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Friedrich Wilhelm Joseph von Schelling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폰 쉘링
'''
'''출생'''
1775년 1월 27일
'''사망'''
1854년 8월 20일
'''국적'''
독일 [image]
'''직업'''
철학자
1. 상세

[clearfix]

1. 상세


객관 속에서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객관적 관념론'으로 언급되는 쉘링철학은 피히테의 '자아(Ich)'의 개념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시작한다. 피히테에게 자아는 비아를 넘어서서 절대적 자아로 나아가는 것으로서, 절대적 자아는 비아에 의해 제약되는 유한한 자아의 존재론적 근거이고, 절대적 자아는 동시에 비아의 근거여야한다. 그런데 피히테의 철학엔 절대적 자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아와 비아의 근저에 자리잡고 있는지 언급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셸링은 피히테의 자아와 비아, 주관과 객관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을 인정하지 않았다. 셸링에 따르면 자아와 비아는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비아 속에서 자아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관과 객관은 모두 절대자에 의해서 생겨나는 것인데, 여기서 주관과 객관의 '''동근원성(同根源性)'''이 드러난다. 그러나 셸링의 철학은 결코 주관과 객관이 단순히 같은 것이라 생각했던 것은 아니다.
절대자는 모든 유한자의 근처에 자리잡고 있는데, 따라서 이것은 주관과 객관이라는 이분법적 구별을 넘어서 있다. 셸링은 이것을 '''무차별성(Indifferenz)'''이라 칭하였다. 절대자는 어떤 실체가 아니며, 어떤 다른 사물과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세계는 절대자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고, 무차별자로서의 절대자 자신만 세계에 있다. 즉 주관과 객관, 또는 정신과 자연이 실제로는 동일한 것이고, 세계는 무차별성이 존재의 특성인 절대자의 세계이다. 여기서 절대자는 동일자이다. 그리고 셸링은 예술에 대해서 주관과 객관이 동일한 것임을 표현하는 것이 예술이라고 주장하였다.[1]
셸링철학의 궁극적인 물음은, 어떻게 무차별성, 즉 동일성에서 차별(구별)이 생겨날 수 있는가인데, 그는 차별성에는 질적인 차별성과 양적인 차별성이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 양적인 차별성은 절대자와 구분되는 유한자(이는 정신과 자연으로, 서로 상대방의 요소를 가진다)에게서 발견되는 차별로, 유한자가 절대자로부터 생겨나오는 것이다. 정신은 양적으로 정신의 요소가 자연의 요소보다 많으면 정신이 되는 것이다.
셸링철학에 있어서 자연은 자아의 활동전개를 위한 수단이 아니고, 그 자신에게 적극적인 목적과 가치가 있다. 즉 '''자연은 도구가 아니다'''.[2] 이는 피히테의 철학과 대비되는 것이다.
[1] 윤효녕 외,'19세기 자연과학과 자연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pp. 46-47[2] 그래서 셸링은 낭만주의자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