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마리오 64/타임어택
1. 개요
수많은 꿈의 플레이 타임어택 중에서도 슈퍼 마리오 64는 단연 백미를 차지한다. 현재 각종 버그를 이용하여 별을 70개 이상 모아야 하는 최종 쿠파까지의 여정을 4분대로까지 압축시켰다.
이 게임의 타임어택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은 BLJ라고 불리는, 뒤로 멀리뛰기 기술이다. 자세한 건 상위 문서의 조작 문단을 보자. 워낙 중요도가 높다 보니 진동팩 대응 버전은 이거 하나 막혔다고 죄다 불가능해졌다.
TAS가 아닌 타임어택 리더보드를 https://www.speedrun.com/sm64에서 볼 수 있다.
2. 카테고리
타임어택 카테고리는 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 120스타, 70스타를 제외하면 아래로 갈수록 사용 가능한 버그(Glitch)의 양이 늘어난다.
- 120 스타(버그 제한 없음) - 게임 내에 존재하는 모든 스타를 최대한 빨리 먹고 엔딩을 보는 것이 목표이다.
- 70 스타(모든 뒤로 멀리뛰기/토끼 클립 제한) - 가장 일반적인 루트로 버그 없이 최대한 빨리 엔딩을 보는 것이 목표다. 최종 스테이지에 입장하려면 스타 70개가 필요해 70 스타가 되었다.
- 31 스타(벽 대고 뒤로 멀리뛰기(Side BLJ)/토끼 클립 제한) - 뒤로 멀리뛰기 버그를 이용해 스타 50개짜리 문과 무한계단을 스킵하고 최대한 빨리 엔딩을 보는 것이 목표이다. 불바다의 쿠파로 가는 문의 입구는 스타 30개가 있어야 열려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다만 문을 연 후 쿠파의 잠수함도 깨야 해 실질적으로 31개의 스타를 모으고 게임을 클리어하게 된다.
- 16 스타(벽 대고 뒤로 멀리뛰기 제한) - 토끼를 이용한 문을 뚫는 버그를 이용해 최대한 엔딩을 빨리 보는 것이 목표다. 토끼는 스타가 15개 이상일 때 나타나고, 토끼로 스타 30개짜리 문을 스킵해도 쿠파의 잠수함을 깨야 불바다의 쿠파로 갈 수 있기에 16스타가 되었다. 사실상 16 스타는 Side BLJ를 금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수로 토끼의 스타를 얻고 클리어해도 16스타로 인정한다. Drogie라는 스피드러너는 17스타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 1 스타(쿠파의 잠수함 스킵 제한) - 뒤로 멀리뛰기로 암흑 세계의 쿠파, 불바다의 쿠파로 가는 문 마저 뛰어넘고 게임을 클리어한다. 암흑 세계의 쿠파로 갈 때는, TAS의 경우 폭탄병의 전쟁터로 가는 길에 있는 계단에서 바로 뒤로 멀리뛰기를 하지만, RTA로 할 경우 계단에서의 뒤로 멀리뛰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지하로 가는 길의 천장에 존재하는, 레벨 디자인 실수로 인해 살짝 생긴 틈에서 뒤로 멀리뛰기를 한다. 불바다의 쿠파로 갈 때는 TAS와 RTA 모두 지하에 있는 계단에서 뒤로 멀리뛰기를 하는데, 쿠파의 잠수함까지 뛰어넘을 속도가 안 될 경우 1 스타가 된다.
- 0 스타(암흑 세계의 쿠파 스킵 제한[1] ) - 1 스타와 기본적인 루트는 같으나, 불바다의 쿠파로 갈 때 속도를 많이 쌓는데 성공하면 쿠파의 잠수함마저 건너뛰게 되어 0 스타로 게임을 클리어할 수 있다.
- 열쇠 1개(버그 제한 없음) - 피치 성에 들어가기 전에 뒤로 멀리뛰기로 속력을 쌓아 해자 밑에 감춰진 비밀로 바로 입장하고, 해당 맵의 엘리베이터에서 또다시 뒤로 멀리뛰기로 속도를 쌓는다. 해자 밑에 감춰진 비밀 맵에서는 떨어지면 죽지 않고 성 밖으로 텔레포트만 되는데, 나가면 바로 물이 나오기 때문에 성 밖에서도 쌓인 속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성 밖으로 돌아와서 평행 우주 버그를 이용, 강 아래의 지하로 통하는 문으로 바로 들어간다. 이 경우 암흑 세계의 쿠파를 깰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나 이 전략은 매우 정교한[2] 평행우주에서의 이동을 필요로 하기에 아직 RTA로 이루어진 적은 없다.
