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나노마이스터고등학교

 




'''한국나노마이스터고등학교
Korea Nano Meister High School
'''
[image]
<color=#373a3c><colbgcolor=#32f1ff> '''개교'''
1967년 3월
<color=#373a3c> '''마이스터고교 지정'''
2019년 3월
<color=#373a3c> '''성별'''
남녀공학
<color=#373a3c> '''유형'''
마이스터고등학교
<color=#373a3c> '''교장'''
홍성환
<color=#373a3c> '''교감'''
권오영
<color=#373a3c> '''학생 수'''
207명[1]
<color=#373a3c> '''교훈'''
꿈 열정
'''교화'''
영산홍
'''교목'''
은행나무
'''교직원 수'''
53명
'''설립 형태'''
공립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신법길 29 (신법리)


'''NEW & FIRST'''

'''우리가 꿈꾸는 기술,'''

'''미래는 나노입니다.'''

'''나노융합사업을 선도하는 나노 영마이스터 양성'''

'''행복한 미래를 준비하는 능력있는 직업인 육성'''

1. 개요
2. 학교 연혁
3. 학과 운영
3.1. 나노융합과
3.1.1. 실습 기자재
3.2. 전자과[한정]
3.3. 신재생에너지전기과[한정]
4. 학교 시설
4.1. 다빈치돔
4.1.1. 구조
5. 학교 생활
5.1. 일과
5.1.1. 주중
5.1.2. 주말
5.1.3. 외출
6. 학교 특징
7. 여담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신법리에 위치한 나노마이스터고로 대한민국에서 첫 번째로 개교한 나노분야 고등학교다.
학생들 사이에서 나노고로도 불린다. 밀양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중 유일하게 일반계가 아니다.

2. 학교 연혁


'''66.12.19'''
<colbgcolor=white,#191919> 무안농업고등학교설립 인가(농업과 3학급)
'''67.03.10'''
개교
'''72.11.17'''
학칙변경 인가(농업가 3학급, 보통과 3학급)
'''72.11.17'''
학칙변경 인가(농업가 3학급, 보통과 3학급)
'''73.01.09'''
무안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76.11.17'''
학칙변경인가(농업과 3학급, 상업과 3학급, 보통과 3학급)
'''78.11.04'''
무안실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농업과 6학급, 상업과 3학급)
'''89.10.12'''
학칙변경인가(농업과 3학급, 상업과 3학급, 전자과 6학급)
'''92.09.16'''
학칙변경인가(상업과 3학급, 전자과 6학급)
'''95.09.30'''
학칙변경인가(전자과 6학급, 전자계산과 3학급)
'''97.03.01'''
밀양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09.03.01'''
밀양전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3.02.14'''
제 44회 졸업(졸업생 44명, 총 졸업생 수 4143명)
'''13.11.05 '''
제학칙변경 인가(전자계산기과 폐과, 신재생에너지전기과 신설)
'''2019.01.11 '''
제50회(28명) 졸업(졸업생 총수 4,376명)
'''2019.03.01 '''
한국나노마이스터고등학교 전환 개교
'''2019.03.01 '''
제 26대 홍성환교장 취임
'''2019.03.04 '''
신입생 나노융합과(101명) 입학

3. 학과 운영



3.1. 나노융합과


[image]
>전공과목
>1학년: 기초 제도, 전기·전자 기초, 나노기술공학개론
>2학년: 나노기술공학개론, 나노 전자 소자, 나노 품질 측정 검사, 반도체 재료, 반도체 공정, 프로그래밍
>취득자격증
>전기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CAD),공유압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반도체장비유지보수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승강기기능사

3.1.1. 실습 기자재



3.2. 전자과[한정]


[image]

3.3. 신재생에너지전기과[한정]


[image]

4. 학교 시설


  • 다빈치관[現], 구관[2]
  • 다빈치관과 연결되는 옆 건물: 2층에는 CAD실이 있으며 1층에는 클린룸실습실, 반도체제조실이 있다.
  • 정보통신실: 2층 구조이며 PLC 수업 및 PLC 기반 생산자동화기능사반, 시퀀스 수업, 정보처리기능사반을 한다. 또한 기능연구실이 있어 기능연구생이 기능연구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 나노측정분석실[3]: 2층 구조이며 나노측정실 3개 있다.
  • 용호관[4]: 입시설명회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 급식소: 용호관 바로 밑에 위치해 있다.
  • 골프연습장: 방과후 골프반을 신청했을시 8교시때 사용할 수 있다.
  • 다빈치돔[5]

