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어/문법

 


1. 개요
2. 모음조화 및 자음조화
3. 명사
3.1. 복수형
3.2. 격과 격조사
3.3. 대명사
3.3.1. 인칭대명사
3.3.2. 그 외의 대명사
3.4. 수사
4. 동사
4.1. 명령형
4.2. 연결형
4.3. 시제
4.4. 부정형
4.5. 태
4.6. 보조동사
4.7. 기타 활용


1. 개요


본 문서는 카자흐어 문법을 다루는 문서다.
카자흐어는 한국어와 비슷하게 문법적으로 교착어에 속하고, SOV 어순이 나타나며, 모음조화가 존재한다. 다만 한국어에 없는 인칭접사 등의 특징 또한 나타나고 있다.

2. 모음조화 및 자음조화


다른 튀르크어족의 언어들처럼 카자흐어에서도 모음조화가 나타난다.
후설모음
а /ɑ/
ы /ə/
о /u̯ʊ/
ұ /ʊ/
전설모음
е /i̯ɘ/, ''ә'' /æ/
і /ɘ/
ө /y̯ʉ/
ү /ʉ/
  • 전설모음은 전설모음끼리 어울리고, 후설모음은 후설모음끼리 어울린다. 그리고 각 모음마다 서로 대조되는 모음이 있다. 대부분의 단어 자체, 그리고 동사 변화나 격변화 등에서 모음조화가 적용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 -da(да) -에서: Qazaqstanda(Қазақстанда) 카자흐스탄에서 vs Qazaq elinde(Қазақ елінде) 카자흐의 나라에서
  • 카자흐어에는 유무성음 대립 또한 존재하며, 이에 따른 자음 간의 동화 현상 역시 나타난다.
예) -da(да) -에서: Baıqońyrda(Байқоңырда) 바이코누르에서 vs Balqashta(Балқашта) 발하슈에서
  • 구개수음 ǵ /ʁ/, q /q/는 후설모음과, 연구개음 g /ɡ/, k /k/는 전설모음과 어울리려는 경향이 있다.
예) -ǵa(ға) -에게: balaa(балаға) 어린이에게 vs eresekke(ересекке) 어른에게

3. 명사


카자흐어 명사는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3.1. 복수형


  • 명사의 복수형은 명사 뒤에 -лар를 붙여서 나타낸다. 다만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일 경우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아 -лар 대신 -лер를 쓴다.
산 тау → 산들 таулар, 동굴 үңгір → 동굴들 үңгірлер.
  • з, ж, л, м, н, ң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 л 대신 д를 쓰며, б, в, г, д나 무성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에는 т를 쓴다.
언어 тіл → 언어들 тілдер, 책 кітап → 책들 кітаптар

