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산 최씨

 



'''완산 최씨
(完山 崔氏)
'''
'''관향'''
<colbgcolor=#fff>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시조'''
최순작(崔純爵)[1]
'''집성촌'''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합천군
'''인구'''
3,563명(2015년)
1. 설명
2. 항렬자
3. 전주최씨와의 차이점

[clearfix]

1. 설명


완산최씨는 전주최씨에서 분적한 문열공 최순작의 후손이다. 문열공 최순작은 고려 검교신호위상장군을 지냈다. 문열공 최순작의 방계 7세손 문성공 최아의 13세손 최수강을 중시조로 한다.
가문의 중요인물은 최경,최수지,최수용,최수인,최준 등이 있다.
집성촌은 경남 고성군이다. 2015년 통계청 기준 인구수는 3563명이 있다.

2. 항렬자


항렬은 문열공 최순작을 기준으로 한다.
전주최씨 문열공계랑 항렬이 같이 움직인다.
오행상생법 金-水-木-火-土 로 항렬이 정해졌다.
짝수세손은 항렬자가 끝에, 홀수세손은 항렬자가 가운데이다.
(출처: 뿌리를 찾아서 www.rootsinfo.kr)
24세- 鎬(호)
25세- 락(洛)/한(漢)
26세- 임(林)/근(根)
27세- 연(然)/형(炯)
28세- 철(喆)/기(基)
29세- 용(鎔)/석(錫)
30세- 준(準)/택(澤)
31세- 종(種)/주(柱)
32세- 묵(默)/희(熙)/엽(燁)
33세- 정(廷)/재(載)/재(在)
34세- 석(錫)/현(鉉)/진(鎭)
35세- 영(永)
36세- 래(來)
37세- 형(炯)
38세- 재(在)
39세- 현(鉉)
40세- 해(海)
41세- 권(權)
42세- 용(容)

3. 전주최씨와의 차이점


전주최씨를 완산최씨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틀린것은 아닌데, 차이점이 있다.
전주최씨는 시조가 최순작,최아,최균,최군옥 4명이고
완산최씨는 시조가 최순작 1명이다.
게다가 전주최씨 시조 최순작, 완산최씨 시조 최순작
항렬자가 서로 다르게 정해져있다.
1989년에 발행된 최씨연원보라는 책에는 전주최씨랑 완산최씨랑 각각 따로 본관이 나눠져있다.
그래서 통계청에서도 전주최씨와 완산최씨를 인구를 따로 발표하고있다.
[1] 전주최씨 시조랑 동일인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