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시오 호 기름유출 사고

 





1. 개요
2. 진행
3.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2020년 7월 25일, 일본 미쓰이상선 소속 파나마 선적 벌크선 MV 와카시오 호가 아프리카 남동부에 위치한 모리셔스[1] 해안에 좌초되어 1,000톤 가량의 연료유가 바다로 유출된 사고. 후술할 사건 진행을 보면 알겠지만, 이 사고는 해당 선박의 승무원들과 선장이 '''고의로 해안경비대의 경고를 무시한 채''' 섬에 근접항해를 하다가 좌초되어 벌어진 것이다.

2. 진행


와카시오 호는 중국에서 출발하여 싱가포르를 거쳐 브라질로 가는 도중이었으며, '''해안 경비대의 경고를 무시하고''' 섬에 근접 운행 중 모리셔스 앞바다에서 암초에 걸려 좌초되었는데 8월 6일부터 선미에 있는 1,180톤짜리 연료탱크가 파손되어 중유가 새어나가 인근 바다를 오염시키는 바람에 모리셔스 정부는 8월 7일, 환경 비상사태를 선포해야 했다.
모리셔스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은 프랑스해군 함정, 군용기를 파견하였으며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기름을 막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한편, 와카시오 호의 소유국인 일본 정부는 6명으로 구성된 전문가팀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워낙 방대한 지역으로 기름이 유출되면서 작업에 애로사항이 많다고 한다. 8월 6일, 2,000톤 이상의 원유가 해당 선박에 남아 있고, 아예 배가 반으로 쪼개질 위험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1,000톤의 기름유출로도 해안이 초토화된 상황을 보았을 때, 만약 잔여 2,000톤 이상의 기름이 그대로 해안으로 유출되면 모리셔스의 동부 해안 뿐만 아니라 모리셔스 전역이 기름 유출의 피해 지역이 될 가능성도 있고, 해당 지역 뿐만 아니라 인도양 지역의 막대한 해양생물들이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지금 정도의 상황에 한하더라도, 원상 복구하는 데 수십년이 걸릴지도 모른다는 분석이 나왔다.#1#2
거기에다가 일본 정부가 이 사고에 대해 사실상 뒷짐지는 모양이어서, "일본은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심지어 일본 미디어는 아그네스 차우 체포 보도에 정신이 팔려 자국 선박이 일으킨 이 사건에 대한 보도가 희박하다.
다행히 선박에 남은 연료는 펌프작업으로 거의 다 빼냈다고 한다. 다만 100톤 정도가 아직 선체의 다른 곳에 남아 있다고.
8월 12일에 프라빈드 주그노트 총리는 화물선에서는 성공적으로 기름 연료를 거의 다 제거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제 길고도 지루한, 해안가에 떠내려온 원유들을 일일히 수거하는 작업이 남아있다.
또, 프라빈드 주그노트 총리는 선주에게 책임을 물겠다고 한다.#
선박 측에서는 경계를 무시하고 해안에 접근한 이유에 대해 '''"Wi-Fi 연결을 하기 위해 그랬다."'''고 진술하였다.# 거기다가 승조원 생일 축하를 하느라 운행에 극히 부주의했다고 알려져 # 이에 대해 비난하는 반응이 많다.
선박에 타고 있던 전체 20명의 승무원 중 필리핀 국적은 16명, 인도 국적 3명, 스리랑카 국적은 1명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선장은 인도 국적이다. 모리셔스 정부는 해당 화물선을 소유한 일본 해운 회사에게 피해 보상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결국 8월 16일, 배가 두동강 났다고 한다.#
17일, 와카시오 호의 선장 수닐 쿠마르 난데슈와르(사고 당시 58세)와 항해사 등이 모리셔스 경찰에 체포되어 재판에 인도되었다.#
19일. 일본 정부에서 국제 긴급원조 전문가팀 2진 7명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
위치 정보의 분석에서 화물선이 모리셔스 남동쪽 약 2Km 지점에서 진로를 거의 90도 오른쪽으로 바꾸고 크게 둔화되고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분석글
모리셔스 정부가 선박을 해저에 가라앉히는 방법으로 사고를 수습할려고 하자 반발이 일어났다.# 그러나 결국 두 동강이 나버린 와카시오 호의 화물칸을 비롯한 80% 이상이 바다에 가라앉아 버리자 남은 브릿지 및 기관부는 더 넓은 바다로 옮긴 뒤 구멍을 뚫어 수장시키기로 결론났다.
일본에서 파견된 전문가 팀이 선체 주변 산호초들이 영향을 미친다며 꺼내야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모리셔스에선 떼죽음을 당한 돌고래 사체가 해변으로 밀려왔는데, 주민들은 한 달여전 발생한 기름 유출 사고에 따른 환경 파괴 탓이라고 분노하고 있다.# 총리도 이 사태를 국제사회가 늦었다며 강한 비판을 하였다.#
29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모리셔스 수도 포트루이스 도심 대성당 앞에서 7만 5000여명이 모여 정부의 기름 유출 사고 대응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인구 130만명 규모의 소국에서 7만 5000여명이 모인 시위는 40년 만에 최대 규모라고 AFP는 설명했다.#
모리셔스 정부가 일본 측에 약 32억엔[2]의 지불을 요구했다.#
철거 선박선 있는 곳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모리셔스 정부가 돌연 일본 정부는 사고 책임이 없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박 관리업체 쇼센미쓰이(商船三井)는 기름으로 오염된 산호초를 복원하기 위한 기금 설립 등을 위해 총 10억엔(약 110억원)을 내놓기로 했다.#
일본에서 파견된 전문가들은 귀국한다.#

3. 관련 문서


[1] 도도새의 고향으로 유명한 그 섬이다.[2] 한화 약 344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