3.2. 격과 격조사


카자흐어에는 7개의 격이 있다. 격표지는 모음조화, 자음조화를 통해서 형태가 변화한다.
  • 주격(Атау септік): -Ø
주어를 표시한다. 카자흐어에서는 주격조사는 영 형태(ø)이다. 예를 들어, "그는 학생이다." 라는 문장을 카자흐어로 번역하면 "Ол оқушы"가 된다. (Ол : 3인칭대명사, Оқушы : 학생) 이렇듯 주격조사가 영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두 개의 명사를 나열해도 문장이 성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쓸 경우 Ол을 관형어로 보아 "Ол оқушы"가 "그의 학생"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부호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Ол — оқушы."
  • 속격, 소유격(Ілік септік): -НЫң
대강 한국어의 '~의'와 비슷하다. 형태는 -ның로, 앞에 (비음이 아닌) 유성 자음이 오면 -дың, 무성 자음이 오면 -тың을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ң, -дің, -тің처럼 쓴다.
  • 처격(Жатыс септік): -ДА
한국어의 '~에서'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로,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 무성음이면 д 대신 т를 쓰고,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а 대신 е를 써서 -та, -де, -те처럼 쓰는 경우도 있다.
  • 탈격(Шығыс септік): -ДАН
한국어의 '~로부터' 정도에 해당한다. 형태는 -дан으로, 여격과 비슷하게 -тан, -ден, -тен 등으로도 쓴다. 다만 탈격의 경우 비음 뒤에서는 비음의 영향을 받아 -нан, -н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 여격, 방향격(Барыс септік): -ГА
한국어의 '~에게', '~에'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ға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ге를 쓰고, 무성음 뒤에 오면 -қа, -ке로 무성음화된다. 1인칭 소유접미사 -ым이나 3인칭 소유접미사 -ы(н) 뒤에 오면 -ым-а, -ы(н)-а처럼 앞의 모음이 탈락된다.
  • 대격, 목적격(Табыс септік): -НЫ
한국어의 '~를' 정도에 해당된다. 형태는 -ны로, 앞에 반모음이나 유성 자음이 오면 -ды, 무성 자음이 오면 -ты를 쓰며, 앞에 오는 모음이 전설모음이면 ы 대신 і를 써서 -ні, -ді, -ті처럼 쓴다. 3인칭 소유접미사와 결합하면 -ын 형태가 된다.
  • 조격, 도구격, 구격(Көмектес септік): -Мен
한국어의 '~로', '~와', 혹은 영어의 'with'과 비슷한 의미이다. 형태는 -мен으로, 특이하게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앞에 무성자음이 오면 -пен으로 형태가 바뀌며, з 뒤에서는 -бен으로 형태가 바뀐다.
각 격변화를 간략하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адам 사람
тіл 언어
шелек 바구니
ағаш 나무
주격
-
адам
тіл
шелек
ағаш
속격
-ның
адам'''ның'''
тіл'''дің'''
шелек'''тің'''
ағаш'''тың'''
처격
-да
адам'''да'''
тіл'''де'''
шелек'''те'''
ағаш'''та'''
탈격
-дан
адам'''нан'''
тіл'''ден'''
шелек'''тен'''
ағаш'''тан'''
여격
-ға
адам'''ға'''
тіл'''ге'''
шелек'''ке'''
ағаш'''қа'''
대격
-ны
адам'''ды'''
тіл'''ді'''
шелек'''ті'''
ағаш'''ты'''
조격
-мен
адам'''мен'''
тіл'''мен'''
шелек'''пен'''
ағаш'''пен'''

3.3. 대명사



3.3.1. 인칭대명사


카자흐어의 인칭대명사는 мен, сен, сіз, ол, біз, сендер, сіздер, олар의 8가지가 있다. 이들 인칭대명사는 아래 표와 같이 격변화한다.
인칭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мен
менің
менде
менен
маған
мені
менімен

сен
сенің
сенде
сенен
саған
сені
сенімен
당신
сіз
сіздің
сізде
сізден
сізге
сізді
сізбен

