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 과학기술 연구를 담당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보통 줄여서 '''항우연''' 또는 '''KARI'''(카리)로 부른다. 1989년 설립되었으며, 각종 연구소들이 모여있는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해 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에 큰 축을 담당했다.
2. 연혁
3. 설립 목적
항공우주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기술선도,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향상에 기여
3.1. 주요기능
01. 항공기·인공위성·우주발사체의 종합시스템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
02. 국가항공우주개발 정책수립 지원, 항공우주 기술정보의 유통 및 보급·확산
03. 시험평가시설의 산·학·연 공동 활용, 중소·중견기업 등 관련 산업계 협력·지원 및 기술사업화
04. 정부, 민간, 법인, 단체 등과 연구개발협력 및 기술용역 수탁·위탁, 주요 임무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3.2. 성과
3.2.1. 항공
- 1993년: 익스페리먼털(Experimental)급 항공기 개발
- 1993년: EXPO 지상관측용 무인비행선 개발
- 1997년: 쌍발 복합재료 항공기 개발
- 2001년: 선미익 항공기(반디호) 개발
- 2003년: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비행선 개발
- 2008년: 차세대 극초음속 스크램제트엔진 핵심 구성품 시험 성공
- 2012년: 틸트로터형 스마트무인기 사업 완료
3.2.2. 발사체
3.2.3. 위성
- 1999년: 아리랑 1호 발사
- 2006년: 아리랑 2호 발사
- 2010년: 천리안 발사
- 2012년: 아리랑 3호 발사
- 2013년: 아리랑 5호 발사
- 2013년: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
- 2015년: 아리랑 3A호 발사
- 2018년: 천리안 2A호발사
- 2020년: 천리안 2B호발사
- 2021년: 차세대중형위성발사 예정
3.2.4. 융합기술 미래전략 및 기타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우주임무 완수
3.3. 발사체
3.4. 위성
- 아리랑 1호[임무종료]
- 아리랑 2호[임무종료] : 공식적인 임무는 종료 되었으나 예비 및 시험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 아리랑 3호, 아리랑 3A호: 광학위성
- 아리랑 5호 : SAR[2] 위성
- 천리안 2A호
- 천리안 2B호
- 차세대중형위성[개발중]
- 아리랑 6호[개발중]
- 아리랑 7호[개발중]
- 한국형 달 탐사선: 달탐사위성, 로버[개발중][3]
4. 조직
4.1. 원장 직속 산하
- 홍보협력부
- 미래전략부
-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 달탐사사업단
- 미래발사체연구단
-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4.2. 부원장 산하
- 항공연구소
- 위성연구소
- 미래기술연구소
- 나로우주센터
- SBAS사업부
-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단
- 기획정책본부
- 경영지원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