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무기/근접무기

 


1. 검
1.1. 피의 칼날(Blood Blade)※
1.2. 활활 타는 클로(Flaring Claw)
1.3. 도검※
1.4. 삽(Shovel)
1.5. 칼(Machete)
1.6. 대검(Broadsword)
1.7. 카타나(Katana)
1.8. 해적 세이버(Pirate Saber)
1.9. 쌍날검(Double Blade Sword)
1.10. 40m 장검(40m Long Blade)
1.11. 부러진 칼자루(Broken Hilt)
1.12. 푸른 광선검(Laser Sword Blue)
1.13. 붉은 광선검(Laser Sword Red)
1.14. 레이저 검 그린(Laser Sword Green)
1.15. 공허의 검(Void sword)
1.16. 쌍절곤(Nunchaku)
1.17. 화염검(Flame Sword)
1.18. 얼음검(Frost Sword)
1.19. 총검박(Bayonet in a Gourd)
1.20. 마도창검(Mo Dao)
1.21. 자색 레이저 검(Laser Sword Purple)
1.22. 그랜드 나이트의 검(Grand Knight's Sword)
1.23. 카레 방망이(Caliburn)
1.24. 수정 게의 카타나(Crystal Crab's Katana)
1.25. 칠흑의 검(Deep Dark Blade)
1.26. 파라오의 검(Pharaoh's sword)
2. 창
2.1. 세검(Rapier)
2.2. 도살자의 칼(Butcher's Knife)
2.3. 건초 갈퀴(Pitchfork)
2.4. 창(Spear)
2.5. 고블린 장총(Goblin Spear)
2.6. 나무 막대기(Wood stick)
2.7. 레트로 스피어(Retro Spear)
2.8. 기사 장총(Knight Spear)
2.9. 도끼창(Halberd)
2.10. 삼지창(Trident)
2.11. 레이저(Laser)
2.12. 전기 드릴(Electric Drill)
2.13. 불안한 나무 몸통(Agitated Trunk)
2.14. 황금 여의봉(Golden Cudgel)
3. 도끼
3.1. 성스러운 도리깨(Sacred Flail)
3.2. 원초 도끼(Raw Axe)
3.3. 도끼(Axe)
3.4. 전투 도끼(Battle Axe)
3.5. 망치(Hammer)
3.6. 나무 망치(Wooden hammer)
3.7. 장대 도끼(Long-handled axe)
3.8. 메이스(Mace)
3.9. 대낫(Sickle)
3.10. 처형자(Executioner)
3.11. 돌 망치(Stone hammer)
3.12. 화염 도끼(Flame Axe)
3.13. 고기 분쇄기(Meat grinder)
3.14. 폭발하는 망치(Explosive Warhammer)
3.15. 천둥 망치(Thunder warhammer)
3.16. 하데스의 숨결(Breath Of Hades)
3.17. 황금 게 전투망치 (Golden Crab Warhammer)

적탄을 제거할 수 있다. 크게 검, 창, 도끼, 둔기로 나뉜다.
칼은 옆으로 넓게 휘둘러서 탄막 제거에 적합하고, 창은 찌르기 때문에 공격 반경은 좁은 대신 사거리가 조금 더 길다. 도끼는 차징해서 360°로 휘두르는 공격을 할 수 있고, 망치는 땅을 쳐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이 충격파는 치명타 시 스턴을 걸고, 레이저 특성을 찍으면 범위가 늘어난다.[1]
모든 캐릭터는 기본으로 적이 가까이 있을 때 공격 버튼을 누르면 근접 공격을 한다. 단 근접무기를 들고 있을 때는 그냥 그 무기를 휘두른다. 기본 근접 공격은 캐릭터마다 공격력이 다르며 근접무기와 비교해 공격력이 낮으나 공격 딜레이가 거의 없다.
시작 방에서 근접무기를 가져간다면 키워서 쓸 수 있는 대파와 당근, 나무 9개짜리 야구방망이, 배드민턴 라켓, 탄막 지우기 용 고기, 재료 값은 하는 푸른 광선검, 게임을 끝낼만한 성능인 번개검을 주로 쓰게 된다.
여담으로, 근접무기류에 빨간 등급 무기가 가장 많다.

1. 검


휘둘러 공격하는 근접무기가 이 분류에 속한다.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휘두르는데, 양날검이 아니더라도 둘다 피해가 같아서 의문이 많이 생긴다.

1.1. 피의 칼날(Blood Blade)※


[image]
암살자의 기본무기이며, 기본무기 중에선 손꼽히는 성능을 가진 무기.[2]
차징을 하고 사용하면 전진하며 2번 연속으로 베고, 암살자를 8000젬을 주고 업그레이드하면 사진처럼 색이 더욱 붉어지며 3번 연속으로 벤다. 연속베기 직후에 딜레이없이 한 번 더 벨 수 있어 폭딜용으로 유용한 옵션. 다만 기동성은 그냥 걷는 속도와 비슷하다. 다만 흑검베기 특성상 스킬을 쓰면서 충전 공격을 하기는 어렵지만 충전이 상당히 빨라서 그냥 질주를 쓰고 나서 충전 공격을 해도 괜찮다. 차징 시간 감소 특성이 있으면 흑검베기와 병행해도 괜찮을 정도로 충전이 순식간에 끝난다. 그리고 차징하여 벨 때 도적의 구르기를 사용하면 멀리 뛴다.
그나마 단점이라면 돌진하며 칼을 베는 그 사이에 총알에 무방비 상태가 된다.
기사가 쓰면 미친 속도로 6번을 베는데 딜레이에 한타씩 추가로 공격하는 느낌이다. 총알에 무방비 상태가 되지 않는다!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챌린지가 있으면 거의 피가 날리는 느낌으로 학살하고 다닌다...
  • 버그
완전 자동 장치없이 플레이어가 너무 빠르게 차징, 공격을 시행하면 갑자기 충전 마크가 사라지고 차징된 것처럼 깜빡이지만 아무리 터치해도 공격이 안되는 버그다. 무기를 바꾸면 해결되지만 보조 무기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했다면 쳐맞고 있을 수밖에 없다...
[image]
원래는 두 번 때린 상태라서 칼이 안보여야 정상이다. 그러나 깜빡이면서 동작하지 않으며 칼이 보이는 상황. 원래 6번 때려야 하지만 3번 때린다. (기사스킬 사용 시)
[image]
정상일 때의 모습이다. 칼이 안보이고 데미지가 다단히트로 들어가며 1타와 2타가 연쇄 작용한다.