ол
оның
онда
онан(одан)
оған
оны
онымен
우리
біз
біздің
бізде
бізден
бізге
бізді
бізбен
너희
сендер
сендердің
сендерде
сендерден
сендерге
сендерді
сендермен
당신들
сіздер
сіздердің
сіздерде
сіздерден
сіздерге
сіздерді
сіздермен
그들
олар
олардың
оларда
олардан
оларға
оларды
олармен
  • 소유접미사
인칭대명사는 각각의 소유접미사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명사 뒤에 붙여서 ~의 것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 әнім 내 노래, қаламыз 우리의 도시) 소유접미사 역시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아서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ы 대신 і를 써서 나타낸다.
소유접미사
қала 도시
адам 사람
шелек 바구니
나의 мен
-(ы)м
қала'''м'''
адам'''ым'''
шелег'''ім'''
너의 сен
-(ы)ң
қала'''ң'''
адам'''ың'''
шелег'''ің'''
당신의 сіз
-(ы)ңыз
қала'''ңыз'''
адам'''ыңыз'''
шелег'''іңіз'''
그의 ол
-(с)ы
қала'''сы'''
адам'''ы'''
шелег'''і'''
우리의 біз
-(ы)мыз
қала'''мыз'''
адам'''ымыз'''
шелег'''іміз'''
너희의 сендер
-(ы)ңдар
қала'''ңдар'''
адам'''ыңдар'''
шелег'''іңдер'''
당신들의 сіздер
-(ы)ңыздар
қала'''ңыздар'''
адам'''ыңыздар'''
шелег'''іңіздер'''
그들의 олар
-(с)ылар
қала'''сылар'''
адам'''ылар'''
шелег'''ілер'''
1인칭 소유접미사 -(ы)м 뒤에 여격 -ға가 오면 ғ 발음이 탈락한다. 예를 들어 '나의 아버지'에게는 әкемге가 아니라 әкеме로 쓴다. 3인칭 소유대명사 -(с)ы의 경우, 처격을 쓸 때 -да가 아니라 -нда처럼 쓴다. 가령 қазақ елі (카자흐의 나라)의 처격 형태는 қазақ еліде가 아닌 қазақ елінде가 된다. 여격의 경우에도 -ға 대신 -на를 써서 досына(그의 친구에게)와 같이 쓴다.
참고로 'A의 B'라는 말을 나타낼 때, 속격을 쓰는 대신 'A B+소유접미사'의 형태로 쓸 수도 있다. (예: көл суы 호수의 물, қазақ тілі 카자흐의 언어)
  • 인칭어미
대명사에는 계사 형태 역시 존재하며, 명사 등의 뒤에 붙어서 '~는 ~이다'의 뜻을 나타낸다. 가령 жақсы бала(착한 아이)에 -мын를 붙여서 "жақсы баламын."이라고 쓰면 "나는 착한 아이다."라는 말이 되는 식이다. 여기서 -мын, -мыз는 앞의 단어가 무성자음으로 끝나면 -пын/-пыз, 그리고 з 같은 자음으로 끝나면 -бын/-быз의 형태로 바뀐다. (예: балықпын 나는 물고기다, қызбын 나는 소녀다.)
인칭어미
бала 아이
суретші 화가
қазақ 카자흐인
나는 ~이다 мен
-мын
бала'''мын'''
суретші'''мін'''
қазақ'''пын'''
너는 ~이다 сен
-сың
бала'''сың'''
суретші'''сің'''
қазақ'''сың'''
당신은 ~이다 сіз
-сыз
бала'''сыз'''
суретші'''сіз'''
қазақ'''сыз'''
그는 ~이다 ол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우리는 ~이다 біз
-мыз
бала'''мыз'''
суретші'''міз'''
қазақ'''пыз'''
너희는 ~이다 сендер
-сыңдар
бала'''сыңдар'''
суретші'''сіңдер'''
қазақ'''сыңдар'''
당신들은 ~이다 сіздер
-сыздар
бала'''сыздар'''
суретші'''сіздер'''
қазақ'''сыздар'''
그들은 ~이다 олар
-
бала
суретші
қазақ
3인칭은 인칭어미 형태가 없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다'는 'мен қазақпын'이라고 쓰지만, '그는 카자흐인이다'는 그냥 'ол қазақ'이라고만 쓴다. 앞서 말한 대로 이럴 경우에 연결 부호 —를 사용해서 'ол — қазақ'이라고 쓰기도 한다.
'~는 ~가 아니다'를 쓰려면 부사 емес + 인칭어미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가령 '나는 카자흐인이 아니다'는 'мен қазақ емеспін'이 된다.

