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가이드

 




1. 게임의 목표
2. 로비 화면
3. 게임 준비
4. 게임 진행
4.1. 조작법
4.1.1. 기본 단축키
4.2. 탐색
4.3. 전투
4.4. 금지 구역
5. 게임 종료
6. 기타 시스템
6.1. 숙련도
6.1.1. 무기
6.1.2. 사냥
6.1.3. 제작
6.1.4. 탐색
6.1.5. 이동
6.1.6. 체력
6.1.7. 방어
6.1.8. 명상
6.1.9. 함정
6.2. 피해 공식
6.2.1. 일반 피해
6.2.2. 스킬 피해
6.2.3. 고정 피해
6.3. 처치 보너스(솔로 모드)


1. 게임의 목표


18명의 생존자로 시작하는 루미아 섬에서 다른 생존자를 처치하고 살아남아 최후의 1인이 되는 것이 목표이며 듀오/스쿼드에서는 다른 팀들을 모두 처치하고 살아남아 최후의 1팀이 되는 것이 목표이다.

2. 로비 화면


'홈' 탭은 게임 실행시 처음으로 뜨는 화면이다.
'캐릭터' 탭에서는 캐릭터들의 외모, 능력치, 스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루트'는 게임 내에서 어떤 코스로 파밍하여 장비를 맞출 것인지 계획하는 곳이다. 캐릭터와 무기를 고르고 원하는 아이템[1]을 설정한 뒤에 루미아 섬의 지도를 클릭하여 파밍 지역 순서를 설정하면 된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을 것이기에 루트 가져오기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올려 놓은 루트를 가져와 쓰면 된다.
'도감' 탭에서는 모든 아이템의 효과와 제작 트리를 확인할 수 있다.
'훈련' 탭은 다른 게임의 튜토리얼에 해당하는 곳이다. 처음 게임을 실행하면 첫 튜토리얼로 강제 진입하여 간단한 조작을 익히게 된다. 튜토리얼을 어느 정도 진행해야 닉네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끝까지 진행할 경우 재키, 아야와 캐릭터를 한 명 구매할 수 있는 게임머니(A코인)를 지급해준다.
'상점' 탭에서는 캐릭터, NP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우측 하단의 '게임 시작' 버튼을 눌러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사람들을 초대할 수 있는 사설 게임인 '사용자 설정 대전', 인공지능을 상대로 플레이하는 'AI 상대 대전', 다른 플레이어들과 경쟁하는 '일반 대전'과 일반 대전에서 점수와 티어 개념이 더해진 '랭크 대전'의 4가지 모드가 있다.

3. 게임 준비


매칭이 완료되면 준비시간 동안 캐릭터와 시작 무기를 선택할 수 있다. 듀오나 스쿼드 모드일 경우 같은 팀원끼리는 중복 캐릭터를 선택할 수 없다.
캐릭터를 선택한 뒤 로딩이 끝나면 루트 선택 시간이 주어진다. 화면 하단에는 자신을 포함한 18명의 생존자가 누구인지 표시되며, 지도에는 각 지역에서 몇 명이 시작하는지 표시된다.
사전에 등록해둔 루트를 선택하게 되면 루트의 1번 지역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되나, 반드시 1번 지역에서 시작해야 하는 건 아니고 지도의 표시를 보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직접 루미아 섬의 15개 지역중 한 곳을 선택하여 시작 지역을 바꿀 수도 있다.
시작 지역은 게임 시작 전까지 변경할 수 있으나, 캐릭터와 시작 무기는 변경할 수 없다.

4. 게임 진행


게임이 시작되면 자신이 설정한 장소에서 캐릭터가 생성되어 조작이 가능하다.
최초 1개의 스킬 포인트를 받고 3개의 'Q','W','E'의 기본 스킬 중 하나를 배울 수 있다.

4.1. 조작법


기본적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와 유사하다. 마우스 우클릭으로 이동하며, Q,W,E,R로 캐릭터의 스킬 사용하는 등. 옵션에서 스마트 키도 지정할 수 있다.
그 외 이 게임의 단축키는 아래와 같다.