1.2. 활활 타는 클로(Flaring Claw)


[image]
늑대의 기본무기이다. 캐릭터 풀업 전에는 한 손으로 공격하지만 풀업 후에는 양손으로 공격하며 치명타 시 적에게 화상 디버프를 건다.

1.3. 도검※


[image]
도사의 기본무기. 생김새와 용도는 그냥 목검이다. 하지만 변형 버튼이 있는데, 이걸 누르면 검을 위로 세워서 잡고 공격을 하면 법사의 1번 스킬보다 살짝 약한 번개를 내리치지만 튕기지 않으며, 일정 확률로 기절이다.

1.4. 삽(Shovel)


[image]
왼쪽 농장에 기본으로 있는 무기. 대미지는 낮지만 게임 시작할 때 총알 막기용으로 가져가면 좋다. 농장에 있는 작물을 파낼 수 있다.

1.5. 칼(Machete)


[image]
무난한 무기.

1.6. 대검(Broadsword)


[image]
공격력도 높고 사거리도 다른 검에 비해 길다. 공격속도는 느리나 건초 갈퀴보다 빠르다.
공격 시 이동속도가 줄어든다.

1.7. 카타나(Katana)


[image]

당신이 당신의 임무에 실패하면 나와 함께 KYS -지하실

사거리는 중간, 공격속도는 약간 빠르다. 휘두르고 있으면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단련의 용광로에 단련 시 광선검 시리즈 획득 확률이 높다. 칼의 상위호환.

1.8. 해적 세이버(Pirate Saber)


[image]
공격속도가 광선검 바로 아래 수준으로 빠르다. 짧은 사거리가 흠. 칼과 비슷하지만 이속증가가 있다. 대미지가 7로 상향되었다.

1.9. 쌍날검(Double Blade Sword)


[image]
8이라는 준수한 공격력에 공격속도도 빠르다. 사거리는 중간.

1.10. 40m 장검(40m Long Blade)


[image]
[image]
인게임샷.
엄청난 크기를 자랑하는 무기.. 소울 나이트에서 가장 큰 무기이다. 그 대신 속도가 매우 느리다. 칼을 한 번 휘두르고 다음 휘두를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전투용으로는 좋지 않다.
대신 긴 사정거리를 이용해 몰이 사냥을 하거나 탄막 제거, 벽을 이용한 얍샵이가 가능하다. 긴 사정거리 하나뿐으로 수비적인 플레이가 편한 어느정도 쓸만한 무기.
사정거리가 길어서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과 궁합이 환상적이다. 그에 따라 암살자가 쓰기 좋은 무기. 더욱이 능력 사용 후 즉시 적을 처치해야할 때 안성맞춤이며 탄 튕김으로 보스전에 다소 힘빠지는 암살자 딜량을 많이 해소해준다.
소울 나이트 최악의 치명타율을 가졌다.

1.11. 부러진 칼자루(Broken Hilt)


[image]
사거리가 짧고 보잘것없지만 '손상된 검'과 조합 시 '다시 벼린 성검'을 제작할 수 있다.

1.12. 푸른 광선검(Laser Sword Blue)


[image]

포스가 함께하기를 -지하실

광선검 시리즈 1. 공격력이 가장 낮지만 휘두를 때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광선검 시리즈 중 치명타 확률이 가장 높다. 치명타 확률 증가 특성 획득 시 매우 좋아진다. 대신 치명타 확률이 상승할수록 초록색 광선검의 효율이 더 좋아지니 바꿀 수 있으면 바꾸자.

1.13. 붉은 광선검(Laser Sword Red)


[image]

포스에 대하여 아무것도 몰라요 -지하실

광선검 시리즈 2. 모든 광선검 시리즈는 공격속도가 빨라 일반 검 중에서 가장 괜찮은 편이다. 레이저 특성을 찍으면 데미지가 2 상승한다.
광선검 시리즈 중 공격력이 가장 높지만 사용할 때 이동속도가 빨라지지 않고 치명타가 낮다.[3]

1.14. 레이저 검 그린(Laser Sword Green)


[image]
광선검 시리즈 3. 붉은 것과 파란 것의 중간. 공격력도 괜찮으면서 이동속도도 약간 빨라지고 치명타 확률도 적당하다. 혼자서 영어로 번역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광선검 시리즈 중에 가장 좋은 효율을 보인다. 파란색보단 치명타율이, 빨간색보단 기본 공격력이 아쉽긴하지만 그 둘의 절충형이기 때문. 특히 치명타 확률 증가 특성 혹은 레이저 특성을 얻거나 아예 기본 치명타율이 높은 암살자가 쓸 경우 다른 광선검보다 DPS가 더 좋아진다. 물론 셋 다 해당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이 최강의 광선검.

1.15. 공허의 검(Void sword)


[image]
차징하는 동안 적을 끌어들인다. 공격력과 범위는 굉장하나 에너지 소모가 너무 크다. 게다가 근접 몹들을 끌어오면 오히려 안 쓴것만 못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운용 난이도가 어려운 편.
하지만 차징 시간 감소 특성을 든다면 쉽게 탄막을 지울 수 있고, 광전사가 이것을 들고 스킬을 쓴다면 광범위 끌어오기 + 극딜 공격을 할 수 있어 조건부로 상당히 쓸만한 무기가 된다.

1.16. 쌍절곤(Nunchaku)


[image]

BAM! BAM! BAM! -지하실

고기보다 공격속도가 빠르고 사거리가 조금 길다. 고기 상위호환의 탄막 제거용 무기.
그러나 데미지는 더 약하고 이속이 오히려 느려진다.