3.3.2. 그 외의 대명사


  • 지시대명사에는 근칭 бұл, мына(у) 등과 원칭 ана(у), сол 등이 있다.
지시대명사
주격
속격
처격
탈격
여격
대격
조격
이것
бұл
бұның
бұнда
бұдан
бұған
бұны
бұнымен
мына(у)
мынаның
мынада
мынадан
мынаған
мынаны
мынамен
바로 이것
осы
осының
осында
осыдан
осыған
осыны
осымен
저것
ана(у)
ананың
анада
анадан
анаған
ананы
анамен
바로 저것
сол
соның
сонда
содан
соған
соны
сонымен
  • 카자흐어 재귀대명사는 өз (스스로) + 소유접미사 형태로 나타낸다.
나 스스로
너 스스로
당신 스스로
그 스스로
өз'''ім'''
өз'''ің'''
өз'''іңіз'''
өз'''і'''
우리 스스로
너희 스스로
당신들 스스로
그들 스스로
өз'''іміз'''
өз'''дерің'''
өз'''деріңіз'''
өз'''дері'''
  • 정(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бәрі ~ 중 모두, барлық 모두
  • 부정(否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ешкім 아무도 아닌 사람, ештеңе/ешнәрсе/дәнеме 아무것도 아닌 것, ешқандай 아무것도 아닌, ешқашан ~한 적 없는
  • 부정(不定)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біреу 누군가, бірдеме 어떤 것, бірнеше 어느 정도의
  • 의문사에는 다음과 같은 말들이 있다.
қашан 언제, қайда 어디서, кім 누가, қай 어떤 종류의, не 무엇을, нешінші 어느 것을, қалай 어떻게, қанша/неше 얼마나, неге 왜

3.4. 수사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бір
6
алты
2
екі
7
жеті
3
үш
8
сегіз
4
төрт
9
тоғыз
5
бес
10
он
20에서 90까지를 나타내는 숫자는 다음과 같다.
20
жиырма
60
алпыс
30
отыз
70
жетпыс
40
қырық
80
сексен
50
елу
90
тоқсан
100 이상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00
жүз
10^9
миллиард
1,000
мың
10^12
триллион
1,000,000
миллион
10^15
квадриллион
두 자리 숫자는 그냥 이들 뒤에 숫자를 붙여서 11 → он бір, 42 → қырық екі와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면 된다. 100 이상의 숫자 역시 두 자리 숫자처럼 1995 → мың тоғыз жүз тоқсан бес처럼 단순히 나열해서 쓴다.
서수의 경우 뒤에 -(ы)ншы/-(і)нші를 붙여서 나타낸다. 가령 '첫 번째'는 бірінші, '두 번째'는 екінші, '열 번째'는 оныншы처럼 나타내는 식. 다만 '스무 번째'는 жиырмасыншы로 쓴다.

4. 동사


사전에 수록되는 동사의 원형은 -у로 끝나며, 일종의 동명사와 비슷하다.
우리말의 "-하다"와 비슷한 어미로, 카자흐어의 경우 다른 품사에 -ЛАу를 붙여서 동사로 만들 수 있다. ой (생각) → ойлау (생각하다), бас (머리) → бастау (시작하다) 등이 그 예.

4.1. 명령형


  • 동사가 어미 없이 어간만 쓰이면 곧 명령형이 된다. (예: бару 가다 → бар! 가!) 만약 여러 사람에게 하는 명령문일 경우 -ыңдар/-іңдер를 붙여서 쓴다.
бару 가다 → бар 가!, барыңдар 가! (여러 사람에게)
  • 존대의 표현은 동사원형 뒤에 -(ы)ңыз/-(і)ніз를 붙이며, 여러 사람에게 하는 말일 경우 дар/дер를 붙인다.
бар 가! → барыңыз 가십시오, барыңыздар 가십시오 (여러 사람에게)
  • 뒤에 -шы/-ші가 명령문에 붙을 수 있는데, 이는 영어의 'please'와 비슷한 뜻이다.
бар 가! → баршы 가 줘, барыңызшы 가 주십시오
  • 마지막으로 명령형에 붙는 인칭어미 -айын/-ейін(1인칭 단수), -айық/-ейік(1인칭 복수), -сын/-сін(3인칭)이 존재한다. 영어의 'let me', 'let us', 'let it/her/him'과 유사.
бар 가! → барайын 날 가게 해, барайық 가자, барсын (그를) 가게 해

