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견/경기 규칙

 


1. 개요
2. 단체별 차이


1. 개요


일단 문헌 상에 나오는 택견의 승패 방법은,
'''발로 상대를 차서 손이 땅을 짚게 하면 승리'''
라는 딱 하나다. 그 외에 참고할 수 있는 문헌은,
'''하수는 다리를 차고 중수는 어깨를 차고 가장 고수는 상투를 찬다.'''
고 박철희 사범의 증언에 의하면 송덕기 옹이 말한 경기 규칙은
1.장으로 타격 가능
2.손이 땅을 짚게 하거나 넘어지면 승리
라는 기록이다. 허나 이 기록은 정확한 택견의 승패방법이라고 나온 것은 아니며 또한 이 말이 나온 백기신통비각술이라는 것이 과연 택견이냐는 것도 의문이다. 현대의 태껸 경기 규칙은 협회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나 크게 공통 분모가 있다.
1. 발로 정확하게 얼굴을 가격하면 승리
2. 무릎 이상의 부위가 땅에 닿게 하면 승리
승리, 패배 조건은 위의 두가지 이며 그 외에
3. 옷을 잡을 수 없다.
4. 손으로 가격할 수 없다.
5. 잡고 늘어질 수 없다.
정도가 있다. 협회의 방침에 따라서 곧은발질의 정의나 밀어차는 부위에 대한 정의가 다르기는 하지만 크게 위와 같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협회마다 조금씩 차이를 두고 있다.

2. 단체별 차이


대한택견회의 경기는 최근에 다시 개정을 거쳐 이제는 정말 넘어뜨리는 것도 발로만 차서 넘어뜨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반격자는 덜미잽이를 쓸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좀 규칙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결련택견협회는 아랫발질을 잡을수가 있기에[1] 그 잡아채는 방식으로 인해 잡고 넘기는 기술이 능한 택견꾼들이 많이 있다.
이렇게 협회마다 규칙들이 다른 것은 현대 택견의 원천이 되는 구한말의 택견판도 큰 규칙은 있으되 자잘한 규칙에 대해서는 세부사항을 두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송덕기 옹의 지도 스타일도 그렇게 세세한 것은 아니었으며 경기 규칙도 오목조목 상세하게 일러주며 이건 되고 저건 안 되고 하며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었으며 또 80년대 당시의 무술풍조와 그 당시 무술인들이 가지고 있던 택견에 대한 생각이 '비각술' 이라 하여 태권도와 흡사한 발길질 위주의 무예라고 생각했던 것도 있다.
만약 레슬러들이 택견에 관심을 가졌다면 택견의 태질이 어떤 방식인지에 대해서 질문했을 수도 있지만 레슬러들은 택견을 배우지 않았고(...) 결국 세부 사항은 제대로 알기 어려워졌다.
다만 신한승 선생은 레슬러 출신이었고 그래서 그가 오장환 교수에게 실기를 보여준 택견 전수교본에는 레슬러들의 투레그 테이크 다운인 '마구잽이' 가 들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신한승 선생이 송덕기 옹이 그렇게 싫어한 크게 돌리는 활개짓을 집어넣은 전적도 포함해 택견에 없는 기술을 신한승 선생이 마음대로 집어넣은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하며 반대로 굉장히 러프했던 택견판을 생각하면 이런 기술이 있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도기현 회장의 경우는 본인의 저서인 우리무예 택견이라는 책에서 송덕기 옹이 분명히 가르친 기술 중 하나였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덩치 작은 선수가 마구잽이를 써서 덩치 큰 선수를 뽑아들어 내팽개치면 엄청나게들 환호했다고 한다.[2]
현대에 들어 택견 협회들이 많은 현대화를 이루어서 택견의 인지도가 과거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올라갔으며[3] 이제는 현대적인 한국의 격투스포츠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룰에 대한 토론과 개정이 한참이다.

[1] 단, 아랫발질은 한손으로만 잡을 수 있다. 윗발질의 경우 양손으로 잡을 수 있다[2] 하지만 어째서인지 결련택견협회 주관의 택견배틀에서는 이 기술을 반칙으로 취급하여 경고를 준다. 그 이유는 하도 이 기술의 승률이 좋다보니깐 선수들이 이것만을 노리게 되었기 때문이다. 계속 마구잽이 들어갈라고 준비하다보니 레슬링 선수 비스무리한 자세가 계속 나오게 되고 다른 기술들을 잘안쓰게 되어서 그냥 금지시켜버렸다. [3] 과거에는 택견대회 한다니까 무슨 개싸움(犬) 하냐고(...)하는 문의가 왔을 정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