1.17. 화염검(Flame Sword)


[image]
검을 휘둘러 화염 속성의 탄환을 부채꼴로 5발 발사한다. 산탄 수 증가 효과를 받는다. 근접 공격, 원거리 공격에 치명타가 터지면 화상 대미지를 입힌다. 원소탄 특성만 있어도 화상 피해까지 합쳐 최대 48 대미지, 최소 18 대미지[4]이라는 강력한 피해를 한 번 휘두를 때마다 근접에서 먹이지만 휘두를 때마다 4 에너지에 CC도 없어서 일반적인 캐릭터가 쓰기엔 무리가 있다. 암살자나 도적이라면 사용해 보자.
또한 근접무기임에도 어지간한 특성은 전부 적용되어 찍는 만큼 안그래도 강한 피해량이 더욱 증폭된다는 장점이 있다.
번개검의 너프로 재료 중 빨간색 마력 조각 1개가 줄었다.

1.18. 얼음검(Frost Sword)


[image]
공격 시 검을 휘둘러 얼음 속성의 고드름을 부채꼴로 5발 발사한다. 근접 공격, 원거리 공격에 치명타가 터지면 적을 빙결시킨다.
치명타율이 꽤 높은 편이기에 근접해서 공격하면 보스가 움직이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보스 난이도는 매우 낮아지고 얼음 특성까지 찍었다면....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무기에 적용될 수 있는 특성이 상당히 많다는 점에서, 잠재력이 어마어마하다고 할 수 있다.
가능한 특성들을 모두 적용시킨 얼음검은 잡몹전에서는 휘두르기만 하면 맵상의 모든 적들을 반영구적으로 얼리게 된다.
보스전에서는 근접에서 치명타 시 한 번에 50피해 가량을 입히는 최강의 무기가 된다.
근접무기만 사용 시 1순위로 추천...이었지만 핵심은 번개검의 재료라는 것.
무기 제작자에게서 맷돌을 얻어 장착하면 엄청난 화력으로 적들을 갈아버리는 믹서기가 된다.

1.19. 총검박(Bayonet in a Gourd)


[image]
사용 시 박(호리병)이 살짝 흔들리며 두 자루의 칼을 소환한다. 칼은 주위를 날아다니다가 적을 잠시 겨누고 대상을 찌르고 벤다. 근접무기 공격범위 증가 특성, 산탄 수 증가 또는 소지 무기 수 증가를 찍으면 세 자루로 늘어나는데 나머지 자루는 초록색이다.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이 적용된다. 근접무기를 주력으로 쓰고 근접/샷건 조합을 선호하는 암살자에게는 탑티어 보조무기이다.
사거리가 길고 시야에 적이 들어올 필요가 없으므로 보스전 때 구석이나 벽 뒤에 숨었다 도망다니기를 반복하며 총검박이 처리해주기를 기다리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역시 큰 리스크이므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1.20. 마도창검(Mo Dao)


[image]
그냥 누르면 대미지가 겨우 4라 구데기로 보이지만, 공격 키를 꾹 누르면 한 번 벤 후 서서히 전진하면서 3번 찌르기 공격을 한다.
베기와 찌르기 모두 사거리가 길어 벽 뒤에 있는 적도 공격할 수 있어서 기사, 광전사와 궁합이 좋다.
맷돌 착용 시 흰색 등급이라도 거의 빨간 무기 수준으로 좋아진다. 심지어는 보라색 등급 맷돌 장착시 '''두배'''로 세진다.
추천 특성은 콤보 피트 증가, 근접무기 공격범위 증가, 무기 공격 속도 증가 등이 좋다.
잘만 쓰면 사기 무기 취급이라 많이 쓰이므로 기원의 장에서 엄청 잘 뜨니 8번 먹고 작업대에 올리자.[5]

1.21. 자색 레이저 검(Laser Sword Purple)


[image]
조합식
푸른 광선검 + 붉은 광선검
[image]
일반 터치 공격은 광선검 시리즈의 공격에 보라색을 칠한 것이고, 풀차징 공격은 그랜드 주술사, C6H8O6, 암흑군마, 바콜린 지도자, 아기 드래곤 형제 등의 보스들처럼 플레이어의 전방을 휩쓴다.
에너지는 카레 방망이처럼 풀차징 공격에만 소비된다. 잡몹 처리에는 매우 좋지만 차징 시간도 오래 걸리고, 벽은 못 뚫고, 탄막 제거도 못하는 하자있는 무기라 보스전에서는 영 못써먹을 무기이다. 광전사 조각상이나 암살자 3스킬 등 따로 데미지 증폭 수단을 갖추지 않았다면 하드 모드 잡몹 구간에서도 구린 성능을 발휘하니 제대로 써보고 싶다면 어떤 수단을 이용해서든지 데미지를 높여보자.
휘두르는 속도는 공속 증가, 감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부속물 '에너지 자루'를 달면 손잡이가 금색으로 바뀌고 투사체를 3개 발사한다.
여담으로 레이저가 벽에 한 번 닿았다면, 2번 타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미지가 두 배가 되긴 하지만 발동 조건이 까다롭다.
또한 버그가 종종 발생한다. 엄폐물에 가려져 있더라도 마지막에 레이저가 엄폐물을 투과하면 엄폐물 뒤의 적이 죽는다.

1.22. 그랜드 나이트의 검(Grand Knight's Sword)


[image]

그랜드 나이트의 한손 양날검, 얼룩짐에 따라 성장함 -지하실

그랜드 나이트의 휘두르기 및 찌르기 공격을 그대로 가져온 검. 공격 시 검에서 탄환이 퍼진다. 근접공격의 데미지는 8이며, 탄환의 데미지는 3이다.
1타와 2타는 검을 휘두르며 탄환을 방사형으로 7발 발사하고, 3타는 찌르는 모션과 함께 탄환이 < 모양으로 총 13발 나간다.
가까이서 근접공격을 하면 1,2타 대미지 29, 3타 대미지 47이라는 엄청난 대미지가 들어가지만, 소형, 중형 몹은 크기가 작아 탄환 대미지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고, 대형 몹이나 보스도 가까이 근접해서 검으로 때려야 풀히트가 가능하다.
이 무기는 원거리 견제가 아닌 근접무기로 쓸 때 효율이 극대화된다. 3스테이지의 몹들이라도 대부분 한두 방에 죽기 때문에 2 에너지 정도는 없는 취급을 할 수 있다. 근접무기 중 DPS 최상위권.

