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케이드

 


언어별 명칭
영어
cockade
한국어
코케이드
일본어
円形章
1. 개요
2. 기원
3. 혁명의 시대
4. 미국독립혁명
5. 프랑스 대혁명
6. 라운델에서의 활용
7. 각 국가별 코케이드 목록

[clearfix]

1. 개요


[image]
모자에 장식하는 표지[1]의 일종. 주로 몇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진 리본을 매듭지은 형태로 원형 내지 타원형을 띤다. 모자의 측면[2]이나 샤코형 군모의 경우는 정면 상단에 장식한다.
코케이드는 색상과 형태로 착용자의 계급, 소속 정당 또는 국적을 나타내는 표지로써 18-19세기에 널리 사용되었고 군사 제복에서도 자주 활용되었다.
[image]
[image]
나치독일 경찰의 타원형 코케이드[3]
동독의 금속제 코케이드[4]
대체로 국기의 배색을 바탕으로 만들지만 철십자나 별 또는 국장 같은 여타 문양이 들어가는 경우도 많다. 형태적으로 다양하여 리본을 매듭만 대충 지어놓은 형태에서부터 원형으로 말아 놓거나 장식적인 요소를 강조하여 장미나 꽃과 비슷한 형태로 만든 것 가지 다양하다. 소재에 있어서도 천으로된 리본 외에도 금속재질의 뱃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대체로 모자 장식으로 사용되지만, 옷깃(lapels), 어깨, 가슴, 팔, 소매 등에 부착하기도 하고 그냥 머리핀 처럼 달기도 한다.

2. 기원


코케이드 자체는 리본의 매듭형태 간단한 장식이기 때문에 꽤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 18세기 절대왕정기에 들어서면서 특히 군사제복의 성격을 띄는 모자 장식으로 유럽 각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image]
부르봉 왕가의 백색 코케이드[5]
초기의 코케이드는 주로 왕가의 상징색을 사용했다. 혁명 이전의 앙시앙 레짐 하의 프랑스에서는 부르봉 왕가의 상징색인 백색의 코케이드가 사용되었다. 영국의 자코바이트의 경우도 백색 코케이드를 사용했고, 하노버 왕가 이후에는 흑색 코케이드를 사용했다.
[image]
[image]
자코바이트의 백색 코케이드[6]
하노버 왕가의 흑색 코케이드[7]

3. 혁명의 시대


18세기 말부터는 미국 독립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을 시작으로 유럽전역에서 근대국민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났고, 이는 코케이드가 널리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코케이드가 널리 퍼지게 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코케이드는 근현대 유럽의 군사문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현대의 교전 수칙은 이 시기 유럽의 군사문화에서 비롯되어 헤이그협약으로 성문화되었다. 교전 수칙의 기본적인 골자를 간단히 살펴보면 정규군이든 민병이든 의용군이든 간에 무장조직이 교전권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명확한 지휘계통을 갖추고 있을 것'''과 함께 '''소속을 식별 가능한 제복 또는 표식을 갖추고 무기를 공공연히 휴대할 것'''을 요구한다. 조금 비틀어서 말해보자면 전자는 전쟁범죄와 같은 사고가 터졌을 경우 책임소재를 명백히 가릴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고 후자는 '''민간인 코스프레를 하지 말아라''' 즉, 교전권을 인정받으려면 민간인 집단과는 명백히 구분되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소리이다.
물론 적의 침공을 받는 긴급한 상황에서 저항권을 발동한 민병이나 의용군 같은 경우는 제복을 제대로 통일시켜 갖출 여건이 실질적으로 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속을 식별 가능한 표식으로써 완장이나 두건 또는 코케이드 같은 것도 인정이 된다.
당시만 해도 지금처럼 합성 섬유 같은 것도 없고 영국 정도를 제외하면 산업화가 시작되지도 않은 시기인지라 전투원 전원에게 피복을 지급하는 문제는 꽤 까다로운 문제였다. 그런 의미에서 코케이드는 혁명 봉기세력 뿐 아니라 정규 군대에서도 유용한 표식으로 각광받아 널리 사용됐다. 이미 프랑스나 미국에서 본격적인 혁명이 시작되기 전인 영국 런던에서 반 카톨릭 봉기[8]인 고든의 난[9] 당시에는 봉기 참가자들이 푸른색 리본으로 만든 코케이드를 착용하기도 했다.

