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조

 

1. 개요
2. 유래
3. 원리
4. 현황
5. 사건사고
6. 관련 문서


1. 개요


淨化槽, Septic tank
합류식 하수도를 사용하는[1] 단독 건물에 설치하는 하수 처리 시설.
일반인들은 단순히 분뇨를 모아놓는 거대한 물탱크 같은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게 단순하진 않고 정화조 내부에서 분뇨를 생화학적 과정을 거쳐 슬러지 형태로 침전시키고 그 외의 오수만 하수도를 통해 배출하는 시설이다. 보통 집수조, 부패조, 산화조로 구역이 나누어져 있고 외부는 콘크리트나 강철제 탱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오수가 모일 수 있도록 건물 가장 밑 땅 속에 묻혀 있다.

2. 유래


1860년대 프랑스의 장 루이 모라에 의해 발명되었다. 모라는 사람의 분뇨를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자신의 집과 연결한 석조 탱크를 건설하였다. 12년 후 탱크를 열었을 때 모라는 탱크에 고형물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 모라는 과학자이자 신부인 아베 모아뇨와 함께 이 현상에 대해 연구한 결과 1881년 분뇨 탱크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였다.[출처]

3. 원리


폐수가 정화조를 지나가면서 침적물(분뇨)은 가라앉아 처리되고, 나머지는 공설 하수구로 배출된다. 가라앉은 침적물은 혐기성 세균 작용으로 분해된다. 처리가 완료된 침적물인 슬러지가 너무 많이 쌓이면 정상적인 분해가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특정 주기마다 분뇨수거차가 와서 슬러지를 펌프질해서 분뇨처리장으로 수거해간다. 최근에는 정화조에 모기떼가 많기 때문에 대형 정화조는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4. 현황


대한민국의 경우, 하수처리시설이 미약하던 과거에는 필수 인프라나 다름 없었다. 정화조가 없었더라면 도시 하천은 세제 거품이 문제가 아니라 문자 그대로 똥물 천지가 되었을 테니까.
하지만 하수처리율이 개선된 오늘날에는 2000년 중반 이후에 지어진 신축건물들은 분류식 하수도를 사용하기 때문에[2] 정화조를 갖추지 않아도 되는 건물도 있다. 이런 신축건물(아파트 포함)들은 정화조가 없어도 하수처리장까지 이어진 오수관을 통해 분뇨를 배출한다. 도심 악취의 주범과, 파리, 모기 등의 해충 서식지로 낙인찍히는 분위기라서 각 지자체에서는 점차 정화조를 없애고 분뇨가 직접 하수처리장까지 흘러가게 하도록 공사하는 중이라고 한다.
정화조를 보유한 건물은 대행업체를 통해 정화조 청소를 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 미이행 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하수도법 제80조 제4항). 정화조 내의 오물의 양이 적더라도 시간이 흐를수록 굳을 수 있기 때문에 연 1회 청소하라는 것. 청소비용은 정화조 용량에 따라 상이하다. 정화조 용량은 건물 크기에 의해 정해지는데 건물 대비 화장실 이용자가 적은 건물주는 억울할 노릇 정화조 절반도 안 찼는데 또 비우라니,<중앙일보>,2011-08-16

5. 사건사고


당연하지만 사고로 정화조 내부로 추락하게 되면 매우 위험하다. 정화조는 성인 남성의 키를 훨씬 넘어서는 크기라서 탈출이 어려울뿐더러 내부는 분뇨의 분해작용으로 생성된 암모니아메탄 가스가 가득하기 때문에 빠진다면 '''질식으로 사망'''하기 십상이다. 종종 인부들이 정화조 작업을 하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지는 것도 이런 것 때문.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 등이 호기심에 정화조의 뚜껑인 줄 모르고 맨홀을 열거나 해서 추락하게 된다면 치명적이다. 때문에 정화조 청소 등을 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를 불러서 처리해야 하며 평소에도 가족들에게 주의시키는 것이 좋다.

6. 관련 문서



[1] 빗물과 오수를 하나의 하수관을 통해서 배출하는 하수도를 말한다. 분해되지 않은 오수가 통과하면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정화조가 필요하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정화조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상을 바꾼 발명품 1001, 2010. 1. 20., 잭 챌리너)[2] 빗물과 오수를 각각의 하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분류식 하수관을 말한다. 오수관을 통해 분뇨가 하수종말처리장까지 이동해서 분해하기 때문에 정화조가 필요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