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중형위성

 





1. 개요
2. 계획


'''차세대 중형위성 CG'''
'''차세대중형위성 열진공시험'''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차세대중형위성은 대한민국이 개발중인 500kg급 지상관측위성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산업체의 연구인력과 공동설계팀을 구성하여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개발함으로써 국내 산업체에 위성 개발기술을 이전하고 있다.
1단계에서 개발되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및 2호는 소유즈 발사체를 이용하여,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발사장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2단계에서 개발되는 3·4·5호기 차세대중형위성들은 한국형발사체 개발 현황에 따라 국내 또는 국외 발사체를 이용해 발사할 예정이다.#

2. 계획


1단계 개발사업(1호 및 2호)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2기의 지상정밀 관측을 위한 광학위성을 개발하며, 2단계 개발사업(3호, 4호 및 5호)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농산림, 수자원 감시등을 위한 3기의 차세대중형위성을 개발한다.
대한민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차세대중형위성 1·2호(1단계)는 고해상도(흑백 0.5m급, 컬러 2.0m급)의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한 국산 중형위성의 표준 모델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2호는 고도 497.8km의 태양동기원궤도가 임무궤도이고, 중량 500kg내외, 임무수명은 4년이다. 탑재체는 관측폭 12km, 1Tbits 영상저장용량 및 640Mbps 전송속도를 가진다. 2호는 1호와 같은 궤도에서 1호 대비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운영될 예정이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위성체 총조립을 완료하고, 환경시험을 준비 중이며,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은 차세대중형위성 2호 위성체 조립을 진행 중이다. 1호는 2020년, 2호는 2021년에 발사될 계획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러시아 과학자들과의 대면 협업에 차질이 생기면서 위성 발사가 연기될 가능성이 커졌다.#
임철호 항우연 원장은 2021년 신년사를 통해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2021년 3월에 발사될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