3. TAS
이 게임의 TAS 역사를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3.1. any%
잘 알려져 있는 슈퍼 마리오 64 TAS 중 하나. 16스타 카테고리이다.
그러다가 2007년, 그 유명한 BLJ 버그를 사용하여 암흑 세계의 쿠파를 스타 없이, 그리고 토끼 버그 없이 워터랜드에 들어가는 방법이 발견되었다. 이 혁신적인 방법 덕분에 필요한 스타는 16개에서 1개로 줄어들고, 시간이 15분대에서 6분 47초로 확 떨어졌다.# 그리고 같은 해, 속도를 더 쌓아 워터랜드까지 스킵하여 '''0스타 TAS'''의 시대가 열렸다. 기념비적인 첫 기록은 5분 47초.[3] 이 방법은 아래의 1 Key TAS가 나올 때까지 무려 '''9년'''동안 사용된 방법이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 2015년 7월 26일, 5분대를 뚫었다.
2016년 9월 29일, USA버전으로만 진행되어 왔던 슈퍼 마리오 64 TAS가 JPN버전으로 바뀌고[4] , 쿠파와의 첫 번째 대결(암흑세계의 쿠파)을 건너뛰는 방법이 이용되어 카테고리가 1 Key로 바뀌고, 기록이 4분 21초 67로 단축되었다. 동년 10월 27일 4분 21초 4로 단축되었고, 동년 11월 13일 또 4분 21초 3으로 단축되었다. 그러다 2017년 7월 16일에 불바다의 쿠파에 들어가는 구간에서 2프레임[5] 을 단축하며 4분 21초 23으로 새 기록이 나오고, 2018년 10월 9일에 불바다의 쿠파에서 2프레임, 천공의 대결에서 1프레임을 단축,총 3프레임을 단축하며 4분 21초 13이라는 기록을 완성했다. 2019년 5월 6일에는 4분 20초 93, 동년 6월 23일에는 4분 20초 77로 단축되었다. 매우 섬세한 뒤로 멀리뛰기와 여러 곳의 평행우주 방문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RTA로 이루어진 적은 없다.
루리웹에 이를 패러디한 4컷 만화가 올라온 적이 있다.
[image]
위쪽의 15분 TAS 플레이를 보고 만들었다고. 다만 지금의 1 key TAS에서는 로비에서 가속한 속도를 계속 이용하여 50스타 문과 무한 계단을 한 번에 통과하며 마지막 쿠파 스테이지로 가기에 3번째 컷은 옛말이다. 참고로 2번째 컷은 천공의 대결 중 일부(맨 위 영상의 14:18)를 본떠서 그린 것 같은데, 그것이 맞다면 3번째 컷과 순서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120스타
스타 120개를 1시간 20분만에 먹는 TAS. 아직 완성된 120스타 TAS는 이것뿐이다.
4. RTA
TAS뿐만 아니라 RTA계에서도 말 그대로 독보적인 인기를 자랑한다. 놀라운 것은 사람이 직접 한 것들이 이어붙인 TAS의 기술들을 모방하고, TAS의 기록과 평균적으로 1~2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 가끔 'Human TAS confirmed'이라는 유머성 덧글이 올라오기도 한다.
4.1. 메이저
스피드런닷컴의 슈퍼 마리오 64의 스피드런 리더보드에 들어갔을때 바로 보이는 카테고리인 120스타, 70스타, 16스타, 1스타, 0스타의 5개 집계부문을 편의상 메이저로 분류한다.[6]
메이저의 특징으로는 다른 마이너 부문들과는 달리 공통적으로 N64, VC(버추얼 콘솔), EMU(에뮬레이터)로 나눠진다. 이 중에서 N64와 에뮬은 게임을 가동/리셋하면 곧바로 타이틀 화면을 띄우기 직전에서 시작되고 곧바로 타이틀 화면이 뜨지만 버추얼 콘솔은 게임을 가동/리셋시 N64/에뮬처럼 타이틀 화면이 뜨기 직전으로 가서 곧바로 타이틀 화면이 뜨는것이 아니라 사전에 You will need the Classic controller라는 문구가 표시된 이후 메인 타이틀로 넘어간다. 그래서 시간상 불리해 보이지만 사실 VC는 게임 내 렉이 아예 없고 로딩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VC가 가장 빠르다. 에뮬레이터도 렉이 없고 로딩 시간이 짧지만 VC 압도적으로 짧아서 비비지를 못한다. 때문에 VC,에뮬레이터는 따로 표기한다.
