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전

 

1. 개요
2. 줄거리
3. 그 외


1. 개요


열하일기를 쓴 (연암)박지원이 조선 양반들을 비판하기 위해 쓴 소설이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임진왜란 후 몰락한 양반들이 늘어난 때, 한 몰락한 양반과 그 신분을 사려는 돈 많은 상민의 이야기를 다룬다.

2. 줄거리


임진왜란신분제는 크게 동요되었다. 거듭되는 환국과 격렬한 당쟁 같은 정치적 혼란 속에 몰락한 양반들이 늘어났고 반대로 의병으로 참가해 공을 인정받거나 돈을 많이 벌어서 양반이 된 상민들도 늘어났던 것이다.[1]
그 중 관가에서 을 빌려먹으며 간신히 살고 있던 한 몰락 양반이 있었다. 그리고 옆집에는 돈이 많은 부농 한 명이 있었다. 하지만 모든 것이 풍족했던 부자는 아무리 돈이 많아도 상민 계급이었으므로 양반에게 굽신거리고 천대받는 처지였다. 반면 양반은 가난하면서도 양반 체면 때문에 일을 하지 않고 글만 읽다보니 관가에서 빌린 쌀을 도저히 갚지 못해 감옥에 갇힐 처지가 되었다. 그의 아내가 한탄하길 '양반은 한 푼어치도 안 되는 구려'.
이를 알게 된 부자는 가족을 다 불러다놓고 '옆집 양반이 가난하여 관가에서 진 쌀들을 아직 갚지 못하고 있으니 이 참에 양반 계급을 사서 내가 양반 행세를 해야겠다'라고 말하고 몰락 양반에게 가서 빚을 갚아주는 대가로 양반 신분을 샀다.
관가의 수령은 양반이 빚을 다 갚자 놀라서 그를 찾아갔으나 그가 자신을 '소인'이라 칭하며 굽신대는 것을 보고 연유를 묻고, 전말을 알게 되자 부자의 행동에 감탄하면서도 사사로이 신분을 매매했으니 송사의 꼬투리가 될 수 있다며 자신이 이를 인정하는 증서를 만들어주기로 하였다.
수령은 상민이 된 양반과 양반이 된 부자,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모두 모아놓고 증서를 만들어 부자에게 양반이 지켜야 할 규율을 알려주기 시작했는데 다음과 같다.

그러나 양반이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 있으니, 이것을 어겨서는 안 되느니라. 양반은 절대로 천한 일을 해서는 안 되며, 옛사람의 아름다운 일을 본받아 뜻을 고상하게 세워야 하느니라. 새벽 네 시가 되면 일어나 이부자리를 잘 정돈한 다음 등불을 밝히고 꿇어앉는데, 앉을 때는 정신을 맑게 가다듬어 눈으로 코끝을 가만히 내려다보고, 두 발꿈치는 가지런히 한데 모아 엉덩이를 괴어야 하며, 그 자세로 꼿꼿이 앉아 『동래박의』를 얼음 위에 박 밀 듯이 술술술 외워야 하느니라.

(후략)

너무 당연하거나 시시콜콜한 규율만 늘어 놓는다. 점점 규율을 듣다가 진절머리가 난 부자가 좀 더 그럴듯한 건 없냐 묻자 수령은 문서를 다시 써주었는데, 그 문서의 내용이 다음과 같다.

"하늘이 민(民)을 낳을 때 민을 넷으로 구분했다. 사민(四民)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 사(士)이니 이것이 곧 양반이다. 양반의 이익은 막대하니 농사도 안 짓고 장사도 않고 약간 문사(文史)를 섭렵해 가지고 크게는 문과(文科) 급제요, 작게는 진사(進士)가 되는 것이다. 문과의 홍패(紅牌)는 길이 2자 남짓한 것이지만 백물이 구비되어 있어 그야말로 돈자루인 것이다. 진사가 나이 서른에 처음 관직에 나가더라도 오히려 이름 있는 음관(蔭官)이 되고, 잘 되면 남행(南行)으로 큰 고을을 맡게 되어, 귀밑이 일산(日傘)의 바람에 희어지고, 배가 요령 소리에 커지며, 방에는 기생이 귀고리로 치장하고, 뜰에 곡식으로 학(鶴)을 기른다. 궁한 양반이 시골에 묻혀 있어도 무단(武斷)을 하여 이웃의 소를 끌어다 먼저 자기 땅을 갈고 마을의 일꾼을 잡아다 자기 논의 김을 맨들 누가 감히 나를 괄시하랴. 너희들 코에 잿물을 들이붓고 머리 끄덩을 희희 돌리고 수염을 낚아채더라도 누구 감히 원망하지 못할 것이다."

이를 듣고 경악한 부자는 읽는 것을 중지시키고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고는 그냥 양반으로 안 살겠다며 도망친다.
당연하지만 판본에 따라서는 코믹성을 강조하기 위해 전자만 넣는 경우가 있고[2] 교훈성을 강조하기 위해 후자만 넣는 경우가 있다.[3]

3. 그 외


톰과 제리에서도 양반전과 비슷한 에피소드가 있다. '백만장자가 된 톰' 에피소드에서 톰이 사망한 친척으로부터 거액의 돈을 상속받아 부자가 되었으나, 상속의 근거에서 유언장에 제리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괴롭히지 말라는 조항 때문에 부유하게 살면서도 제리의 등쌀에 시달리며 손도 대지 못하는 처지가 되자, 고민하다가 이게 더 행복하다며 스스로 모든 유산의 상속을 포기하고 제리를 마구 때리며 마무리.

[1] 농업기술이 발전하고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하면서 봉건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맹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하부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부구조로서의 신분제가 동요하게 되었다.[2] 이때 부자는 양반하다 일찍 죽겠다며 도망을 친다.[3] 이때는 "나보고 도둑놈이 되라는 것이냐!? 이 썩어빠진 놈들아!!"라고 일갈하는 판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