4.2. 연결형


카자흐어엔 시제에 따라 3가지 분사가 존재한다.
  • -ған : 과거분사. 자음조화나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ген, -қан, -кен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барған 간, келген 온, айтқан 말한, істе_ген__ 한
  • -(а)р : 미래분사 :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ер가 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р-로 나타난다.
барар 갈, келер 올, айтар 말할, істер
  • -а/е/й-тын : 과도분사.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모음조화에 따라 -атын 혹은 -етін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йтын/-йтін로 나타난다.
баратын 가는, келетін 오는, айтатын 말하는, істейтін 하는
동사를 다른 동사와 연결할 때는 부동사 형태를 쓰는데, 역시 시제에 따라 3가지씩 존재한다.
  • -(ы)п 과거 부동사.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іп가 되며,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п-로 나타난다.
барып 가고, келіп 오고, айтып 말하고, істеп 하고
  • -а/е/й : 현재-미래 부동사.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모음조화에 따라 -а 혹은 -е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й로 나타난다.
бара 가고, келе 오고, айта 말하고, істей 하고
  • -ғалы : 미래-의도 부동사. 자음조화나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гелі, -қалы, -келі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барғалы 가러, келгелі 오러, айтқалы 말하러, істегелі 하러

4.3. 시제


카자흐어에는 여러 가지 시제가 존재한다.
  • 대과거시제 (Бүрынғы өткен шақ)
먼 과거를 나타낸 시제로, 과거의 사건이 현재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는 과거분사(-ған)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대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ған-мын
бар'''ғанмын'''
кел'''генмін'''
айт'''қанмын'''
істе'''генмін'''
сен
-ған-сың
бар'''ғансың'''
кел'''генсің'''
айт'''қансың'''
істе'''генсің'''
сіз
-ған-сыз
бар'''ғансыз'''
кел'''генсіз'''
айт'''қансыз'''
істе'''генсіз'''
ол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біз
-ған-мыз
бар'''ғанбыз'''
кел'''генбіз'''
айт'''қанбыз'''
істе'''генбіз'''
сендер
-ған-сыңдар
бар'''ғансыңдар'''
кел'''генсіңдар'''
айт'''қансыңдар'''
істе'''генсіңдар'''
сіздер
-ған-сыздар
бар'''ғансыздар'''
кел'''генсіздар'''
айт'''қансыздар'''
істе'''генсіздар'''
олар
-ған
бар'''ған'''
кел'''ген'''
айт'''қан'''
істе'''ген'''
  • 과거-과도시제 (Ауыспалы өткен шақ)
과거에 ~하곤 했다 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는 과도분사(-а-тын) + 인칭어미 형태를 띄고 있다.
과거-변화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тын-мын
бар'''атынмын'''
кел'''етінмін'''
айт'''атынмын'''
істе'''йтінмін'''
сен
-а-тын-сың
бар'''атынсың'''
кел'''етінсің'''
айт'''атынсың'''
істе'''йтінсің'''
сіз
-а-тын-сыз
бар'''атынсыз'''
кел'''етінсіз'''
айт'''атынсыз'''
істе'''йтінсіз'''
ол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біз
