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북

 



1. 개요


1. 개요


국악기의 하나.
일반적으로 그냥 으로 부르지만 판소리 북과 구분하기위해 소리북(판소리)과 사물북(사물놀이 등) 혹은 풍물북으로 부르기도 한다. 사물북은 소리북과는 다르게 사진에 보듯이(오른쪽 검은색) 통 양쪽에 가죽을 대고 끈으로 조여서 몸통과 끈사이에 나무를 대서 팽팽하게 만들었다. 소리북은 가죽을 댄 주변에 쇠구슬 모양의 장식을 박는다.
가락면에서는 꽤 단순한 악기이며 그만큼 소리크기가 먹고 들어가야 하는 악기이다. 다른 사물(꽹과리나 장구)가 손목을 사용하지만(장인들은 그럴지 모르지만, 사물놀이를 배우는 학생이 장구를 손목으로'만' 치면 엄청나게 까인다. 일단 기본적으로 소리가 안나기 때문에 장구는 처음엔 어깨를 이용해서 치도록 지도하는 경우가 많다.) 북은 칠때 팔 전체가 날개처럼 움직이면서 친다. 사물놀이와 농악에서 전체 리듬을 담당하며 구름을 뜻한다.
지방에 따라 북의 판비중이 다른데 양북으로 북의 양쪽을 장구처럼 다 치는 방법도 있고(진도북춤) 고창농악에서는 북의 변죽을 장구의 '따'와 같은 박자에 친다('태를 친다' 라고 표현한다. 또 일반적으로 연주하지만 장구의 설장구처럼 북춤이 있는 판도 있다. 장구와는 다르게 화려함보다는 다른사람과의 군무로써의 단합이 중요한 솔로이다.
사물놀이 악기중 가장 무거우며[1] 풍물의 경우 끈을 어깨에 걸치고 치기 때문에[2]어깨가 무진장 아프다. 그리고 치는 높이에 무릎이 딱 걸리는 위치라 허벅지에 멍이 잘 드는 악기이다.
[1] 장구의 경우 허리에도 매서 고정하기 때문에 실제로 매고 치면 무거운 편은 아니다. 다만 꽹가리의 경우 작지만 손가락 하나로 지탱하기 때문에 실제 치배가 느끼는 무게감은 상당하다.[2] 다만 고창농악 등 북을 들고 치는 경우가 많은 경우 어깨에서 조금 더 내려와 팔뚝에 북을 맨다. 이럴 경우 북을 들고 움직이기 훨씬 자유롭지만 그에 비례해 팔도 박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