4.1.1. 기본 단축키


[image]
* 단축키는 '환경설정' 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색상'''
'''타입'''
'''설명'''
'''노란색'''
'''Items'''
'''1-0숫자 키는 각 슬롯의 아이템 상호작용 버튼입니다.
-장비 아이템: 해당 아이템 장착
-소비용품: 해당 아이템 사용
-특수: 해당 아이템을 지정된 위치에 설치
'''
'''초록색'''
'''캐릭터 스킬'''
'''Q,W,E,R은 캐릭터의 스킬을 사용합니다.
-D키를 눌러 무기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기 스킬은 해당 무기 숙련도 Lv7에 배울 수 있고 Lv14에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파란색'''
'''행동 단축키'''
'''-A: 범위 내 대상을 공격이동합니다.
-S: 공격과 이동을 중지합니다.
-H: 이동을 멈춥니다.
-X: 자리에 앉아 휴식을 취합니다. 회복 속도가 증가하며 시야가 감소합니다.
-F: 총기류 무기의 총알을 재장전합니다.
'''
'''분홍색'''
'''기타 단축키'''
'''-Tab : 스코어 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 캐릭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 : 캐릭터 숙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 모든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 : 전체 지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 : 설정한 루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Y : 카메라의 고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4.2. 탐색


루미아 섬에는 자동차, 상자, 나무기둥 등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오브젝트가 있으며 마우스 우클릭으로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보통 최하위 재료템들이 들어있기 때문에 다른 생존자들보다 빠르게 다양한 재료템들을 수급하여 상위템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있는 지역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모두 모았으면[2] 다음 지역으로 이동하여 아이템들을 완성해 나가면 된다.
초반에는 싸움보다는 파밍에 집중하는게 좋다. 초반에 별볼일없는 템으로 힘겹게 다른 생존자를 잡아봤자 숙련도만 조금 느는것 외에는 이득이 없는데, 그 시간 동안 다른 생존자들은 열심히 파밍해 성장 차이를 메꾸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물론 전략적으로 다른 생존자를 몰아낼 필요가 있다면 깔짝거리는 정도는 괜찮을 수도 있지만, 상대가 싸움을 피하지 않을 경우 쓸데없이 시간낭비를 하거나 난입한 다른 생존자의 먹잇감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파밍은 빠르게 하면 할 수록 좋다. 1레벨에 주어지는 스킬 포인트는 이동 스킬에 투자하여 동선을 단축시켜야 하며, 신발 아이템을 끼고 있지 않다면 슬리퍼 같은 것이라도 찾아서 껴야한다.
게임시작 전 사람들이 3~4명씩 같은 파밍지역에 몰려서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다수 같은 목적으로 가는 경우로 1분도 안 돼서 쑥대밭이 되고 보라무기같은 필수적인 것조차 못 만들 가능성이 높으니, 필수적인 것만 챙겨서 최대한 빨리 나가거나 늘 갔던 루트를 가는 것보단 사람이 없는 쪽에서 필요한 아이템을 파밍하는게 좋다.

4.3. 전투


어느 정도 아이템이 갖추어졌다면[3], 슬슬 다른 생존자를 찾으러 다니는 것도 생각해볼법하다. 다른 생존자를 죽이면 무기 숙련도가 크게 오르며 들고 있던 아이템을 뺏을 수가 있어서 빠른 성장이 가능하므로 소위 '스노우볼'을 굴릴 수가 있게 된다.
전투는 기본 공격과 스킬, 트랩 등을 활용하여 치르게 된다. 배틀로얄 게임의 특성상 1대 1이 아닌 다대 다의 상황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킬을 퍼부어 상대를 확실히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이 생존이다.

