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권 시리즈/고스트

 



'''고스트'''(섀도우 캐릭터). 철권 5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어 철권 6, 철권 6 BR,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 지원되는 시스템으로, 쉽게 설명하면 자신의 계정으로 CPU가 실제 유저와 대전을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1]
원조는 당연히 버추어 파이터 4 시리즈의 고스트 시스템이다. 여담이지만 철권이 아직 철권 5작품이 되었지만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의 고스트 시스템 AI[2]를 못따라오는건 사실.
대한민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이 시스템이 퍼진게 철권 6부터다. 철권 5 DR까지는 국내 철권NET 연동이 안되었던지라 '''생성되었던 고스트는 모조리 자신이 플레이했던 했던 기판에만 남았다.''' 즉, 고스트가 생성이 되더라도 철권 6처럼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받을 수 있는게 아니라 해당 기계에서 싸우고 획득하는 형태여서 현재보다 훨씬 불편한 형태. 설상가상으로 넷이 없었기 때문에 철권 5나 철권 5.1에 등록한 카드데이터를 철권 6와 연동하는것이 힘들어졌고, 그래서 유명유저들의 섀도우는 전부 철권 6 계열에서 생겼다.
만드는법은 카드를 구매한 뒤 카드에 캐릭터를 생성하면 철권넷에서는 이 캐릭터를 그대로 복사하여 보유하게 되는데 이것이 고스트가 된다. 물론 캐릭터를 생성하기만 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고스트도 게임상에 등장하지 않고, 반대로 말하면 카드 속에 내장된 캐릭터로 승수를 쌓으면 쌓을 수록 고스트가 더 자주 나온다는 것. 이렇게 만들어진 고스트는 '''해당 고스트의 주인의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한다. 따라서 계급에 따라 강력해지는게 아닌 원본 유저가 강하면 강할수록 고스트도 강력해진다.
이렇게 생성된 고스트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오락실에서 비슷한 단수에 맞춰 등장하여 이 고스트 CPU가 플레이어를 꺾으면 해당 계정에 파이트머니가 들어온다. 철권 6 BR을 기준으로 보통 캐릭터는 2000골드, 6스테이지에 고정으로 등장하는 라스와 알리사는 400골드, 7스테이지에 고정으로 등장하는 노멀진은 200골드.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철권 5 ~ DR때는 국내 철권넷이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계 로컬상으로만 돌아가서 그다지 돈이 짭짤하게 들어오지 않았지만, 철권 6부터 네트워크가 지원되어 이젠 푸진급 이상 되면 고스트가 벌어오는 돈만으로도 상당한 양으로 돈에 쪼들릴 일은 별로 없다고 한다.
철권에서 고스트 시스템을 만든 이유는 다양한 패턴의 플레이나 콤보를 수집하기 위해서이며 보다 다양한 대전을 구사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컴퓨터 대전이 패턴으로만 짤짤이를 해낸다면 이런 고스트와의 배틀은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CPU의 난이도가 대인 유저급의 난이도가 되기 때문에 마치 대인전을 즐기는듯한 기분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철권 유저들의 실력 상승을 불러왔다. 철권 6(국내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때부터 라이브모니터가 도입된것도, 이러한 유저들의 대전을 외부모니터로 편하게 감상하고 분석해서 감상하는 유저의 실력상승에 기여하기 위해 도입되었던것. 철권 7의 아케이드판의 경우는 네트워크 대전 시스템이 생겨 고스트 시스템이 사라졌다.
본격적으로 철권 5부터 생겼기에 가정용 철권 5에서는 아케이드 모드(PS2 철권 5 당시 모드명)를 위시한 고스트 배틀로 바뀌었고, 철권 5 DR 부터는 아케이드 모드가 아닌 "고스트 배틀" 이라는 정식명칭으로 바뀌었다. PSP의 철권 DR의 경우는 버추어 파이터 4 에볼루션을 의식한 듯한 모드인 "철권 도장" 이라는 모드가 생겼는데 각개 리그전이나 대회에 참가하는 식으로 현장감을 높혔다. 가정용 철권 6(PSP 버전 제외)의 경우는 1단 이상은 무조건 온라인 배틀에서 계급을 올려야하며, 이후엔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 가정용 철권 7는 고스트 배틀이 사라졌지만 그 대신에 트레저 배틀에서 고스트 캐릭터가 나오는 식으로 이원화되었다.
여담으로 이 AI 시스템이 근소하게 다른데, 철권 5 DR까지는 높은 계급일 수록 제법 강한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 철권 6 부터의 고스트는 아케이드 모드에서 나오는 고스트와 달리 고스트 배틀에서의 인공지능이 약해 가드율이 낮은 점이 눈에 띄어 허점이 많아 문자단이라는 값이 무색하게 아주 간단하게 파해된다[3].
[1] 이 덕분에 간혹 실제로 온라인 배틀이 지원되는 BEMANI 시리즈 게임과 헷갈리기 쉬우나, 엄밀히 따지면 DJMAX TECHNIKA 2의 크루레이스와 비슷한시스템이다.[2] 철권의 고스트는 네임드의 고스트라 하더라도 그냥 보통 국콤을 잘 구사하는 정도에 잘 해야 해당 플레이어의 특징적인 패턴 등을 베끼는 정도에 그치지만,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의 고스트 플레이는 대련 어드바이스를 통한 '''손버릇이나 상징적인 저스트 기술까지 재현해내는 경지'''이다. 잡기를 잘푸는 정도와 판정 싸움 등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고스트의 계급과 관련해서 인공지능이 미묘하게 강하게 조정한지라 고스트를 재패하는 모드를 할때 일본 유명 고수들의 고스트 플레이어 난이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두쪽 다 어디까지나 CPU인 이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허점 역시 존재한다. . [3] 아케이드 모드의 고스트는 단계별로 가드가 강해지지만, 고스트 배틀의 고스트는 단계설정이 없는 이유로 인공지능이 약하게 조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