1.23. 카레 방망이(Caliburn)


[image]

누군가의 대표적인 무기 ...... -지하실

공격력 10의 검을 휘두른다. 차징한 만큼 데미지가 늘어나며, 풀차징 시 검을 휘두름과 동시에 에너지가 무려 20이나 소모되며 전방에 부채꼴 모양으로 커지며 탄막을 지우는 검기를 발산한다. 검기의 공격력은 30이며 치명타도 물론 적용된다. 지팡이와 쓸데없이 큰 지팡이, 별의 활처럼 투사체가 벽을 관통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단 차징 시간이 길어 보스전이나 긴박한 상황에서 바로 사용하기 힘든 게 흠.
검의 외형이나 차징 모션을 보면 이것의 오마주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름이 정말 괴상한데, 이유인 즉슨 엑스칼리버를 중국어로 번역하면 咖喱棒인데 咖喱(카레)와 棒(방망이)을 따로 번역해서 그렇다.
암살자 2스킬 도플갱어에게 들려주면 미친 속도로 파괴하고 다닌다.
풀차징 공격을 하면서 던전에 입장해서 적을 미리 쓸어버리는 활용법이 있다.

1.24. 수정 게의 카타나(Crystal Crab's Katana)


[image]
거대한 수정 게를 죽이고 나온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획득 가능. 사거리가 길다. 치명타 시 거대한 수정 게의 패턴과 똑같은[6] 수정이 공격당한 몬스터의 위치에서 솟아오른다. 퍼지는 수정은 다른 몬스터에게 잘 맞지 않지만 대형몹을 상대할 때 치명타가 뜨면 20이상의 대미지가 들어간다. 잡몹이 뭉쳐있을 때도 녹여버릴 수 있다. 암살자나 도적이 치명타 확률 증가 특성을 찍고 사용하거나 기사가 스킬을 쓰고 휘두르면 다른 무기 사용없이 이 칼만으로 3-5까지의 모든 적을 순식간에 도륙내며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해진다. 다른 캐릭터가 사용해도 범위와 데미지 등 모든 스펙이 좋으므로 근접무기가 필요하면 갖고 가자.
다만 치명타율이 너무 적어서 적이 죽었을 때 수정이 나온다는 등 뻘짓을 좀 해야 하는 무기다. '''그래도 적들이 많을때 한번에 치명타가 터지면 수정 여러개가 한번에 전부 터지고 한번에 전부 사라지는 기적을 볼 수 있다!'''
패치로 거대 황금 게는 더 이상 떨구지 않는다.
폭발 때문에 근접무기로 깨기 약간 힘든 보스인 거대 슬라임을 잡을 때 그나마 좋은 무기이다. 슬라임들을 공격하면 주변 몹들에게까지 데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
연사속도가 빨라지면 이 무기로 바다에 가까운 모양을 만들 수 있다.
[image][7]

1.25. 칠흑의 검(Deep Dark Blade)


[image]
'''근접형 잭과 메리 + 상향 전 다시 벼린 성검 + 분열탄'''
대암흑기사의 검. 도감에는 한 자루로 기록되지만 원본을 따라 두 자루, 즉 한 쌍으로 공격한다.[8] 그랜드 나이트의 검과 달리 공격모션은 두 개뿐 이다.
1타는 쌍검을 수평으로 잡은 뒤 돌리듯이 휘두르는데, 이 때 땅에서 칠흑의 검의 칼날이 솟아나며 충격파를 생성해 4갈래의 반사탄이 나간다. 2타는 쌍검을 찌르며 칠흑의 검의 환영을 내리꽂아 충격파를 발생시켜 3갈래의 분열탄이 생긴다. 이 탄환은 벽에 닿으면 4개로 분열한다. 검 공격의 충격파는 기절을 걸 수 있다. 충격파 검은 한 개씩 생성되며 기사 1스킬을 키고 칠흑의 검을 휘두를 경우 충격파 검이 2개가 된다.[9]
만약 공속 +100% 챌린지를 적용하고 3자루로 기사 2스를 채용하면...
다만 무기 자체도 그렇고 특히 2타의 분열 탄환이 쌓이면 엄청난 렉을 유발한다.[10]
허나 이하 단점 때문에 채용되지 못하기도 한다.
  • 잭과 메리와 달리 휘두를 때도 돌격해서 안정성이 낮아진다.[11]
  • 탄이 사방으로 퍼저서 직접적인 폭딜은 먹일 수 없다.[12]
적용 가능한 특성은 근접 공격범위 증가, 산탄 수 증가, 레이저 폭 증가, 근접무기 탄 튕김 등이 있다.
황금 게의 전투망치와 더불어 블루 파이어 개틀링보다 얻기 힘든무기.

1.26. 파라오의 검(Pharaoh's sword)


[image]
파라오 용병의 기본무기이다.
공속이 느리지만 치명타가 뜨면 위에서 아누비스의 비석과 똑같은 형태의 비석을 소환하고 운석처럼 바닥에 보라색 원으로 범위가 표시되며, 착탄 시 폭발한다.
비석의 범위가 좁고 비석이 떨어지는 사거리가 좁아서 성능이 매우 좋지 않았다. 단지 비석이 치명타가 뜨면 기절시키는게 끝이었다.
패치 후 3개가 떨어지며, 떨어지는 동안 같은 대상을 재타격하면 '''3개가 추가로 떨어진다!'''
이 패치를 통하여 거의 무한기절에 가까운 능력으로 보스전 전용무기로 떠올랐다. 에너지를 쓰지않는 폭발하는 망치급.
특이사항으로는 최초의 빨간 용병 기본무기이다.

2. 창


찌르는 근접무기가 이 분류에 속한다.