TAS를 이용해 만든 똑같은 16스타 런 인풋을 N64,VC,에뮬(하나는 렉 줄이는 설정을 안 한 것)에 적용시킨 영상이다. 시작 할 때 패널티를 받고도 VC가 압도적으로 빠른 것을 할 수 있다.
#
그런데 왜 N64가 불리함에도 기록이 가장 좋을까? 그 이유는 플레이어들이 N64를 가장 기본적인 스피드런 플랫폼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상위 플레이어들은 대부분 N64를 기본으로 하되 재미를 위해서 VC나 에뮬 런을 한다. 사실 VC를 기본으로 하는 최상위 플레이어는 거의 없고, 에뮬의 경우에는, 일단 에뮬레이터는 공짜이기 때문에 종종 볼 수 있다. 에뮬레이터 최상위 플레이어들 중에는 롬 핵을 주로 하거나 키보드로 플레이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
4.1.1. any%
2020년 8월 30일 현재 기종/카테고리별 세계기록은 다음과 같다.
- 3D 컬렉션의 경우 타임 측정 규정이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측정 방식이 JRTA 기준을 따르기에 전원을 가동하자마자 타이머가 시작되고 3번째 쿠파 격파한 뒤에 떨어지는 커다란 파워스타를 획득하는 순간 타이머 측정이 종료되었지만 3D 컬렉션에서는 파일을 선택하면 타이머가 시작되는걸로 변경되었다. 기존 마리오 64처럼 120스타는 모든 버그 사용을 허가하지만 70스타에서는 버그가 금지되어 있다.
4.1.2. 120 스타
역대 슈마리오 64 120스타부문 세계기록 일람
##
2014년 5월 22일 'puncayshun'이 1시간 43분 42초로 찍어서 종전의 세계기록인 siglemic[8] 의 1시간 43초 53을 넘어섰다. 이 시기 훗날 라이벌이 되는 cheese의 기록은 VC판 2시간 6분 4초로 당시 기준으로도 세계기록과는 약 20분가량 어마어마한 차이가 났었다.. 반면 puncayshun는 2014년 내내 본인 기록을 갱신하면서 지속적으로 세계기록을 유지하고 있었던 시기다. 2014년 당시 cheese와 puncayshun를 비교하면 1997년경 도돈파치가 신작게임으서 돌아가던 당시의 유세미, 나이토와 대강 매칭이 가능하다.[9]
다만 이 사례를 완전히 대입할 수 없는데 유세미는 단 한번도 나이토를 이겨본적이 없지만, cheese는 puncayshun를 물리치고 세계1위를 먹었으며, 이후로도 서로 라이벌로서 서로간에 세계기록을 주고받았다. 이 사례를 완전히 대입하려면 cheese는 단 한번도 puncayshun를 상대로 세계기록을 가져오지 못했어야 한다.
puncayshun가 지속적으로 세계기록을 경신하고 있을 떄 cheese는 VC용으로 2시간 6분 4초를 찍은 이후 VC용으로 무서운 기세로 쭈욱 경신해오다가 2014년 9월 4일에 N64로 2시간 2분 17초를 찍은 뒤 본격적으로 N64로 전향한 이후에도 2014년 최하반기인 12월 20일에 1시간 44분 48초를 찍어서 약 3달만에 무서운 기세로 기록을 경신해 나갔다. 이 때 세계기록은 puncayshun의 1시간 42분 32초 (2014년 12월 18일)
또한 이 두명의 라이벌간의 플레이 플랫폼을 비교해봐도 재미있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2014년 시점에서 cheese는 북미판으로 플레이하고 있었으며 puncayshun은 1시간 43분 24초를 찍어서 세계기록을 차지할 시점부터 일본판으로 플레이하고 있었다. cheese가 일본판으로 전향한건 2015년의 일이다.
