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1. 廢止
실시하여 오던 제도나 법규, 일 따위를 그만두거나 없앰. 의회에서 법을 없애는 것도 폐지며,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이 사라지는 것 또한 폐지다. 다만, 방송의 경우에는 드라마 같이 특정한 횟수를 채우고 끝나는 프로그램이 있으므로 종영이나 종방이 적절한 표현이다. 폐지는 본의 아니게 조기종영한 프로그램에 대해 언론에서 널리 쓰는 표현이다.
금융쪽에서는 궁극의 시망인 상장폐지가 있다.
2. 廢紙
용도를 다하여 버려진 종이. 대부분의 종이는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폐지는 재활용 업자들의 주요 수집품이다. 폐지에도 등급이 있어서 우유갑으로 쓰이는 종이가 가장 좋은 종이고 신문종이가 가장 급이 낮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에서는 한꺼번에 모아서 업자에게 팔지만, 일반 주택가에서는 내 놓은 폐지를 개개인이 모아서 업자에게 팔기도 한다. 주로 수익이 없는 빈곤층 노인들이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폐지가 그 노인들이 수집하는 재활용품의 대명사로 쓰여 '폐지 줍는 노인'으로 불린다. 2014년 대한민국에는 이런 폐지를 주워서 생계를 유지하는 노인만 180만 명에 달한다는 통계가 있다.
이렇게 수집된 폐지는 kg당 가격으로 팔리는데, 2014년 현재 그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고 한다. 과거 1kg 당 350원씩 하던 폐지가 120원을 거쳐 70~80원까지 떨어졌다. 그 후 1kg당 180원까지 올랐지만, 6~70원 까지 떨어졌다. 이유는 중국이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금지하였기 때문이다.[1] 재활용품 수집업자에게 주어지던 세금공제 혜택이 사라져서 이들이 내야 하는 세금이 50퍼센트 정도 증가했고 경기 불황으로 수요가 감소한 것도 겹친 상황이다.
이런 폐지도 농수산물과 같이 복잡한 유통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문제점이 상당하다. 즉 폐지가격이 오른다고 수거하는 노인들의 수입이 늘어나는게 아니라 중간단계에서 이득을 취한다는 문제는 예전부터 들려오고 있다.
어쨌든 이런 상황 덕에 대한민국의 종이 재활용률은 무려 92.1퍼센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1위의 실적이다. 또한 종합적인 폐기물 재활용률 역시 84퍼센트로 세계 1위인데, 90년대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쓰레기가 너무 많다는 각계의 성토 이후 이루어진 적극적인 정책과 홍보로 인해 거둔 성과다.
2.1. 비디오 게임 은어
'폐지를 줍는다'는 예문에서 유래하여, 파밍이 중심이 되는 MMORPG는 물론이고 여타 RPG계열 요소가 들어간 게임중 내 화폐나 잡템을 모으기 위한 노가다가 성행하는 게임을 폐지줍는 게임이라고도 표현한다. 돈을 모으기 위해 던전을 돌면서 드랍되는 전리품을 하나하나 모아 팔아치우고... 다음 날에도 또 노가다를 뛰고... 이렇게 무한반복하는 노가다가 폐지를 줍는 행위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가 정착하게 된 듯하다. 패키지 게임에서는 디아블로 시리즈, 패스 오브 엑자일, 데스티니 가디언즈,톰 클랜시의 디비전,앤썸, 타르코프, 폴아웃 4[2] , 폴아웃 76 등이 대표적인 폐지줍는 게임으로 꼽힌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 제라툴/협동전 임무는 유물을 주워서 강해지는 사령관이다. 제라툴이 유물 줍는 행위를 폐지 줍는 행위에 빗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