-а-тын-мыз
бар'''атынбыз'''
кел'''етінбіз'''
айт'''атынбыз'''
істе'''йтінбіз'''
сендер
-а-тын-сыңдар
бар'''атынсыңдар'''
кел'''етінсіңдер'''
айт'''атынсыңдар'''
істе'''йтінсіңдер'''
сіздер
-а-тын-сыздар
бар'''атынсыздар'''
кел'''етінсіздер'''
айт'''атынсыздар'''
істе'''йтінсіздер'''
олар
-а-тын
бар'''атын'''
кел'''етін'''
айт'''атын'''
істе'''йтін'''
  • 과거시제 (Жедел өткен шақ)
과거시제의 경우 -ды + 과거형 인칭어미 형태가 사용되며, 역시 모음조화와 자음조화의 영향을 받아 전설모음 뒤에서는 ы 대신 і가, 무성음 뒤에서는 д 대신 т가 온다. 1인칭 복수 형태의 경우 전설모음 뒤에서는 қ가 아니라 к가 온다.
과거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ды-м
бар'''дым'''
кел'''дім'''
айт'''тым'''
істе'''дім'''
сен
-ды-ң
бар'''дың'''
кел'''дің'''
айт'''тың'''
істе'''дің'''
сіз
-ды-ңыз
бар'''дыңыз'''
кел'''діңіз'''
айт'''тыңыз'''
істе'''діңіз'''
ол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біз
-ды-қ
бар'''дық'''
кел'''дік'''
айт'''тық'''
істе'''дік'''
сендер
-ды-ңдар
бар'''дыңдар'''
кел'''діңдар'''
айт'''тыңдар'''
істе'''діңдар'''
сіздер
-ды-ңыздар
бар'''дыңыздар'''
кел'''діңіздар'''
айт'''тыңыздар'''
істе'''діңіздар'''
олар
-ды
бар'''ды'''
кел'''ді'''
айт'''ты'''
істе'''ді'''
  • 현재진행시제 (Нақ осы шақ)
현재 진행시제의 경우, 과거 부동사(-ып) + [жатыр, жүр, отыр, түр 중 하나]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다만 жару, келу는 과거 부동사 형태가 아닌 현재-미래 부동사 형태를 쓴다. 예) істеп жатырмын 나는 하고 있다. бара жатырсың 너는 가고 있다.
  • 현재-미래시제 (Осы-келер шақ)
현재-미래시제는 а/е(자음 뒤), й(모음 뒤) + 인칭어미의 형태를 띄며, 3인칭의 경우 -ды가 붙는다. 말 그대로 현재 일어나는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일을 의미한다.
현재-미래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мын
бар'''амын'''
кел'''емін'''
айт'''амын'''
істе'''ймін'''
сен
-а-сың
бар'''асың'''
кел'''есің'''
айт'''асың'''
істе'''йсің'''
сіз
-а-сыз
бар'''асыз'''
кел'''есіз'''
айт'''асыз'''
істе'''йсіз'''
ол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біз
-а-мыз
бар'''амыз'''
кел'''еміз'''
айт'''амыз'''
істе'''йміз'''
сендер
-а-сыңдар
бар'''асыңдар'''
кел'''есіңдер'''
айт'''асыңдар'''
істе'''йсіңдер'''
сіздер
-а-сыздар
бар'''асыздар'''
кел'''есіздер'''
айт'''асыздар'''
істе'''йсіздер'''
олар
-а-ды
бар'''ады'''
кел'''еді'''
айт'''ады'''
істе'''йді'''
  • 미래-의도시제 (Мақсатты келер шақ)
미래-의도시제는 '~를 할 것이다', '~할 생각이다'처럼 미래에 무엇을 할 것이라는 의도를 나타낸다. 형태는 -мақ + (шы) + 인칭어미의 형태를 사용하며, 이 역시 앞에 오는 자음이나 모음에 따라서 -мек, -бақ, -бек, -пақ, -пек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қшы-мын
бар'''мақшымын'''
кел'''мекшімін'''
айт'''пақшымын'''
істе'''мекшімін'''
сен
-мақшы-сың
бар'''мақшысың'''
кел'''мекшісің'''
айт'''пақшысың'''
істе'''мекшісің'''
сіз
-мақшы-сыз
бар'''мақшысыз'''
кел'''мекшісіз'''
айт'''пақшысыз'''