그 이후에 2015년 2월 27일, 일본인 플레이어인 Nero가 1시간 42분 15초를 세우면서 17초 차이로 세계기록을 가져온다. 그런데, 여기에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임과 동시에 슈퍼마리오 64 스피드런계를 발칵 뒤집은 사건이 발생한다. 스타를 얻고 나면, 저장하고 계속할지, 저장하고 나갈지, 저장을 하지 않고 계속할지 선택지가 나온다. Nero가 세계기록을 가져가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저장하고 계속하기를 눌렀다. 그러나, Nero는 저장을 하지 않고 계속하기를 누른 것이다. 사실, 동영상만 봐서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과 계속하기를 누를 시 12 렉 프레임이 발생한다. 반면에, 저장하지 않고 계속할 시에는 렉 프레임이 아예 발생하지 않는다! 2 렉 프레임은 1 인게임 프레임[10] 이니 12 렉 프레임은 6 인게임 프레임, 즉 저장하지 않고 계속하기를 누르면 저장하고 계속하기를 눌렀을 때 보다 6 인게임 프레임이 더 빠르다는 말이 된다! 120 스타를 플레이 시 총 99번[11] 선택창을 마주하게 된다. (99번의 선택창)x(6 인게임 프레임)=(594 인 게임 프레임)이고, 시간으로 환산하면 무려 19.8초가 나온다. 즉 Nero는 puncayshun보다 3초정도 더 느린 플레이를 했음에도 무려 17초 차이로 세계기록을 가져온 것이다! 그 이후에 Nero는 1시간 42분 9초의 기록을 한번 더 세우기도 했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 사건 이후에는 모든 플레이어들은 저장하지 않고 계속하기를 선택하며 플레이한다.
렉 프레임에 대한 더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는 영상 링크이다. 아쉽게도 영어라 이해하기 힘들 수 있다.
cheese가 2015년 3월 25일 일본판으로 1시간 42분 59초를 찍은 뒤에는 본격적으로 일본판으로 전향하였다. 전향 이후 2015년 3월 29일에 1시간 42분 33초를 찍어 puncayshun과의 차이를 1초 차이로 좁혔으며, 2015년 4월 5일경 1시간 41분 16초로 드디어 Nero의 1시간 42분 9초의 기록을 꺾고 최초로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기존의 세계기록과 비교하면 53초라는 어마어마한 격차를 벌려서 경신한 것이다. 이후 4월 22일에 4초가량 세계기록을 4초가량 단축하기도 했다. 이때부터 당시 기준으로 신흥 강자인 cheese와 당시 기준으로 마리오64의 제왕인 puncayshun가 서로 엎치락 뒤치락하면서 세계기록을 주고받게된다.
2015년 8월 10일 'puncayshun'이 1시간 40분 59초를 달성하였다. 이 기록은 최초로 1시간 40분대로 진입한 기록임과 동시에 기존의 세계기록이었던 cheese의 1시간 41분 12초로부터 13초가량 대폭 단축시킨 기록이다. 어쨋든 약 4달만에 cheese에게 뻇긴 세계기록을 되찾아오면서 보기 좋게 세계기록을 뻇긴 것에 대한 설욕에는 성공하였다.
하지만 최초의 최초의 100분대 돌파 기록이기도 한 해당 기록은 1달을 못채우고 9월 6일에 라이벌 cheese에게 1시간 40분 52초를 찍어버리면서 갈려버렸다. 이틀 뒤에 cheese는 1초 가량 단축한 1시간 40분 51초를 기록하였다. 이에 puncayshun는 절차부심하면서 2015년 12월 19일에 1시간 40분 44초를 찍어 세계기록을 9초가량 단축시키면서 cheese가 가져간 세계기록을 약 2달만에 탈환해오게 된다.
하지만 cheese도 이에 굴하지 않고 2016년 4월 30일에 1시간 40분 39초를 찍어서 기존 세계기록을 5초가량 단축시키면서 세계기록 자리를 도로 탈환해온다.