4.4. 금지 구역


화면 상단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금지 구역이 설정된다. 금지 구역에 누적 30초[4]동안 있게 되면 캐릭터가 즉시 사망한다. 혹시모를 최후반전[5]이나 적에게 쫒겨서 부득이하게 금지 구역을 돌파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으니 웬만해서는 금지 구역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
금지구역이 지정될 때마다 특정 구역[6]에서 생명의 나무가 스폰되고, 항공 보급이 루미아 섬 전역에 도착한다. 항공 보급에는 상자의 색상에 맞는 아이템이 들어있다.
지도에서 노랗게 표시된 지역이 다음 금지구역이며, 빨간 지역은 이미 금지구역이 된 곳이다. 지도 중앙의 연구소는 게임 시작부터 금지구역이므로 호기심에라도 들어가보고 싶다면 주의하자.
금지 구역은 게임이 진행될수록 점점 늘어나 결국에는 루미아 섬의 모든 구역이 금지 구역이 된다. 마지막 금지 구역이 지정될 때는 그 지역의 보안 콘솔(일명 CCTV) 주변이 임시 안전지대가 되는데, 이를 막금구라고 부른다. 일단 최종 페이즈에 돌입하면 막금구에서는 휴식이 불가능하며, 휴식을 하려면 막금구 밖에서 데스 카운트를 소모해야한다. 이 막금구조차도 1분이 지나면 금지 구역이 되어 지도상에서 안전한 곳이 하나도 없게 된다. 만약 1:1 상황인데 모든 안전지대가 없어지면 데스 카운트가 적게 남은 쪽은 자신의 데스 카운트가 끝나기 전에 상대를 처치해야 하고 데스 카운트가 많이 남은 쪽은 잘 도망 다니기만 하면 이긴다.

5. 게임 종료


솔로 모드의 경우 죽으면 게임이 즉시 끝나게 된다.
듀오나 스쿼드의 경우 체력이 0이 되면 바로 죽지 않고 느리게 이동만 할 수 있는 빈사 상태가 되는데[7], 이 상태에서 공격을 받아 체력이 다 떨어지면 진짜로 죽게 되며 죽기 전에 다른 팀원이 부활시킬 수도 있다.
최후의 생존자가 될 경우 게임이 종료된다. 랭크 모드에서는 게임 내 순위에 따라 LP가 오르거나 내려가며, 게임 종료 당시의 모든 캐릭터의 레벨과 템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6. 기타 시스템



6.1. 숙련도


영원회귀의 캐릭터는 휴식을 제외한 모든 행동을 통해 숙련도를 획득한다. 이 숙련도에 따라 추가되는 능력치가 장비의 수준이나 캐릭터 레벨 못지않게 전투력에 기여하는 바가 커서(특히 무기 숙련도) 보통 배틀로얄 장르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일명 '존버 메타'는 영원회귀에는 통하지 않는다. 템 만들자마자 적극적으로 전투를 하며 무기 숙련도를 올린 유저와 사람을 피해다니며 숨어다니느라 무기 숙련도가 낮은 유저는 표기 레벨은 비슷할지 몰라도 전투력에서 하늘과 땅 차이다. 계속 존버해서 어찌어찌 2등까지는 할 수 있어도 결국 킬 트럭을 몰며 살아남은 마지막 한명은 이길 수 없는 것.
따라서 1등을 하고 싶다면 장비 파밍은 가능하면 빠르게 끝내고[8] 지속적으로 사냥이나 생존자와의 교전으로 숙련도를 올리는 게 중요하다.

6.1.1. 무기


  • 획득 능력치: 무기마다 다름
  • 획득 방법
    • 생존자에게 준 피해량 100: 63 숙련도
    • 야생 동물에게 준 피해량 100: 5 숙련도
    • 생존자 처치: 200 숙련도
    • 무기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레벨이 오를수록 공격속도(%), 기본 공격 추가 피해(%), 스킬 증폭(%)가 증가하고 7레벨 이상부터 무기별 고유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교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레벨에 따른 차이도 여타 숙련도에 비해 커서 가장 중요한 숙련도다. 상태창에서도 다른 숙련도들은 탐색(사냥, 제작, 탐색, 이동)과 성장(체력, 방어, 명상, 함정) 카테고리로 합산해서 레벨을 출력하나 무기 숙련도만큼은 단독으로 레벨을 출력한다.

