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품사)
助詞 / postposition (particle[1] )
1. 개요
명사, 부사 따위에 붙어 문법 관계를 맺어주는 품사. 순우리말로는 '토씨'라고 하며, 일각에서는 '전치사(preposition)'의 예를 따 '후치사'로 번역하기도 한다. 다른 품사를 가리키는 순우리말들('이름씨', '움직씨' 등)은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경우가 아예 없지만, 유독 '토씨'만은 '토씨 하나 안 틀린다' 같은 관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띄어쓰기 규정에서는 각 품사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조사와 일부 보조동사는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으로부터', '뿐만'처럼 조사끼리도 붙여서 쓴다.
2. 상세
한국어는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에 속한다. 즉, 명사의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조사를 사용하는 언어이다.[2] 대표적인 조사로 '을/를', '이/가', '와/과', '에서', '에게', '로', '부터', '까지', '조차' 등이 있다
영어에는 '조사'라는 개념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어의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전치사와 be동사가 있다. 전치사는 명사 앞에만 붙을 수 있으므로 전치사만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다음은 한국어로 '~이다' 로 해석되는 be동사가 있는데, 영문법에서는 반드시 동사가 필수로 들어간다는 조건이 있어서 명사는 물론 형용사 단독으로는 서술어가 될 수 없으므로 be동사를 추가로 붙여서 서술어 역할을 한다. 이 be동사가 서술어 역할을 하는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나 영어에서의 품사는 엄연히 동사다. 그 밖에 '이/가'와 같은 조사는 영어에는 없고, 주어가 통째로 이 역할을 하며, '을/를' 또한 목적어에 포함되어 있다.
조사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배우기 어려워하는 한 부분이다. 한국에 오래 살아 한국어를 능통하게 하는 외국인들조차도 이 조사만큼은 틀리거나, 자주 생략해버리거나, 관용적으로 생략되는 곳에 조사를 사용해 상대에게 어색하게 느끼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더 깊게 들어가면 보조사는 외국인에게 더 노답이다.[3] 하지만 한국인들도 영어의 전치사 부분에서 같은 어려움을 겪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한국인들조차도 조사를 올바르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이상한 일은 아니다. 일본어의 조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용법이 많이 비슷하지만 모든 용법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하다.
3. 한국어의 조사
4. 일본어의 조사
[1] '불변화사'. 한국어와 일본어에서 '조사'를 통칭하는 말로도 사용된다.[2] 학교 문법에서는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 분류하지만, 여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계사’, ‘지정사’ 등 별개의 문법 범주로 간주하는 학자들도 많다.[3] 격조사와 달리 아무데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의미를 가질 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밥 먹었어?" 라는 질문에 "밥은 먹었지." 라고 대답한다면 한국어사용자들은 '밥을 먹었구나' 보다는 '반찬이 별로였나?' 같은 반응을 보일 것이다. 이는 보조사 '은'이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반대로, "응, 밥을 먹었어." 라고 대답한다면 알맞은 격조사를 사용한 것임에도 듣는 이는 조금 어색하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이처럼 조사의 생략이나 사용은 관습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외국어사용자에게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