그리고 2017년 5월 5일 슈퍼 마리오 스트리머 cheese가 꿈의 99분대를 달성. 그리고 2019년 8월 4일 동일인물인 cheese가 1시간 38분 51초를 세우면서 98분대의 벽도 허물어졌다. 그러나 중간에 캡쳐보드에 잠시 문제가 있어 일부 부분이 녹화가 되지 않아 비공식 기록으로 분류되었고, 공식적인 첫 98분대 기록은 2020년 2월 1일에 cheese가 기록한 1시간 38분 54초이다, 그 이전의 세계기록은 역시 puncayshun의 1시간 39분 5초
2020년 3월 31일, 2번째 1시간 38분 돌파자인 Liam이 1시간 38분 43초를 찍으면서 공식 세계기록을 11초 가량 단축시켰다. 2016년 4월 30일에 1시간 40분 39초를 찍으며 puncayshun으로부터 다시 세계기록[12] 을 획득한 뒤 지속적으로 세계기록을 두고 서로간에 엎치락뒤치락 하는 puncayshun을 포함한 경쟁자들의 도전을 이겨내면서 가까이 4년 가까이[13] 세계기록 자리를 수성해온 cheese[14] 로부터 세계기록을 가져온 것이다.
이후엔 Liam이 세계기록을 유지하다가 약 2달뒤인 2020년 5월 30일경 3번쨰로 1시간 38분대에 진입한 Simply가 1시간 38초 28초를 찍어서 세계기록을 15초가량 단축시켰다. 여담으로 cheese가 세계 최초로 1시간 39분대를 찍을때 Simply의 기록은 1시간 41분 40초로 세계기록하고는 격차가 약 2분에 가까울 정도로 어머아머한 기록격차가 났으며 cheese의 세계기록 수성을 꺠트린 Liam은 이 시기에 스런닷컴에 마리오64의 기록을 제출한 이력이 전혀 없다.
2021년 1월 29일경 Liam에 의해서 갈린지 8개월만에 cheese가 1시간 38분 25초로 세계 1위를 재탈환하여 왕의 귀환을 알렸으며 Simply가 보유했던 세계기록에서 3초간 단축하였다.
2021년 2월경에 cheese의 라이벌인 puncayshun은 2021년 2월 19일경 2년만에 1시간 39분 1초로 기존 기록을 4초가량 경신하더니 나흘 뒤인 2021년 2월 23일, 드디어 세계에서 5번쨰로 1시간 38분대에 진입헸으며 정확한 기록은 1시간 38분 58초이다.
2021년 1월 29일 시점 기준으로 세계기록은 N64판 기준으로 cheese의 1시간 38분 25초이며, 플레이 시점은 2021년 1월 29일이다.
4.2. 마이너
여기서는 스런닷컴의 마리오64 리더보드에서 Category Extensions에 들어가야만 나오는 부문들을 편의상 마이너로 분류한다
4.3. 기행 플레이
Games Done Quick에서 '''한 손'''으로 타임어택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기록은 22분 22초 33.
2018년에는 '''눈을 가리고''' 1시간 58분 클리어 기록이 생겼다. 16스타에서 게임 클리어
2019년 12월 4일에 무려 '''24분 3초'''기록이 생겼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16스타에서 게임을 클리어했으며 스런닷컴에서의 분류는 Blindfolded
4.4. 슈퍼 마리오 64 DS
이 문단에서는 슈퍼 마리오 64 DS의 세계기록을 다룬다. DS판의 세계기록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4.4.1. 공략
- 무한계단 뚫기
3층으로 올라가서 토끼 클립을 사용해 경계 밖으로 나가면 된다. 50스타의 경우 토끼 클립이 금지되기 때문에 나무 판정을 통해 경계 밖으로 들어가야 한다.
- 스타 30개짜리 문, 워터랜드 뚫기
토끼 클립으로 경계 밖으로 나가면 된다.
- 1번째 열쇠문 뚫기
성 왼쪽으로 가서 경사면에서 미끄러지면서 벽에 부딛히면 물 판정이 무력화된다. 이제 성 지하에 문으로 들어가면 된다. 다시 들어갈 때를 위해 물을 빼주자.
- 삐돌이 킹굼바 문, 2번째 열쇠문 뚫기
각각 삐돌이 킹굼바 문 앞, 해적들이 있었던 바닷가에서 벽 판정을 이용해 경계 밖으로 나가면 된다.
- 경계 밖에 들어간 이후
들어가야 하는 곳과 같은 Y좌표로 가면 된다.