2.1. 세검(Rapier)


[image]
공격속도가 빠르다. 다만 검의 사거리는 조금 짧은 편. 찌르는 형식이다. 사거리는 짧지만 돌진 거리가 무진장 길다. 뒷걸음질하면서 찔러도 전진하는 정도. 근접무기를 탄막 제거용으로 쓰고 싶은 사람에게는 추천하지 않는 무기.
공격 후 다음 공격 사이 시간동안 캐릭터의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공속 -50% 챌린지가 있으면 쉽게 느껴볼 수 있다.
도적이나 기사와 조합해서 빠른 속도로 휘젓고 다닐 수 있지만 실 전투력은 영 좋지 않다.
하지만 광전사+광전사 조각상+스킬 쿨타임 감소+공속 +100% 챌린지 조합으로 세검을 들면 이런 미친 짓도 가능하다.

2.2. 도살자의 칼(Butcher's Knife)


[image]
찌르는 거리가 무척 짧은 대신 엄청난 속도를 자랑한다. 고기의 찌르는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름부터가 도살자의 칼이니 고기의 대극으로 만든 듯. 찌르는 공격이니만큼 탄막을 지우는 기능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그래도 공속 +100% 챌린지, 맷돌, 기사 스킬을 사용하면 세검 못지않는 딜을 뽑아낸다.

2.3. 건초 갈퀴(Pitchfork)


[image]

프롤레타리아트 반란 -지하실

원래는 등급에 맞지 않는 높은 대미지와 범위로 입수 난이도에 비해 op였지만 휘두르기가 아니라 찌르기로 변경되어 성능이 낮아졌다. 하지만 대미지는 남아있으니 초반 잡몹을 잡을 때는 좋다.

2.4. 창(Spear)


[image]
건초 갈퀴의 상위호환의 공격속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찌를 때 돌격하지 않아 이동속도도 보장 가능하다.

2.5. 고블린 장총(Goblin Spear)


[image]
1스테이지 잡몹인 고블린들이 들고 있는 창. 치명타율이 은근히 높고 공격속도가 빨라 초반에 유용하다. 번역 오류인지 장창이 아닌 장'''총'''으로 번역 되어있다.

2.6. 나무 막대기(Wood stick)


[image]
1타에 돌리고 2타에 찌르는 공격을 한다.
시간차로 공격 시 황금 여의봉을 따라할 수는 있다.

2.7. 레트로 스피어(Retro Spear)


[image]
돈키호테 용병의 기본무기이다. 기사 장총보다 딜이 2 약한 하위호환 무기이다.

2.8. 기사 장총(Knight Spear)


[image]
장총이라고 써있지만 창이다. 이것도 번역 오류인 듯. 사거리가 길지만 찌르는 공격이라 효율이 떨어지고 느리다.

2.9. 도끼창(Halberd)


[image]

전투기, 그들은 스와이프하고 파괴한다 -지하실

첫 번째 타격은 찌르고 두 번째는 돌린다. 나무 막대기와 반대.

2.10. 삼지창(Trident)


[image]
조합식
파도의 지팡이 + 건초 갈퀴

넵투누스의 전설적인 무기. 착용 후에도 여전히 빛난다 -지하실

찌르면서 대미지 4짜리 푸른 반원 3발을 날린다. 이걸로 근접해서 찌르면 창 대미지 8 + 투사체 대미지 12(치명타 시 +a)의 어마어마한 찌르기가 된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찍으면 치명타가 안떠도 28, 잘 뜨면 최대 48이 된다.

2.11. 레이저(Laser)


[image]
조합식
중재인 + 창
찌르면서 레이저를 발사하는 창이다. 레이저 강화 특성을 얻으면 후반까지도 좋은 연비를 자랑하는 근접무기.

2.12. 전기 드릴(Electric Drill)


[image]
2.9.0 업데이트로 추가된 무기. 설계도면이 있어야 제작할 수 있고 이후 던전에서 등장한다.
공격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드릴이 회전하면서 적을 공격한다. 지속 공격 무기이므로 암살자 3스킬 공격력&범위 증가효과를 지속시간이 끝날 때까지 받을 수 있다.

2.13. 불안한 나무 몸통(Agitated Trunk)


[image]

젠장! 이걸 멈추지 마! -지하실

한 번 쓰면 버튼을 뗄 때까지 멧돼지나 나무보스처럼 계속 돌진한다. 돌진하면서 진행 방향에 있는 적들을 밀쳐내며 공격하는데다가 앞의 공격 이펙트에 탄막 제거 기능이 있지만 에너지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줄기 때문에 에너지가 적들과 함께 녹아버리는 마술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방향 전환이 빠르지 않은것도 흠. 애매하게 적이 양쪽에 있을 경우 갈팡질팡(...)하기도 한다. 또 근접 공격을 하는 적들에게 맞으면 순식간에 죽는다. 결론은 예능 무기.
예외적으로 성기사가 스킬을 쓰고 돌진하면 근접공격 난타보다는 좋은 데미지에, 에너지 수급까지 걱정할 필요가 없어져 나름의 활용을 할 수 있다.
함정 면역없이 돌진했다가는 적보다 캐릭터가 먼저 죽을 수 있으니 사용에 주의.

2.14. 황금 여의봉(Golden Cudgel)


[image]
1-5 보스 금가면의 보스 무기이다. 변형 버튼이 있고 누르면 크기가 바뀐다. 주문은 해리 포터 시리즈의 주문 '잉고르지오'와 '리듀시오'. 기본 형태일 때는 도끼류 무기의 차징 공격처럼 전방향으로 빙빙돌리며 공격을 하고, 변환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대낫과 동일한 패턴으로 공격하며, 2번째로 변환 버튼을 눌렀을 때는 40m 장검 + 갯지렁이 탄환 1가닥이 나간다. 3번째로 누르면 기본형태로 되돌아간다. 소울 나이트 최초의 3단 변신무기.
기본 형태의 경우 범위가 작지만 최고 속도 공속에다가 전방향으로 빙빙 돌려대기 때문에 공격 버튼을 쭉 누르고 있으면 거의 '''보호막 수준'''으로 적 탄환들을 막아낸다. 레이저 검 골드 대신 잠깐 쓸 수 있다.[13][14] 물론 신나서 막 휘두르며 돌진하면 충돌 데미지 등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
두번째 형태는 범위는 넓지만 공속과 공격력이 애매하다.
마지막 형태는 공격범위가 광범위할 뿐 아니라 계속 뚫고 나가는 갯지렁이 탄환이 함께 발사되는 덕에 잡몹처리에 좋다. 보스전에선 기본형태로 보스들의 탄환 물량을 제거하는데 쓰고 일반 잡몹 상대로는 마지막 형태로 광역 공격을 쓰는데 효율이 좋다. 다만 에너지를 4씩 쓰기 때문에 막 쓰면 에너지가 사라진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이 적용되면 충격파가 3갈래로 나가서 엄청난 위력을 보여준다. 방어 능력과 데미지가 센 편이라서 근접무기 범위 증가와도 궁합이 좋다.
재료도 마력 조각없이 목재와 철광석을 각각 14개, 7개로 제작할 수 있어서 효율이 좋다.