4. 미국독립혁명


미국 독립혁명 당시 식민지 민병대가 주축이 된 대륙군은 여건상 통일된 제복을 갖추기 어려웠다. 1775년 여름, 대륙군 사령관인 조지 워싱턴은 해결책으로 영관급 장교는 적색 또는 분홍색 코케이드를, 대위는 황색 또는 담황색을 소위 및 중위는 녹색의 코케이드를 모자에 부착할 것을 명령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대륙군은 독립선언문을 결의하기 이전까지 심지어는 1777-8년까지도 영국 국왕인 조지 3세의 신민이다는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인지[10] 워싱턴이 계급별 복장 수칙을 제정하기 전까지는 하노버 왕가의 흑색 코케이드가 널리 사용되었고, 복장 수칙 제정 이후에도 얼마지나지 않아 대부분이 흑색 코케이드를 계속 사용했다.
[image]
[image]
독립 전쟁기 대륙군의 'Alliance cockade'
한편 1778년 프랑스가 미국의 동맹으로 독립전쟁에 개입하고 이듬해인 1779년에는 프랑스 왕국 육군이 미 본토에 상륙했다. 프랑스군의 협력에 대한 우호의 표시로 대륙군은 기존의 흑색 코케이드에 프랑스 부르봉 왕가의 백색 코케이드를 합쳐서 흑백 코케이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대륙군의 흑백 코케이드는 소위 'Alliance cockade'라 불렸고 독립전쟁에 참여한 프랑스 병사들도 흑백 코케이드를 사용하기도 했다. 대륙군의 흑백 코케이드는 독립전쟁이 끝난 이후로도 독립전쟁의 상징으로 남아 민간사회에서도 널리 사용되었고 1세기에 가까운 시간이 지난 남북전쟁 시기에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5. 프랑스 대혁명


[image]
[image]
혁명 초창기에는 녹색 내지는 파리시의 배색인 적-청색 코케이드가 사용되었다. 라파예트 백작이 파리시의 깃발에 백색을 첨가한 삼색기를 제안하면서 삼색기 배색의 코케이드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청-백-적의 코케이드는 프리기아(Phrygien) 모자와 함께 혁명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뒤이은 나폴레옹 시대에서도 청-백-적 코케이드는 계속 사용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에는 원통형의 샤코 모자가 군모로 도입되어 종전의 이각모나 삼각모를 점차적으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코케이드는 대체로 샤코모자의 정면 최상단 부분이 부착됐다. 프랑스 이외에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 다른 국가들 또한 군모에 각국의 국기 배색으로 코케이드를 만들어 부착했다.[11]
나폴레옹 전쟁은 최종적으로 부르봉 왕가의 복위와 빈 체제로 대표되는 구체제의 회복으로 종결되었으나 근대적인 국민국가 건설의 움직임이 유럽 전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에는 폴란드와 헝가리,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피지배 민족 독립군은 국기를 배색으로 코케이드를 사용하기도 했다.[12]
[image]
[image]
작센왕국군[13]의 피켈하우베[14]
힌덴부르크 원수의 정모[15]
19세기 말 이후에는 독일제국이 코케이드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한 바 있다. 독일제국은 카이저를 수장으로 하는 연방제 국가였는데 독일제국군의 군모는 독일제국의 코케이드인 적-백-흑의 코케이드가 군모 최상단에 하단에는 부대별로 소속된 여타 왕국과 공국 등 각 영방국의 코케이드가 부착되었다. 적-백-흑의 코케이드는 이후 나치 독일의 베어마흐트에서도 활용되었다.
[image]
독일제국 구성국의 코케이드

