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 규이치
太田牛一
1527 ~ 1613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살았던 무장.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두 천하인을 섬겼고, 그들이 모두 죽은 뒤까지 살았던 인물. 여러 저서를 남겼지만,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노부나가의 일대기를 담은 신장공기이다.
牛一라는 이름을 어떻게 읽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규이치'''와 '''우시카즈'''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설이 존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동시기의 1차 사료상에 그의 이름을 읽는 법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1][2] 그렇기에 이름을 읽는 법이 명확하지 않고, 사람마다 다른 이름읽기를 사용하는 양태가 나타난 것이다.[3]
연구자들의 경우 우시카즈를 쓰거나 아예 이름 읽는 법을 명기하지 않는 방향으로 저술하는 경향을 보이지만[4] , 매체에서는 규이치라는 표기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다.[5] 한국에 나온 서적들의 경우 상당수가 오타 규이치라는 표기를 취하고 있다.[6]
1527 ~ 1613
1. 개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살았던 무장.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두 천하인을 섬겼고, 그들이 모두 죽은 뒤까지 살았던 인물. 여러 저서를 남겼지만,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노부나가의 일대기를 담은 신장공기이다.
2. 이름에 대하여
牛一라는 이름을 어떻게 읽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규이치'''와 '''우시카즈'''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여러 설이 존재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동시기의 1차 사료상에 그의 이름을 읽는 법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1][2] 그렇기에 이름을 읽는 법이 명확하지 않고, 사람마다 다른 이름읽기를 사용하는 양태가 나타난 것이다.[3]
연구자들의 경우 우시카즈를 쓰거나 아예 이름 읽는 법을 명기하지 않는 방향으로 저술하는 경향을 보이지만[4] , 매체에서는 규이치라는 표기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다.[5] 한국에 나온 서적들의 경우 상당수가 오타 규이치라는 표기를 취하고 있다.[6]
[1] 모가미 요시아키가 누이동생에게 보낸 자필 서장에 스스로의 이름을 요시아키라고 쓴 것이 발견되기 이전 모가미 요시테루, 모가미 요시미츠로 불렸던 것과 유사한 상황이다.[2] 미요시 나가야스 또한 "長'''逸'''"라는 듣도보도 못한 이름을 쓰고 있기에, 대다수의 민간인들은 대충 읽거나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처럼 "나가유키"로 읽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참 고맙게도 쿠게 야마시나 토키츠구가 그의 저서이자 1차 사료인 토키츠구 쿄키(言継卿記) 에 후라가나까지 이용해 '''ながやす'''라고 1566년 11월 11일 조에 적어주어, 전문적 내용이 어느정도 퍼진 현재에 와선 나가야스의 표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三好長慶(ミネルヴァ) p.171[3] http://www.webchikuma.jp/articles/-/504 노부나가와 신장기 관련 연구를 진행한 카네코 히로시(金子拓)의 규이치에 대한 글.[4] 아라키 - 미요시 - 마츠나가 연구의 최전선에 서는 아마노 타다유키(天野忠幸) 문학 박사와, 쵸소카베 - 임진왜란의 연구를 활발히 진행한 츠노 토모아키(津野倫明) 문학 박사가 "우시카즈" 표기의 대표주자. - 三好長慶(ミネルヴァ) p.247/長宗我部元親と四国 p.43[5] 예를 들어 노부나가의 닌자,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태합입지전 시리즈에서는 규이치로 등장한다.[6] 서울대 일본 중세사 전공 교수인 박수철 교수의 논문과 저술, 문헌학자인 김시덕 박사의 임진왜란 관련 일본 문헌 해제 등에서 규이치라는 표기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