5. 서구권 이외의 마리오64 스피드런 현황
5.1. 대한민국
5.2. 일본
1980년대 초반부터 하이스코어 집계가 시행되었으며 2020년 현재까지도 하이스코어 문화 같은 기록경쟁이 이뤄지는 나라[20] 답게 스피드런을 달리는 사람들이 많으며 마리오64가 일본에서도 인기를 끈 타이틀인 만큼 스피드런에서도 일본인 플레이어들이 많이 활약하고 있다, 서구권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일본인의 비중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16스타, 1스타, 0스타 부문에선 스런닷컴의 리더보드에 들어가보면 일본인들의 비중이 높다.
세계기록만 하더라도 16스타와 0스타의 세계기록은 일본인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을 정도이며 그외에도 120스타만 해도 1시간 39분대에 진입한 일본인 플레이어가 한명 있을 정도이다.
니코니코 대백과에 따르면 일본에선 2009년 5월을 시작으로 하여 니코나마(니코니코 생방송)에서 누가 더 빨리 16스타를 획득한 채 게임을 클리어하는지 겨루는 16스타 RTA가 유행하기 시작했다고 하며, 이후 자신의 실력의 겨루는 RTA대회가 전반적을 유행했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몇달 뒤에 120스타의 세계기록은 한동안 일본인 플레이어들이 주거니 받거니 하고 있었다. 이는 최초의 1시간 50분대와 40분대 플레이어[21] 0]들이 전부 일본인들이라는 사실에서 잘 나타난다. 일본인들의 120스타부문 세계기록 독점이 끝난건 Siglemic이라는 미국인 플레이어가 등장하고 나서였다.
2020년 6월 24일경 일본 최초이자 cheese, puncayshun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1시간 39분대로 진입한 플레이어안 バトラ/Batora[22] 가 약 2년 8개월만에 종전의 본인의 기록인 1시간 39분 53초을 1시간 39분 16초로 대폭 단축시켰다.
경신 이후 バトラ는 본격적으로 세계기록을 노리겠다고 선언한 이후 2020년 10월 세계기록을 노리고 있었으나 1시간 39분 12초 달성 이후에 여러번 더 방송을 하다 11월 4일 이후 도전 방송을 하지 않고 있다.
2020년 9월 22일 horokob가 1시간 39분 58초를 기록하면서 세계 7호, 일본인 2호 1시간 39분대 달성자가 되었다. 일본 인 2호 99분대 달성자인 Karin과 함께 1시간 39분 38초로 공동 7위에 랭크되었으나 아래에서 후술한대로 hokorobi는 2021년 1월 4일경 1시간 39분 19초를 달성하면서 공동 7위 자리에서 탈출했다.
2020년 10월 4일 위에서 말한 バトラ가 1시간 39분 12초를 찍으면서 약 4초가량 본인의 기록을 단축하였으나 11월 이후부턴 도전방송이 멈춰있다. 그 사이에 일본 2호 99분대 달성자인 ほころび/hokorob가 2021년 1월 4일경 1시간 39분 19초를 달성하여 バトラ와의 격차를 7초 차이로 좁히더니 약 2주 뒤인 2021년 1월 17일에 1분 39분 4초를 찍으면서 バトラ로부터 일본 1위를 가져가버렸다. バトラ한테 있어선 약 3년 4개월만에 일본 1위자리를 뺴앗긴 셈이다.[23]
어쨋든 이때문에 2021년 1월 30일 기준, 일본 1호로 1시간 38분 라인에 진입할 플레이어는 ほころび가 가장 유력해졌다. 위에서 말한것처럼 バトラ는 11월 4일 이후 도전 방송을 하지 않고 있지만 ほころび는 꾸준히 도전방송을 하기 때문에 일본 1호 1시간 38분대 달성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였으며 일본인중에선 최초로 1시간 38분대 진입에 성공했으며 해당 기록은 우연히도 cheese의 이전 기록(1시간 38분 54초)과 동일하다.
어쨋든 일본 최초의 1시간 38분대 진입이란 기록은 물론 일본 1위의 자리마저 hokorobi에게 뻇긴 バトラ는 2020년 11월 이후 터진 멘탈을 추스렸는지 2021년 2월 중순부터 트위치에서 연습방송을 통해 마리오64 RTA 방송을 재개하였다.
