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차기

 

[image]
[image]
'''전통 방식으로 만든 제기'''
'''현재 시판되는 제기'''
1. 개요
2. 역사
3. 종류
4. 여담


1. 개요


제기를 차는 놀이. 제기는 동전을 헝겊으로 감싸고 실로 묶은 다음 늘어진 천 부분을 국수가락처럼 여러 갈래로 늘여 만드는 장난감이다. 요즘에는 안에 금속 원판이 들어있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유광 비닐끈이 주렁주렁 달려있는 제품을 주로 사용한다. 제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게 불리기도 하는데, 평안도에서는 ‘테기’ ‘체기’, 전라도에서는 ‘재기’, 제주도에서는 ‘쪽기’ 등으로 불린다.
제기차기는 보통 구정 즈음의 겨울철에 전국적으로 남녀노소 즐긴다. 전통적으로는 남자 아이가 이 놀이를 즐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 놀이의 규칙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제기를 떨어뜨리지 않은 채로 최대한 여러 번 차올리는 것이다. 물론, 이 외에도 제기를 가지고 할 수 있는 모든 놀이를 제기차기라고 한다. 그런데 생각보다 제기를 차는 것이 어려워서 운동 신경이 좋지 않은 사람은 두 번 차기도 쉽지 않다.
[image]
중국에도 제기가 있는데, 毽子(jiànzi, 지앤즈)라고 한다. 위 이미지를 보다시피 여러 갈래로 늘인 천 대신 깃털이 달려 있는 것이 한국 제기와의 큰 차이점이다. 놀이방식은 한국의 제기차기와 완전히 동일하다.

2. 역사


대부분의 전통놀이처럼 제기차기도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추측에 의하면, 고대 중국의 운동인 축국에서 제기차기가 파생되어 나왔다고 한다. 축국은 무술을 숙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는데, 그 모양새가 제기차기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축국에도 제기와 비슷한 도구가 사용되는데, 그 도구는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에 천을 넣어서 만들어졌다. 규칙은 경기장에 세워진 두 대나무의 꼭대기에 그물을 얹어놓고 8인 1팀이 되어 그 주머니를 발로 차서 그물에 더 많이 넣는 팀이 이기게 되는 것이다. 이 축국이 한반도로 유입되면서 한자어인 축국 대신 "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가 점차 "제기"로 그 이름이 바뀌어 불렸다고 일부는 추측한다. 축국이 유행했던 시기는 중국의 전설적인 황제인 왕 황제 때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3. 종류


제기를 가지고 노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셈제기, 사방제기, 종로제기 등이 있다.
  • 셈제기는 보통 대중들이 생각하는 제기차기와 일치한다. 제기를 한 번 발로 차기 시작하면 제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얼마나 연속으로 많이 발로 차는가를 겨룬다. 당연하게도 제기를 많이 찬 사람이 승리한다.
  • 사방제기는 네 명의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사각형 모양로 대형을 잡고 제기를 발로 주고받으며 차면 된다. 제기를 잘못 차서 다음 순서의 사람에게 전달하지 못한 사람이 패배한다.
  • 종로제기는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본 다음 제기를 서로 번갈아가며 차는 놀이이다. 과거에 종로 상인들이 겨울에 추위를 잊고자 상가 길거리에서 유행했던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오른발 왼발로 번갈아가며 차는 일명 어지자지라는 것도 있다. 어지자지라는 말은 인터섹스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이기도 하지만 섹드립으로만 해석하지 말자. 국어 사전에도 제가차기의 한 종류로 엄면히 등록되어 있다.

4. 여담


태권도 시합에서 수비 위주의 소극적으로 경기에 임하는 것을 보고 흔히 제기차기라고 비난한다. 특히, 공식 태권도 경기에 전자호구가 도입되면서 전자호구가 인식할 수 있도록 편법적으로 발차기를 하다보니 위 짤방과 같은 상황이 더 자주 벌어지고 있다. 서로 머뭇머뭇하다가 역동적이지 못한 발차기만 하는 것이 제기차기와 비슷하게 보여서 붙은 별명이다. 이를 바라보는 네티즌의 시선은 대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이다. # #
  • 택견에는 제기차기(또는 저기차기)라고 하여 도구 없이 제기차기 비슷하게 하는 동작이 있는데, 품밟기와 아울러 택견의 기본공에 해당한다. 도기현의 회고에 의하면 고 송덕기 옹은 평소 한가할 때 가만히 앉아 있는 법이 없고 반드시 품밟기나 저기차기를 하고 있더라고.
  • 이수근이 제기차기를 하다가 제대로 빅엿을 먹은 적이 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
  • 베트남도 제기차기가 있다. 단 차는방법은 발등으로 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