3. 도끼


충전하여 휘두르거나 충격파를 일으키는 근접무기가 이 분류에 속한다.

3.1. 성스러운 도리깨(Sacred Flail)


[image]
성기사의 기본무기로 일반 공격 시 작은 충격파가 나오지만 충전 공격 시 더 거대한 충격파로 적을 공격한다.
충전 공격은 후딜이 좀 있기 때문에 아무리 공격속도가 빨라도 후딜이 끝나기 전에는 풀차징해도 공격이 나가지 않는다.
레이저 폭 증가 특성이 있으면 풀차징 공격이 중간 크기의 방 4분의 1을 뒤덮는다.
둔기무기 중 최초의 차지무기라서 3스테이지까지도 활약할 수 있는 무기.

3.2. 원초 도끼(Raw Axe)


[image]
바바큐 용병의 기본무기이다. 차징 시간이 도끼 중 처형자 다음으로 빠르다. 풀차징하면 3번 돌린다. 굉장히 쓸만한 무기로, 차징 시간 감소와 콤보 피트 증가를 들면 끝까지 깰 수 있다. 여담으로 중국어 이름은 '巴巴六的斧子'로, 바바큐의 도끼라는 뜻이다.

3.3. 도끼(Axe)


[image]
사거리 중간, 공격속도 중간이다.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을 적용해서 얘만 휘둘러 게임을 깨는 변태들을(...) 볼 수 있다. 차징 시 이동속도가 상승한다.

3.4. 전투 도끼(Battle Axe)


[image]

군단을 위해! -지하실

사거리가 긴 대신 공격속도가 느리다. 하지만 사거리가 긴 무기들 중 공격속도가 가장 빠르다. 불꽃 지팡이와 조합 시 화염도끼가 된다

3.5. 망치(Hammer)


[image]
둔기치고 공속이 빨라서 탄막 제거가 편하다.

3.6. 나무 망치(Wooden hammer)


[image]
데미지가 세지고 공격 범위가 조금 넓어진 망치이다. 공속이 느리다.

3.7. 장대 도끼(Long-handled axe)


[image]
조합식
도끼 + 나무막대기
사거리가 긴 도끼. 공격범위가 상당히 넓어 탄막 제거에 용이하다. 게다가 기사의 필살기를 쓰면서 휘두르면 폭딜이 가능하다.

3.8. 메이스(Mace)


[image]
공격속도가 느린 편이고 사정거리도 중간정도이다. 패치로 충격파를 일으키는 무기로 바뀌었다. 일정확률로 적을 기절시킨다.

3.9. 대낫(Sickle)


[image]
1,2타는 휘두르고 3타는 돌린다.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범위가 넓은 편.


3.10. 처형자(Executioner)


[image]
데미지가 13에 치명타율도 높아서 돌릴 경우 몹들을 녹여버릴 수 있다.


3.11. 돌 망치(Stone hammer)


[image]

아니, 난 속임수 아니야 -지하실

데미지가 더 세지고 공격범위가 더 넓어진 망치이다. 공격속도가 너무 낮지만 무기 변경을 이용해 공격 딜레이를 초기화 할 수 있다.[15] 어느 정도 숙련이 되고, 레이저 강화 특성이 뜬다면 탄막을 전부 지울 수 있는 좋은 무기가 된다. 돌망치를 두 개 들고 있다면 공격하고 스왑한 뒤 다시 공격하는 패턴의 공속이 딱 알맞기 때문에 무한 기절을 시도할 수 있다.
패치로 데미지가 20으로 상향되었다.

3.12. 화염 도끼(Flame Axe)


[image]
조합식
불꽃 지팡이 + 전투 도끼

火焰 , 净化 万物 生灵 (화염, 생명의 영혼을 정화한다.) -지하실

짧게 누르면 휘두르는 공격을 하며, 차징하면 회전공격을 하면서 사방으로 불을 내뿜는 무기이다. 공격속도가 전투도끼보다 느리고 사거리가 짧지만 회전 횟수가 많다. 치명타가 터지면 적에게 화상 대미지를 준다.
그냥 휘두르면 에너지 소모가 없지만, 차징하고 회전공격을 하면 회전 1회당 에너지가 3씩 소모된다.[16][17]
일단 최대 기대 딜량은 풀차징 시 15라는 에너지 소모에 걸맞게 화염검은 '''따위'''로 만들어 버릴 정도로 무지막지하나, 사방팔방으로 화염을 흩뿌리는 공격 탓에 단일 딜링에 애로사항이 생기며 그렇다고 잡몹 광역딜에 좋냐 하면 무작위로 탄이 퍼져서 탄 절반 이상이 빗나가는지라 이마저도 별로다. 여기에 치명타 때문에 넉백률이 높고 탄환에도 넉백이 있어서 근접딜을 넣으려 해도 넉백 때문에 적이 사거리에서 벗어나는(...) 정말 어이가 없는 일이 벌어지기 일쑤다. 그나마 보스딜은 완전 딱 붙어서 때리면 무지막지한 딜이 들어가서 보스딜 용도로는 괜찮은 편.