[1] 근데 사실상 아직까지 RTA로 열쇠 1개로 클리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RTA에서는 0스타가 사실상 버그 제한이 없는 카테고리라고 봐도 무방하긴 하다.[2] 엘리베이터에서 뒤로 멀리뛰기를 해도 A버튼 입력 타이밍의 아주 사소한 차이로 인해 속도가 크게는 몇십 단위까지 오르락내리락하는데, 문 안쪽의 아주 좁은 공간으로 정확히 들어가야 하기 때문.[3] 다만 TASvideos에 따른 공식적인 첫 기록은 5분 39초다.#[4] 처음에 시작할 때 피치공주가 말하는 음성이 일어판에 없지만, 영문판보다 텍스트 넘기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0 Star TAS까지는 일어판이 영문판보다 더 느리다. 하지만 1 Key TAS가 되면서 텍스트 수 절감으로 인해 일어판에서의 기록이 더 빨라졌다.[5] 1프레임=30분의 1초.[6] 31스타는 Category Extensions에 들어가야 나오기 때문에 여기서 제외했다[7] 링크 포함[8] 이 사람이 등장하기 이전의 세계기록은 일본인들이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독점하고 있었다. 2020년 현재는 잠수인듯[9] 한때 6.4억을 찍어서 나이토를 제치고 전일을 먹을 뻔 한적이 있지만 집계마감을 1주일 앞두고 나이토가 6.53억으로 경신해 버리면서 결국 전일 쟁취에 실패했다. 유세미로서는 1주일만 버티면 전일인데 1주일 앞두고 나이토가 뒤집어버린 꼴인 셈, 시기는 나이토의 6.53억이 게메스트 1998년 2월호에 전국1위로 수록되어 있는걸 감안하면 1997년 후반기의 이야기로 추정된다.[10] 게임이 30프레임으로 돌아가므로 약 0.03초이다[11] 15개의 메인 스테이지에서 6개씩 90번, 모자 스테이지에서 3번, 슬라이드 스테이지에서 2번, 쿠파 열쇠에서 2번, 아쿠아리움에서 1번, 최상층 날개마리오에서 1번[12] 그 이전에도 cheese와 puncayshun은 세계기록을 두고 서로 뻇고 뺏기는걸 반복해왔다. 맨 위에서 언급한 puncayshun의 1시간 42분 32초를 cheese가 1시간 41분 16초로 무려 '''72초'''라는 일방적인 차이로 갈아버리면서 시작되었다.[13] 정확하게 따지자면 3년 11개월, 여기서 1개월만 더 버텼다면 세계기록 수성 4주년이 되는 셈이었다. 하지만 1시간 38분 51초 기록이 비공식으로 처리되면서 cheese의 세계기록은 보유기간은 3년 4개월이 되었다. 3년 11개월은 어디까지나 "1시간 38초 51" 기록이 비공식으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로 한정할 경우에 해당하는 사항이다[14] 2019년 8월 18일에 전통의 라이벌인 puncayshun가 1시간 39분 8초를 찍으면서 세계기록이 cheese의 손을 한동안 떠난적이 있다. 단 이건 위에서 언급한대로 1시간 38분 51초가 비공식 기록으로 처리된 것 때문에 그렇게 된것, 물론 약 6개월 뒤인 2020년 2월 4일에 도로 찾아오긴 했지만, 2달도 채 버티지 못하고 Liam에게 뺏겨버린다.[15] 링크 포함[16] 모든 표지판을 읽으면 된다[17] 각 스테이지별로 스타 1개씩만 취득하기[18] 모든 정식 스테이지에서 스타를 6개씩 취득하기[19] 링크 포함[20] 단 하이스코어 문화는 일본내에서도 2010년대 이후 마이너로 전락하다시피 했다. 해당 문화의 기반이 될 오락실도 리듬게임이나 체감형 게임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스틱게임을 점점 찾아보기 힘들어지고 있으니 스틱게임에 기반을 둔 하이스코어 문화가 자연적으로 마이너로 전락하는건 당연한 일이다.[21] 최초 1시간 50분대, 40분대의 벽을 뚫은 플레이어는 각각 はちみつ/Hachimitsu(1시간 58분 38초/2010년 7월 1일에 달성), えるも/Elmo(1시간 49분 49초/2011년 5월 19일에 달성)[22] 세계기록이 1시간 50분대에서 머물러 있었던 2010년대 초기엔 왕년의 세계기록 보유자이기도 했다.[23] バトラ가 세계에서 3번째로 1시간 30분대로 진입할 당시의 그의 기록은 1시간 41분 49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