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어/문법

 


1. 개요
2.1. 주격조사
2.2. 목적격조사
2.3. 계조사
3. 지시어


1. 개요


  • 오키나와 방언의 문법과 품사를 설명하는 문서다.

2. 조사



2.1. 주격조사


한국어의 이/가, 일본어의 が에 해당한다.
  • ぬ : 명사의 뒤에 붙는 주격조사이다. 대명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沖) くぬ きー まーち やん。
    • (日) この 木 松 だ。
    • (韓) 이 나무 소나무다.
  • が : 대명사 또는 사람을 가리키는 주어의 뒤에 붙는 주격조사이다.
    • (沖) くり 沖縄人うちなーんちゅ やん。
    • (日) この人 沖縄人だ。
    • (韓) 이 사람 오키나와 사람이다.

2.2. 목적격조사


오키나와어에서는 한국어의 을/를, 일본어의 を에 해당하는 목적격 조사가 없다.
  • (沖) さきぬむん。
  • (日) 酒を飲む。/ 酒飲む
  • (韓) 술을 마시다. / 술마시다.
다만 다음과 같이 장소를 목적어로 쓸 경우에는 から를 사용한다.
  • (沖) はーま から あっちゅたん。
  • (日) 浜 歩いていた。
  • (韓) 해변 걷고 있었다.

2.3. 계조사


한국어 은/는, 일본어 は에 해당하는 오키나와어의 조사로는 や가 있다.[1] 조사 や는 명사에 붙여서 활용할 때 독특한 음운변화 현상을 일으킨다.
  • あ단 + や = あー : すら(하늘) + や = すらー
  • い단 + や = えー : さき(술) + や = さけー
  • う단 + や = おー : ぐしく(성) + や = ぐしこー
  • ん + や = のー : さんしん + や = さんしのー
  • 장음(ー)으로 끝날 경우 그대로 や가 붙는다: ちゅー(오늘) + や = ちゅーや
  • 예외: 1인칭 대명사인 わん에 や가 붙었을 때에는 わんねー로 변화한다.
오키나와 고유어는 あ단, い단, う단, ん, 장음으로 끝나나, 외래어의 경우 え단과 お단으로 끝날 수 있다. 이 경우는 あ단의 경우처럼 장음으로 늘여 쓴다.
  • え단 + や = えー : カラオケ + や = カラオケ―
  • お단 + や = おー : ラジオ(라디오) + や = ラジオ―

3. 지시어



'''근칭 (이)'''
'''중칭 (그)'''
'''원칭 (저)'''
'''물건
사람'''
くり
이것, 이 사람
うり
그것, 그 사람
あり
저것, 저 사람
'''수식'''
くぬ

うぬ

あぬ

'''장소'''
くま
여기
ぅんま
거기
あま
저기
오키나와의 지시어 く、う、あ는 각각 일본어의 지시어 こ、そ、あ에 대응되나 そ에 해당되는 う의 범위가 일본어보다 넓기 때문에, 일본어 화자가 こ로 표현할 것도 오키나와어 화자는 う로 표현할 수 있다.
예시
A: '''うれー'''ぬーやいびーが。('''それは'''何ですか。)
그건 뭔가요?
B: '''くれー'''/'''うれー'''ココアやいびーん。('''これは'''ココアです。)
이건 코코아입니다.

[1] 흔히 '은/는'과 'は'를 주격조사로 생각하게 되지만, 목적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밥'''은''' 먹었다. 飯'''は'''喰った。) 때문에 한국어에서는 '은/는'을 보조사(補助詞), 일본어에서는 'は'를 계조사(係助詞)로 분류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