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소어
[image]
[image]
1. 개요
가까운 관계, 먼 관계에 따라 다른 문장, 어휘,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체계와 문화 등 존비어 문화가 대부분인 한국어, 존비어 문화와 친소어 문화가 섞여 있는 일본어[1] , 기타 자바어 등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언어는 친소어 체계로 의사소통 체계가 정해져 있다.
일반적인 언어가 친소어 체계로 이뤄지거나 기존의 존비어 체계와 문화를 가졌던 언어들이 대거 친소어 체계와 문화로 변화되는 이유는 존비어 문화 및 그 체계가 비대칭적인 의사소통으로 인하여 상하관계 발생 및 의사소통 저하 및 단절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친소어 문화 및 그 체계는 상하관계가 관계없이 '나와 이 사람이 나와 가까운 관계인가?', '나와 먼 관계인가?'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대칭적인 의사소통이 일반적이게 되고, 수평적인 의사소통 체계로 인해서 의사소통 저하 및 단절 등의 문제들을 거의 겪지 않기 때문이다.
많은 한국어 화자는 외국의 문화를 직접적으로 경험해 본 적이 없고 지금까지의 보수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에 길들어졌기 때문에 친소어 문화에 익숙하지 않고, 이에 대한 개념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로 인해 생겨난 오해가 "영어에도 존댓말, 반말이 있다"라는 말이다. 하지만 영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들은 상술하였듯이 친소어 문화이다. 이를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성경인데, '''야훼를 thou라고 부른다!''' 이는 신만큼 인간에게 가까이 있는 존재는 없다는 사고에 기반한 것이다.
유럽의 tu-vous, du-Sie[2] , [3] you 등의 2인칭 체계에서도 과거에는 존칭, 비칭으로서의 사용법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완전히 사라졌다.
한국어는 아예 한국어의 존비어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그로 인한 의사소통 및 갑을 관계로 풀이되는 상하관계와 관련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어서 가까운 미래에는 친소어 체계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