6. 라운델에서의 활용


20세기 초엽인 1903년에는 라이트 형제가 동력 비행기를 발명한 이후 각국 정부와 군은 앞다퉈서 항공대를 창설하기 시작했다. 군용 항공기가 도입됨에 따라 항공기의 소속과 국적을 식별하기 위한 표지가 필요해졌는데 1909년 프랑스가 최초로 삼색 코케이드를 기반으로한 라운델을 도입했다. 이후 상당수 국가들에서 항공기 라운델로 코케이드를 도입했다.

7. 각 국가별 코케이드 목록


색 기재 순서는 중심에서 바깥으로
유럽
  • 아르메니아: 적-청-주황
  • 오스트리아:
    • 흑-금(1918년 이전)
    • 적-백-적(1918년 이후)
  • 벨기에: 흑-황-적
  • 불가리아: 적-녹-백
  • 체코: 청-적-백
  • 폴란드: 백-적
  • 프랑스:
    • 청-백-적(1794-1814 및 1815년, 1830년 이후)
    • 백(1794년 이전, 1814-1815, 1815-1830년)
  • 독일:
    • 황-적-흑 (1848-1871)
    • 흑-적-황 (1918-1932, 1945년 이후)
    • 적-백-흑 (1871-1918, 1932-1945)
  • 그리스:
    • 백-청-백(1822)
    • 청-백(1833)
  • 헝가리: 적-백-녹
  • 이탈리아:녹-백-적(1848년 이후)
  • 네덜란드: 오렌지
  • 러시아:
    • 흑-주황-흑-주황(군용)[타원]
    • 적-청-백(경찰)[타원]
  • 세르비아:백-청-적
  • 스페인:
    • 적-황-적(1843-1844, 1871년 이후)
    • 적색(1843년 이전, 1844-1871)
남미
  • 아르헨티나: 하늘색-백색-하늘색
  • 칠레: 청-백-적/청색 영역 안의 백색 별
[1] 모표, 모자표 내지는 모장이라고도 한다.[2] 이각모, 삼각모 등의 경우[3] 샤코모자에 부착하며 고정용 핀이 달려있다.[4] 코케이드는 국장의 도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배경은 떡갈나무잎으로 둘러져 있다. 문장학에서 이러한 식물은 Compartment라 불린다.[5] 사진은 레미제라블의 자베르 경감,(러셀 크로 분)[6] 스튜어트 왕가의 찰스 에드워드 왕자 초상화[7] 조지 3세의 초상화[8] 1778년 영국의회에서 카톨릭 해방법의 통과로 촉발된 반정부 운동[9] Gordon Riot of 1780[10] 정작 조지 3세가 식민지 문제에 강경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이 있다.[11] 프로이센은 흑-백, 오스트리아 제국은 흑-금 의 코케이드를 사용했다. 러시아 제국의 경우는 성 게오르기의 상징 배색인 오렌지 색 바탕에 2-3개의 흑색 띠를 배색으로한 타원형의 코케이드를 사용했다.[12] 각자 국기의 배색을 활용하여 폴란드는 적-백 을 헝가리는 적-백-녹의 코케이드를 사용했다.[13] 독일제국군 소속[14] 헬멧 측면의 턱끈 죔쇠 부분이 독일제국의 적-백-흑 코케이드로 장식되어 있다. 피켈하우베의 경우 우측면은 독일제국의 코케이드가 좌측면에는 소속 구성국의 코케이드가 부착되어 있다. 해당 사진의 피켈하우베의 경우는 좌측면에는 작센 왕국의 백-녹-백 코케이드가 부착되어 있다.[15] 정면 최상단은 적-백-흑의 독일제국 코케이드가 하단의 코케이드는 힌덴부르크의 소속인 프로이센의 흑-백-흑 코케이드가 부착되어 있다.[타원] A B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