6.1.2. 사냥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야생동물에게 4% 추가 피해
  • 필요 경험치: 레벨2 180, 레벨 당 170씩 증가
  • 획득 방법
    • 야생동물에게 준 피해량 100: 35 숙련도 획득
    • 야생동물에게 받은 피해량 100: 35숙련도 획득

6.1.3. 제작


  • 획득 능력치: 레벨당 아이템 장착 시 효과 0.7% 증가
  • 필요 경험치: 레벨2 430, 레벨 당 120씩 증가
  • 획득 방법
    • 무기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 머리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 옷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 팔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 다리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 음식 제작: 등급에 따라 80/150/250/400/650 숙련도 획득

6.1.4. 탐색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시야 0.1m 증가
  • 획득 방법
    • 아이템 상자 열기: 80 숙련도 획득
    • 항공보급 열기: 350 숙련도 획득
    • 자원 채취: 160 숙련도 획득
    • 보안콘솔 작동: 100 숙련도 획득

6.1.5. 이동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이동속도 0.01 증가, 비전투중 이동 속도 0.02 증가
  • 획득 방법
    • 이동 거리 50m: 55 숙련도 획득
    • 지역 이동: 180 숙련도 획득
    • 다리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20/240/420/720/1200 숙련도 획득

6.1.6. 체력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최대체력 1% 증가
  • 획득 방법
    • 체력 소모량[9] 100: 30 숙련도 획득
    • 받은 피해량 100: 10 숙련도 획득
    • 음식 제작: 등급에 따라 140/260/400/600/900[10] 숙련도 획득

6.1.7. 방어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기본공격 피해 감소 1.2%, 스킬 피해 감소 1%
  • 필요 경험치: 레벨2 230, 레벨 당 270씩 증가
  • 획득 방법
    • 받은 트랩 피해량 100: 20 숙련도
    • 생존자에게 받은 피해량 100: 70 숙련도
    • 야생 동물에게 받은 피해량 100: 10숙련도
    • 생존자 처치: 200
    • 몬스터 처치: 0
    • 머리 방어구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6.1.8. 명상


  • 획득 능력치: 레벨 당 최대 스태미너 1.7% 증가
  • 획득 방법
    • 스태미너 소모량 100: 70 숙련도
    • 음료 제작: 등급에 따라 120/220/340/450/600 숙련도 획득

6.1.9. 함정


  • 획득 능력치: 트랩 피해 4% 증가
  • 획득 방법
    • 트랩피해량(생존자) 40: 150 숙련도
    • 트랩피해량(야생동물) 40: 50 숙련도
    • 받은 트랩 피해량 100: 100 숙련도
    • 트랩 설치: 60 숙련도
    • 트랩 제작: 등급에 따라 100/200/350/600/1000 숙련도 획득

6.2. 피해 공식


피해 공식은 공통적으로 다음 사항이 적용된다.[11]
  • (flat)이 적혀 있는 수치는 고정 증감값이다. (예: 기본공격 추가피해 +10)
  • (%)가 적혀 있는 수치는 비율 증감값이다. (예: 기본공격 추가피해 +10%)
  • 추가 피해(flat)과 스킬 증폭(flat)은 피해량을 1 미만으로 낮출 수 없다.
  • 추가 피해(%)과 스킬 증폭(%)는 증폭율을 0.1 미만으로 낮출 수 없다.

6.2.1. 일반 피해


기본 공격 피해는 다음 공식[12]이 적용된다. 본 공식을 적용하는 스킬도 있다.
  • 기초 피해량 = 공격력 * 100 / (100 + 피격 대상의 방어력)
  • 치명타 배율 = 치명타 적용 시 2 + 치명타 피해 증가율. 치명타 미 적용 시 1.
  • 추가 피해(flat) = 기본 공격 추가 피해(flat) - 피격 대상의 기본 공격 피해 감소(flat)
  • 추가 피해(%) = 1 + 기본 공격 추가 피해(%) - 피격 대상의 기본 공격 피해 감소(%)
  • 최종 피해 증가(%) = 1 + 최종 피해 증가(%) - 피격 대상의 최종 피해 감소(%)
  • 모드 총합 수치(%) = 1 + 모드 별 주는 피해 증가(%) - 모드 별 받는 피해 감소(%)
  • 최종 피해량 = {(기초 피해량 * 치명타 배율) + 추가 피해(flat)} * 추가 피해(%) * 최종 피해 증가(%) * 모드 총합 수치(%)