істе'''мекшісіз'''
ол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біз
-мақшы-мыз
бар'''мақшымыз'''
кел'''мекшіміз'''
айт'''пақшымыз'''
істе'''мекшіміз'''
сендер
-мақшы-сыңдар
бар'''мақшысыңдар'''
кел'''мекшісіңдар'''
айт'''пақшысыңдар'''
істе'''мекшісіңдар'''
сіздер
-мақшы-сыздар
бар'''мақшысыздар'''
кел'''мекшісіздар'''
айт'''пақшысыздар'''
істе'''мекшісіздар'''
олар
-мақшы
бар'''мақшы'''
кел'''мекші'''
айт'''пақшы'''
істе'''мекші'''
중간에 -шы-가 없는 형태는 화자가 행동을 반드시 할 것이라고 생각할 때 쓰인다.
미래-의도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қ-мын
бар'''мақпын'''
кел'''мекпін'''
айт'''пақпын'''
істе'''мекпін'''
сен
-мақ-сың
бар'''мақсың'''
кел'''мексің'''
айт'''пақсың'''
істе'''мексің'''
сіз
-мақ-сыз
бар'''мақсыз'''
кел'''мексіз'''
айт'''пақсыз'''
істе'''мексіз'''
ол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біз
-мақ-мыз
бар'''мақпыз'''
кел'''мекпіз'''
айт'''пақпыз'''
істе'''мекпіз'''
сендер
-мақ-сыңдар
бар'''мақсыңдар'''
кел'''мексіңдер'''
айт'''пақсыңдар'''
істе'''мексіңдер'''
сіздер
-мақ-сыздар
бар'''мақсыздар'''
кел'''мексіздер'''
айт'''пақсыздар'''
істе'''мексіздер'''
олар
-мақ
бар'''мақ'''
кел'''мек'''
айт'''пақ'''
істе'''мек'''
  • 미래-추정시제 (Болжалды келер шақ)
미래-추정시제는 '~할 수도 있다'처럼 미래를 불확실하게 추측하는 시제이다. 형태는 미래분사(-ар) + 인칭어미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ар-мын
бар'''армын'''
кел'''ермін'''
айт'''армын'''
істе'''рмін'''
сен
-ар-сың
бар'''арсың'''
кел'''ерсің'''
айт'''арсың'''
істе'''рсің'''
сіз
-ар-сыз
бар'''арсыз'''
кел'''ерсіз'''
айт'''арсыз'''
істе'''рсіз'''
ол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біз
-ар-мыз
бар'''армыз'''
кел'''ерміз'''
айт'''армыз'''
істе'''рміз'''
сендер
-ар-сыңдар
бар'''арсыңдар'''
кел'''ерсіңдер'''
айт'''арсыңдар'''
істе'''рсіңдер'''
сіздер
-ар-сыздар
бар'''арсыздар'''
кел'''ерсіздер'''
айт'''арсыздар'''
істе'''рсіздер'''
олар
-ар
бар'''ар'''
кел'''ер'''
айт'''ар'''
істе'''р'''
이 시제의 부정형은 -ма-с 형태를 사용한다.
미래-추정시제 (부정)
бару 가다
келу 오다
айту 말하다
істеу 하다
мен
-ма-с-мын
бар'''маспын'''
кел'''меспін'''
айт'''паспын'''
істе'''меспін'''
сен
-ма-с-сың
бар'''массың'''
кел'''мессің'''
айт'''пассың'''
істе'''мессің'''
сіз
-ма-с-сыз
бар'''массыз'''
кел'''мессіз'''
айт'''пассыз'''
істе'''мессіз'''
ол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біз
-ма-с-мыз
бар'''маспыз'''
кел'''меспіз'''
айт'''паспыз'''
істе'''меспіз'''
сендер
-ма-с-сыңдар
бар'''массыңдар'''
кел'''мессіңдар'''
айт'''пассыңдар'''
істе'''мессіңдар'''
сіздер
-ма-с-сыздар
бар'''массыздар'''
кел'''мессіздар'''
айт'''пассыздар'''
істе'''мессіздар'''
олар
-ма-с
бар'''мас'''
кел'''мес'''
айт'''пас'''
істе'''мес'''