3.13. 고기 분쇄기(Meat grinder)


[image]
도끼 중 가장 차징시간이 길지만 돌리는 시간도 길기 때문에 엄폐물이 있다면 극강의 효율을 보여준다.
참고로 무기 이름에 걸맞게 공격당한 적은 넉백되는 다른 무기와는 다르게 자신 쪽으로(완전히는 아니지만) 끌려오기 때문에 다른 차징 근접무기는 보여줄 수 없는, 보스몹 제외 종류 불문 풀히트로 갈아버린다.
공격 딜레이가 긴 게 단점.
차징 시간 감소, 공격 속도 감소, 만렙 광전사, 스킬 쿨타임 감소, 맷돌의 조합.
모양이 이상한게 차징하여 휘두르면 두 날이 겹쳐보인다.
믿기 어렵지만 치명타율이 마이너스인데 식물을 업그레이드 하지 않았다면 '''도적이라도 치명타가 안뜬다!(스킬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로비의 책을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도적 또는 암살자 외 캐릭터로 웨이터 물약이나 특성조차 없으면 절대 치명타가 뜨지 않는다.
어이없게도 치명타율 +100%, 치명타 피해 +50%가 나오면 오히려 -20%까지 내려간다(...).
여담으로 완전 자동 장치와 차징 시간 감소를 같이쓰면 진짜로 분쇄한다. 하지만 근접몹한테는 상성이 안 좋은 편.
암살자 3스킬은 확정 치명타에 지속 공격 무기라서 은신이 풀리지 않은 채로 모든 공격이 강화된다!
총 300 데미지를 주지만 1발당 30 데미지에 공격범위도 늘어서 적들이 피격될 때마다 쓸려나가고 공격력 +100%, 공격속도 -50% 챌린지가 있다면 600 데미지, 치명타 피해 증가 챌린지가 있다면 무려 900 데미지를 주고[18], 적용되는 모든 특성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1000 데미지를 입히는 종결무기가 된다!''' 이는 모든 무기 중 가장 강한 한 대를 뛰어넘은 수치며, 에너지가 닳지않는 근접 무기 유일 1000 데미지다.
다만 2개의 챌린지를 충족하는 것은 순전히 운의 영역이며 사거리라는 근접무기의 고질적인 단점이 있어 잡몹전에서 취약한 면모를 드러낸다. 게다가 모든 보스가 공격을 순순히 맞아주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론상의 영역으로 취급하는게 좋을 것이다. 애초에 이럴것도 없이 암살자 3스킬만으로 300 데미지이다...

3.14. 폭발하는 망치(Explosive Warhammer)


[image]
조합식
폭탄 + 망치
공격을 하면 적의 탄환을 지우면서 3방향에 점을 생성한다. 그리고 약 0.5초 후, 세 점에서 폭발이 일어난다. 에너지가 5 소비되지만 잡몹을 상대할 때 여러 마리를 한 번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아주 좋은 무기이다. 치명타 시 적을 기절시킨다.
폭발하는 지점 생성이나 폭발 범위는 벽을 무시하기 때문에 잡몹 제거용으로는 소울 나이트 내에서 거의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
만약 몹이 폭발 지점 3개 사이에 끼여 있을 경우, 세 폭발의 딜을 한 번에 받는데, 데미지가 40을 넘어가기 때문에 엘리트 몹도 한두 방에 보내버리는 정도이다.
3스테이지에서도 한 방으로 잡몹을 몇 마리나 털어내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보이면 그냥 끝까지 들고 가는 것이 좋다.
게다가 산탄 수 증가 특성이 있으면 폭발하는 점 개수가 5개로 늘어나서 안 그래도 넓은 범위가 더욱 증가한다.
그리고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 보유 시 반사탄과 합쳐서 딜량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보스에게 어느 정도 접근만 할 수 있다면 보스전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원의 장에서도 추천 무기이다. 적이 많이 몰려있는 곳에 사용하면 몬스터가 한 번에 녹아내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3.15. 천둥 망치(Thunder warhammer)


[image]
공격을 하면 번개가 근처에 있는 적을 때린다. 번개 공격은 적을 조준해서 나가는 것이기에 근처에 있는 적이 안 맞을 걱정은 할 필요가 없으며 근처의 적 수만큼 때린다. 다만 벽이나 장애물은 번개가 못 뚫는다. 디자인도 그렇고 능력도 그렇고 묠니르가 모티브.
무기 제작자에게 받을 수 있는 업그레이드 키트를 부착하면 천둥벼락 전투망치가 된다.

3.16. 하데스의 숨결(Breath Of Hades)


[image]
소울 나이트 최초의 '순정' 주황색 등급의 근접무기로[19], 회전하는 거대한 칼날을 발사하여 공격한다.
사실 이 무기는 근접무기가 아니다. 근접공격과 투사체가 따로 있는게 아닌 탄막을 지우는 투사체만 날아간다.
특이한 것은 '''공격하는데 체력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실드량에 상관없이 무조건 체력을 1씩 깎기 때문에 체력 회복 스킬을 가진 사제, 늑대, 흡혈귀 외에는 거의 활용할 수가 없다.
체력을 값으로 하는 만큼 대미지는 준수하며(체력 소모 시 18) 공격범위 또한 넓다. 쓰다가 체력 1로 감소해도 계속 쓸 수 있으나 공격범위가 좁아지고 대미지도 낮아지며(9) 무엇보다 체력 1로 싸워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진다.
다만 성기사의 기본 체력이 2이기 때문에 패널티가 없는 수준이고 카레 방망이처럼 벽을 관통해서 안전성이 의외로 높다.
무기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챌린지와 함께라면 어지간한 보스들은 아무것도 못해보고 죽는다.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과 조합 시의 공격력도 무시무시한 수준이다. 치명타가 49로 자주 터지고 칼날에 넉백 후 다단히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덩치 큰 보스들의 경우 다단히트로 순식간에 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캐릭터가 왼쪽을 보고 있으면 공격이 뒤로 나가는 괴상한 버그가 가끔 걸린다.
광전사 프리스타일에 멘토 강화를 받으면 체력을 회복한다는 점에서 딜과 체력을 모두 챙길 수 있다.
카레 방망이랑 비슷한 공격방식에 공격속도만 빠르고 데미지는 약하다는 점에서 성기사 2스킬의 하위호환이다. 허나 체력이 있다면 18 데미지로 성전사를 뛰어넘는다.
1스테이지에서 이어지는 히든 2스테이지에서 버프를 얻고자 한다면 절대 봉인해야하는 무기이다. 무조건 체력을 쓰기 때문에 한 번이라도 공격하는 순간 버프 획득 기회는 날아간다.

