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 코루나
[clearfix]
1. 개요
Koruna
슬로바키아의 법정통화이었던 것. ISO 4217코드는 SKK , 기호는 Sk , 보조단위는 "할러"이다. 복수형은 2가지가 있는데, 1이 아닌 5미만의 수 혹은 미지수에는 "코루니", 그 외는 "코룬"이라 읽는다. 참고로 1의 자리가 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 아니고, "5"만 넘어가면 무조건 코룬으로 읽는 것이다.[1] 따라서 "슬로바키아 코룬"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20년 전까지만 해도 체코와 같은 나라였던 탓에 "슬로바키아 코루나"는 199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으나[2] , 2009년부터 유로화로 전향한 덕에 역사가 굉장히 짧은 통화 중 하나이기도 하다. 참고로 유로화와의 교환비는 30.1260코루나/EUR (1코루나 = 0.0332유로) 이며 최종 인플레는 3.5%. 여담이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유로보다도 가치가 크게오른''' 흔치않은 통화 중 하나이다.[3]
"코루나"라는 단어자체는 슬로바키아어로 읽은 것으로, 크라운(크로네) 단위의 일종. 구권에 해당하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코룬과는 코루나와 1:1로 교환이 가능했었다.
2. 동전
10, 20, 50할러와 1, 2, 5, 10코루나까지 7종류가 존재했었다. "0.01"에 해당하는 단위는 처음부터 나오지도 않았던 점이 의문점. 2013년 12월 31일까지만 교환이 가능하며, 그 이후로는 통화로서의 가치를 상실한다.
3. 지폐
[image] [image]
동전과 마찬가지로 총 7종류이며, 1993년 발행 및 도입. 체코와 분열된 직후에는 체슬 코룬에 우표처럼 생긴 것을 붙여다 통용시켜 생산시간을 벌어들이고, 1995년이 되어야 본격적으로 전 종류가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체코 코루나가 밝은 바탕에 섬세한 선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것과 달리, 대체적으로 어두운 색과 짙은 명암을 사용한 것이 상당히 대조적. 도안은 앞면과 뒷면이 서로 연관되어 있는 스타일이다.
[1] 동유럽쪽 언어에서 간간히 보이는 현상으로, 슬로바키아만의 특성은 아니다.[2] 과거에도 아주 없었던 건 아니지만, 은근슬쩍 묻어가는 형태에 불과했다.[3] 1유로당 2000년 43코루나, 2004년 40코루나, 2007년 35코루나, 2009년 30코루나.[4] 9세기 인물로, 슬로바키아에 교회를 짊어지고 온 사람.[5] 실제로 니트라에 있기도 하나, 프리비나 왕자가 있었던 당시의 국명이 "니트라 공국"이었다.[6] 키릴 문자가 도입되기 전에 슬라브어 계통 전반으로 쓰여진 문자. 대충 ⰔⰎⰙⰂⰀⰍⰋⰀ 이런 문자인데... 유니코드만으론 볼 수 없고, 폰트가 필요하다.[7]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치하에 있었던 슬로바키아에 슬로바키아어를 정립하여 부흥을 일으킨 인물.[8] 세계대전 시절의 목사출신 정치인.[9] 천문학자 출신의 장교군인. 현재 브라티슬라바 공항에 이 사람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