4.4. 부정형


  • 동사를 부정할 때에는 -ма를 붙인다. 만약 з, ж나 비음(м,н,ң)이 앞에 보면 -ба, 무성자음이 앞에 오면 -па로 형태가 바뀌고, 앞에 전설모음이 오면 모음조화의 영향으로 -ме, -бе, -пе로 형태가 바뀐다.
бар 가! → барма! 가지 마!, жүз 헤엄쳐! → жүзбе! 헤엄치지 마!
барғанмын. 나는 갔었다. → бармағанмын. 나는 가지 않았었다. (대과거시제)
бардым. 나는 갔다. → бармадым. 나는 가지 않았다. (과거시제)
барамын. 나는 간다. → бармаймын. 나는 가지 않는다. (현재-미래시제)
  • 대과거시제에서는 -ған емес+인칭어미, -ған жоқ+인칭어미를 써서 동사를 부정할 수도 있다.
бармағанмын. = барған емеспін. = барған жоқпын.
  • 미래-의도시제의 부정은 -мақ емес+인칭어미의 형태를 쓴다.
бармақпын. 나는 갈 것이다. → бармақ емеспін. 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
бармақшымын. 나는 갈 것이다. → бармақшы емеспін. 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
  • 미래-추정시제의 경우에도 -мас의 형태가 사용된다.
барармын. 난 갈 수도 있다. → бармаспын. 난 가지 않을 수도 있다.

4.5. 태


카자흐어 동사에는 5개의 태(態, етіс)가 있다.
  • 능동태 (Негізгі етіс) : 기본적인 형태. 주어가 동작의 주체가 된다.
  • 수동태 (Ырықсыз етіс) :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된다. -(ы)л-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беру 주다 → Ақша берілді. 돈이 주어졌다.
  • 재귀태 (Өздік етіс) : 스스로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ы)н-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жуу 씻기다 → Мен жуындым. 나는 스스로를 씻겼다. (=나는 씻었다.)
  • 중간태 (Ортақ етіс) : 서로에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ы)с-의 형태를 써서 나타낸다.
сөйлеу 말하다 → Біз сөйлестік. 우리는 대화했다. (=우리는 서로에게 말했다.)
  • 사동태 (Өзгелік етіс) : ~를 ~하게 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дыр, -т, -ғыз, -ар 등의 접사를 붙여서 나타낸다.
білу 알다 → Оған білдірді. 그에게 알게 했다.
отыру 앉다 → Түрмеге отырғызды. 감옥에 가두었다. (=감옥에 앉혔다.)

4.6. 보조동사


동사가 다른 동사와 결합하여 다른 의미를 띄게 되는 경우가 많다.
алу (잡다) →
  • -ып + алу를 쓰면 "스스로를 위해 ~한다"는 의미가 된다.
  • -а/е/й + алу를 쓰면 "~할 수 있다"라는 의미가 있다.
бару 가다 → Мен бара аламын. 나는 갈 수 있다.
жеу 먹다 → Сен жей алмайсың. 넌 먹을 수 없다.
беру (주다) →
  • -а/е/й беру를 쓰면 "계속해서 ..하다"라는 의미가 된다.
сөйлей 말하다 → Сөйлей бер. 계속 말해.

4.7. 기타 활용


  • "~해야 한다"는 동사원형 + 소유접사 + керек으로 나타난다.
бару 가다 → Мен баруым керек. 난 가야 한다.
айту 말하다 → Сен айтпауың керек. 넌 말하지 않아야 한다.
  • "~하고 싶다"는 동사어간 + ғы/гі/қы/кі + 소유접사 + келу (3인칭) 로 나타낸다.
көру 보다 → Сені көргім келеді. 난 널 보고 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