3.17. 황금 게 전투망치 (Golden Crab Warhammer)


[image]
거대 황금 게의 보스무기, 원본 크기 황금 게의 비대한 왼쪽 집게로 만들었는지 보기보다는 크다.
천둥 망치, 폭발하는 망치처럼 에너지를 소모하며, 내려찍은 자리에 충격파를 일으키고 주변에 화염 디버프를 부여하는 황금 수정이 두 번 솟아난다.
이론상 수정의 광역딜로 인해 상당히 강력한 편이지만 잡몹들은 밀려나서 수정의 데미지가 온전히 들어가지 않는데다가 공속이 매우 느려 DPS는 구리다.
그나마 화상 효과로 추가 데미지가 쏠쏠하게 들어간다. 하지만 이 무기의 진가는 수정을 통한 '''압도적인 방어능력.'''
공격과 동시에 중앙에 1개, 직후 주변으로 다수의 황금 수정이 솟아오르는데 이 수정들이 탄막을 지워버린다.
플레이어 바로 앞 주변으로 둘러싸듯이 솟아나기 때문에 공격과 동시에 앞무빙을 치면 수정에 둘러싸여 앞쪽 탄막도 방어할 수 있다.
대신 압도적인 입수 난이도로 8번 획득까지 엄청난 노가다가 필요하다. 황금 게는 애초에 히든보스라 잘 안뜨는데 히든보스에게 보스무기가 뜰 확률이란...
콤보 피트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수정이 3번 솟아나게되어 방어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공격범위도 더 늘어나게 되므로 필수특성이라 봐도 과언이 아니다.

[image]
'''하지만 3.0.0 패치로 황금 덩어리가 더이상 랜덤한 위치를 바라보지 않고 바깥쪽만 공격하게 패치되었다!'''
[image]
이제 잡몹에게는 중첩딜이 잘 먹히지 않는다. 보스에게는 피해가 좀 줄었다.
즉 예전에는 황금 덩어리가 무작위의 방향으로 바라보는 형태였다면 이제는 바깥쪽만 바라보는 형태.
예전에는 잡몹에게도 100 데미지씩 박히는것이 이제는 8~24 데미지밖에 안나오는것을 감안하면 심각한 너프다.
그래도 삐뚤삐뚤한 외형만큼은 교정되었다. 진짜 거대 황금게와 비슷해졌다.
그래도 철광석 4개에 주황 마력조각 4개라는 높은 가성비 덕에 아직도 상위티어에 속하는 무기다.
사실상 성능은 탄막 지우기가 지속적이며, 레이저 발사로 피해까지 어마무시한 마력 황금지팡이가 더 좋다.
[1] 망치류 뿐만이 아닌, 눈사람 독수리로 소환한 눈사람의 공격이나 갯지렁이의 파동도 같은 종류라 적용된다. 단, 공격력은 증가하지 않는다.[2] 콤보 피트 증가 + 근접무기 범위 증가 + 차징 시간 감소 + 에너지 자루 부속물 = 에너지 소모는 0인데 성능은 그랜드 나이트 검 압살하는 사기무기.[3] 수치가 -20이라 안 터진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6강 도적의 스킬을 사용하고 붉은 광선검으로 공격하면 드물게 치명타가 터지는 것을 볼 수는 있다.[4] 화염 특성이 없을 때 기준, 화상(12)+기본 검(8)+투사체(2×5) 로 18, 치명타가 터지면 48. 최소치는 검 + 투사체 5개 전부 치명타가 안 뜰 경우이고, 검 자체의 치명률이 높다보니 화상은 어지간하면 들어간다.[5] 한 판을 100까지만 가도 약 3~4번 나온다.[6] 다만 원본보단 규모가 작다.[7] 현상금 판에 공격속도에 관한 효과가 있으면 공격속도 감소가 뜨면 X 무기로 현상금 효과 받기, Y 무기로 효과 제거를 반복하면 X무기의 속도는 감소하고 Y무기의 속도가 빨라진다. 공격속도 증가가 뜨면 반대로 하면 된다. 모든 무기에 적용되므로 에너지 소모가 없는 무기 추천. 던전에 들어가면 초기화 된다.[8] 도적의 기본무기 잭과 메리같은 양손 무기이다.[9] 다른 양손 무기와 달리 공격속도는 그대로다.[10] 벽에 닿아서 사라지기까지 오래 걸리는 탄환을 엄청 뱉어내는데 에너지 부담까지 적은 무기이다 보니(...)[11] 적에게 붙어서 빠르게 처치하는데는 좋지만 진짜 단점은 갯지렁이를 상대할 때 나온다. 갯지렁이를 피해다니며 탄막을 지워야 하지만 피하기는 커녕 돌격해서 백스텝을 칠 수 없는 무기 중 하나다.[12] 샌드백에게 실험해 보면 풀데미지는커녕 조금씩 탄이 샌다. 안타까운 건 이 충격파 검이 자동 조준 메커니즘이라 적의 위치에만 떨어지거나 플레이어의 양 옆에 떨어지므로 보스에게 효율이 안 좋을 수 있다. 광전사 조각상을 써도 소용이 없다. 광전사 조각상 2회 작동이나, 링 레드를 먹여야 직접적인 폭딜이 나온다(...)[13] 그래서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 및 암살자, 광전사 프리스타일과 궁합이 좋다.[14] 다른 근접무기들은 자동적으로 적 방향을 향해 휘두르느라 플레이어 뒤에서 날아오거나 벽 반사 형태의 탄환들을 막기 힘들 때가 있는데 이 무기는 전 방향을 보호하기에 아주 쉽게 막는다. 하지만 탄환이 간혹 꿰뚫고 들어오는 경우는 조심.[15] 공격 + 무기변경 2번 연타 <예: 돌망치 → 샷건 → 돌망치> + 공격 [16] 예전엔 에너지가 0인 사기무기였다.[17] 풀차징 회전공격을 하면 에너지가 무려 '''15'''씩이나 소모된다![18] 어떤 몬스터든 한 방에 보내버리는 '한 대'에 근접하는 대미지이다.[19] 번개검이라는 조합 무기가 있었기 때문에 소울 나이트 최초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