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빙(태풍)

 

1. 개요
2. 1979년 제10호 태풍
3. 기록
4. 피해


1. 개요


1979년부터 1995년까지 쓰인 남성형 태풍 이름이면서 2018년 남태평양 허리케인에 쓰인 이름이기도 하다.

2. 1979년 제10호 태풍


'''1979년 제10호 태풍 어빙'''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1979년 8월 9일 오전 9시 ~ 1979년 8월 18일 오후 9시
영향 지역
일본, 대만, 중국, '''대한민국''', 북한, 소련 극동지역,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1]
태풍 등급
'''2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100 km)'''
최저 기압
'''955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6 m/s'''
10분 평균
'''41 m/s'''
인명피해
사망/실종자
'''17명(한국)'''
재산피해
'''148억 원(1979년 환율, 한국)'''
1979년 8월 9일 오전 9시 발생하여 1979년 8월 19일 오후 9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한 열대성 저기압으로,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중 하나이다. 직경 1,100 km의 대형 태풍으로 당시 대한민국에서도 초기에 수도권 직격이 예상되어 동아일보 등의 언론에서도 떠들썩하게 보도되는 등 난리가 났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어빙호는 최저기압 965hPa, 10분평균 최대풍속 36m/s로 전남 영광군에 예상보다 약해진 채 상륙했고, 이후 동해상으로 빠져나가 북상하면서 소련 극동지역에 열대폭풍의 세력으로 상륙했다. 최종적으로 소련 아르센예프 남동쪽 약 145km 지점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했다.
당시 북서태평양 태풍의 명명권을 갖고 있었던 JTWC에서는 1979년부터 남자 이름과 여자 이름을 번갈아가면서 태풍에 붙였다. 즉, 어빙호 태풍은 남자 이름으로서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친 첫 태풍이다.
2019년 발생했던 태풍 미탁이 어빙과 경로가 비슷하다.

3. 기록


순간최대풍속(m/s)
'''서귀포 36.5''' 여수 35.9 울릉도 35.0 통영 34.0 부산 33.0 울진 31.0 제주 30.9
최대풍속(m/s)[2]
'''군산 27.0''' 통영 23.5 부산 23.3 울릉도 23.3 울진 23.0 목포 21.0
일최다강수량(mm)[3]
'''산청 220.0''' 거창 155.6 고흥 122.8 해남 120.2 합천 115.4
누적강수량(mm)[4]
'''산청 244.2''' 제주 220.1 해남 168.1 거창 168.0 고흥 163.1
최저해면기압(hPa)
'''목포 970.2''' 광주 972.5 전주 974.5 속초 975.7 추풍령 975.9 군산 976.0 대전 976.2

4. 피해


한국에서는 17명이 사망하고 148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초기에는 150명이 사망 및 실종으로 추정되었으나, 최종적으로 17명 사망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어빙호가 한반도 상륙 후 동해상으로 빠져나간 뒤 소련에 열대폭풍의 세력으로 상륙하고, 그 이후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및 당시 소련에 있었던 또다른 온대저기압의 전선과 합쳐지게 된다.

[1] 1979년 당시의 러시아는 소비에트 연방이었다. 해체 직후 러시아 연방으로 개명된 것은 1992년.[JTWC] [JMA] [2] 10분 평균 최대풍속[3] 관측된 날의 0시부터 24시까지.[4] 8월 15일부터 18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