오곤 한다.[4] 그밖에도 매우 희귀한 확률로 티타늄 알러지가 있다면 임플란트는 아예 포기해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