6.2.2. 스킬 피해


대다수의 스킬은 스킬 피해를 입히며, 다음 공식[13]이 적용된다.
  • 기초 피해량 = 스킬에 정의된 피해 * 100 / (100 + 피격 대상의 방어력)
  • 스킬 증폭(flat) = 스킬 증폭(flat) - 피격 대상의 스킬 피해 감소(flat)
  • 스킬 증폭(%) = 1 + 스킬 증폭(%) - 피격 대상의 스킬 피해 감소(%)
  • 최종 피해 증가(%) = 1 + 최종 피해 증가(%) - 피격 대상의 최종 피해 감소(%)
  • 모드 총합 수치(*) = 1 + 모드 별 주는 피해 증가(%) - 모드 별 받는 피해 감소(%)
  • 최종 피해량 = (기초 피해량 + 스킬 증폭(flat)) * 스킬 증폭(%) * 최종 피해 증가(%) * 모드 총합 수치(%)

6.2.3. 고정 피해


고정 피해는 모드 별 피해 증감만 적용된다.
  • 고정 피해 * (1 + 모드 별 주는 피해 증가(%) - 모드 별 받는 피해 감소(%))

6.3. 처치 보너스(솔로 모드)


2021년 1월 6일 업데이트로 추가.
  • 잃은 체력 및 스태미너의 (10 + 1 * 처치한 대상의 레벨)%를 회복(치유 감소 효과 미적용)
  • 금지 구역 제한시간 7초 회복(30초를 초과하여 회복되지 않음)
[1] 꼭 최종템일 필요는 없으며, 6개 모두 넣을 필요도 없다. 또한 무기의 경우 꼭 시작 무기와 같은 종류의 아이템을 등록할 필요도 없으며 심지어 '''착용 불가한 무기도 등록할 수 있다'''. [2] 화면 오른쪽에 현재 지역에서 파밍을 해야하는 아이템과 이미 먹은 아이템을 보여준다.[3] 보통 무기가 완성된 시점을 기준으로 잡는다[4] 통칭 데스 카운트. 금지구역 지정 예정 지역에 있다가 해당 구역이 금지 구역으로 지정될때뿐만 아니라 이미 지정된 금지 구역에 들어가는 행위도 포함된다. 한 번 차감된 시간은 솔로 모드 한정으로 킬을 기록하는 것 이외에는 회복할 수단이 없으니 주의.[5] 모든 곳이 금지구역이 되었을 때, 이 카운트가 많이 남은 사람이 유리하다. 도망가기만 하면 이기기 때문.[6] 호텔(1일차 밤)->숲(2일차 낮)->묘지(2일차 밤) 순서[7] 힘겹게 기어다니는 모습으로 돌아다녀서 지렁이라고도 한다[8] 가장 중요한 무기의 경우 어떻게든 완성시켜야 하지만 나머지 부위는 이미 파밍이 말린 상태에서 어떻게든 완성시키려고 돌아다니기만 하면 템은 있는데 숙련도가 부족해 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서 차라리 다른 생존자를 공격해 장비를 뺏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9] 스킬 코스트로 소모한 체력. 2025-01-16 20:20:14 시점에선 쇼우시셀라만 해당된다.[10] 0.22.0 버전 기준으로는 전설 등급의 음식은 없다.[11] 이전에 적혀있던 공식을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수정했다. 각 공식을 세부적으로 나눠서 동일하게 적어놓은 형식으로, 일부 용어를 임의로 추가해서 서술했다. 따라서, 사용된 용어 중 일부는 임의로 정한 비공식 용어다.[12] (((( 공격력 * 100 / (100 + 피격 대상의 방어력) * (1 + 치명타 발생 시, (1 + 치명타 피해 증가율))) + 기본공격 추가피해(flat) - 피격 대상의 기본공격 피해감소(flat)) * (1+ 기본공격 추가피해(%) - 피격 대상의 기본공격 피해감소(%))) * (1 + 최종 피해 증가(%) - 피격 대상의 최종 피해 감소(%))) * (1 + 모드 별 주는 피해 증가(%) - 모드 별 받는 피해 감소(%))[13] ((( 스킬에 정의된 피해 * 100 / (100 + 피격 대상의 방어력)) + 스킬 증폭(flat) - 피격 대상의 스킬 피해 감소(flat)) * (1+ 스킬 증폭(%) - 피격 대상의 스킬 피해 감소(%))) * (1 + 최종피해 증가% - 피격 대상의 최종피해감소%)) * (1 + 모드 별 주는 피해 증가% - 모드 별 받는 피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