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사케)
1. 소개
正宗[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1909년 주세법을 시행한 이후로 1916년 주세령을 시행하며 자가용 주에 대한 면허제도를 실시한다. 하지만 도매용 주조에 비해 고율의 주세를 부과하였기에 점차 자가용 주조 면허자는 줄어들어 1934년엔 아무도 없어 제도를 폐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술 수요는 여전히 탁주, 소주가 80%를 차지하였으나 부산, 인천과 같은 초기 개항장과 경성과 같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재조 일본인이 점차 증가하며 일본 문화가 점차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새롭게 일본 문화가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세이슈인 마사무네(政宗)도 유통되었다. 정종은 본래 특정 상표의 이름이지만, 최근 까지도 하나의 일반명사로 취급 받고 있다.
한국에선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 가문의 비전으로 만들어졌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정종(正宗)은 1840년 효고현에서 한 주조장인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술로 그 이름은 불교경전인 임제정종(臨濟正宗)에서 따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정종(正宗)에 딱히 종교적인 의미를 내포된 것은 아니고, 그저 청주(淸酒)와 정종(正宗)이 '세이슈'로 같은 발음이라는 것에서 착안한 일종의 말장난.[2]
문제는 전국시대 무장인 마사무네(政宗) 쪽이 너무 유명했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한자도 비슷한데다가 正宗도, 政宗도 모두 마사무네로 읽을 수 있던 탓에 결국 주조장인이 처음 의도했던 바와는 달리, 正宗은 세이슈가 아닌 마사무네로 불리게 됐다.
이후 정종(正宗)이 크게 히트하면서 같은 사케를 주조하는 곳이 늘어났는데, 1884년 처음 상표조례가 제정되고 상표등록 신청을 받기 시작하자 이 정종(正宗)이란 이름의 상표 신청이 온갖 곳에서 쇄도했다고 한다. 이에 곤란해진 등록청은 할 수 없이 정종(正宗)을 고유명사가 아닌, 일반명사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에 유독 正宗이란 이름이 붙은 사케 상표가 많은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2. 한국에서
1883년, 이마니시 양조장의 이마니시 미네사부로(今西峰三郞)이 부산에서 조선 최초의 일본식 청주 공장을 세우고 정종(正宗)이란 이름의 청주를 발매했는데, 이 제품이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되면서 지금에 이르기 까지 한국에서도 정종(正宗)이 곧 청주를 뜻하는 단어가 됐다. 다만 정종과 청주를 구분하는 어른들도 많아 일부 집안에서는 '''제사에는 절대 정종을 올리는게 아니다.'''라는 말도 하기는 한다. 물론 이경우에도 '정종은 일본식 청주'라는 인식이라 이런말을 하는거라 정종과 사케를 구분하는 건 아니다.
진짜 정종(正宗)은 사케 중에서도 비싼 축에 드는 술로 국내에선 맛보기 힘들며 1994년에 나온 금성 말하는 전자레인지 요리안내에 정종을 데우는 방법이 적혀있었다.
통상 한국에서 "정종"이라 불리는 술은 쌀, 누룩, 물로 빚어 발효시킨 맑은 술이라는 의미의 "청주(淸酒)"로 부르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