4.1. 다빈치돔


[image]
[6]
2019년에 완공이 된 신설 기숙사이다. 4인실이며, 한 방에 침대가 4개, 샤워실, 화장실 그리고 세면대가 있다.
2층은 여자, 3층,4층 5층[7]은 남자가 사용한다.
5층 건물이며 엘레베이터는 2개[8], 2층은 20호실까지, 3~5층은 19호실까지 있다.
3개월마다 방을 바꾼다.

4.1.1. 구조


  • 1층
사감실, 공용화장실, 체력단련실, 물품보관실, 창고, 각각 포스트라운지, 시청각실 동아리실, 회의실, 장애인실 2개, 게스트룸[9] 8개가 있다.
  • 2층 ~ 5층
각각 면학실(정독실), 정보화실, 공용화장실, 공용샤워실, 세탁실, 스터디룸1, 스터디룸2[10]가 있다.

5. 학교 생활



5.1. 일과



5.1.1. 주중


<rowcolor=#373a3c> '''시간'''
'''활동'''
06:30~06:45
<colbgcolor=white,#191919> 기상
06:45~07:00
점호 및 아침 운동[11][12]
07:00~08:10
아침 식사
07:00~08:10
개인 정비 및 등교
08:20~08:50
조례
08:50~09:40
1교시
09:50~10:40
2교시
10:50~11:40
3교시
11:50~12:40
4교시
12:40~13:30
점심 식사
13:30~14:20
5교시
14:30~15:20
6교시[13]
15:20~15:40
청소 시간
15:40~16:30
7교시
16:30~16:40
종례
16:40~17:30
방과후 8교시[B]
17:30~18:30
저녁 식사
18:30~19:20
방과후 9교시[B]
19:20~20:20
방과후 10교시[B]
20:20~21:30
기숙사
21:30~21:55
기숙사 담당구역 청소
21:55~22:00
휴대폰 및 노트북 제출
22:00~23:00
정독실
23:00~
호실 점호 및 취침
[14] ||

5.1.2. 주말


<rowcolor=#373a3c> '''토요일'''
'''활동'''
'''일요일'''
'''활동'''
07:00~08:50
<colbgcolor=white,#191919> 기상 및 아침점호
07:00~08:50
<colbgcolor=white,#191919> 기상 및 아침점호
09:00~12:00
특강[15]
09:00~12:00
면학실(교과학습)
12:00~13:30
개인식사(외출보고)
12:00~13:30
외출 및 개인식사
13:30~16:30
면학실(교과학습)
13:30~16:30
외출 또는 면학실(교과학습)
16:30~18:00
개인식사(외출복귀)
16:30~18:00
외출복귀 및 개인식사
18:00~21:30
면학실(교과학습)
18:00~21:30
복귀신고(18:00~21:00) 및 개인정비[C]
21:30~23:00
개인정비[C]
21:30~23:00
개인정비[C]
23:00~07:00
점호 후 취침
23:00~06:30
점호 후 취침

5.1.3. 외출


잔류자는 일요일에 신청한 자에 한하여 오후 6시까지 외출을 할 수 있다.[16]
부모님 동반 시에는 오후 9시까지 외출을 할 수 있다.
복귀시간이 지나서 오면 벌점을 받을 수 있다.

6. 학교 특징



7. 여담


학교가 산 쪽에 있기 때문에 여름날 밤이 되면 벌레가 많이 나온다. 주의하도록 하자.
모기가 자주 출몰하는데 특히나 흰줄숲모기가 자주 출현한다.

기숙사 생활 규정을 어기면 벌점을 받는데 일정 벌점 이상이 모이면 퇴사될 수 있으므로 조심하자.
잔류 때 개인 식사를 하러 면내로 가야 하는데 조금 멀다.[17]
아침에는 아침 운동으로 청소년 체조를 한 후, 기숙사 주위를 한 바퀴 돌고 식사를 하러 간다.
기숙사에서는 21:55까지 노트북과 휴대폰을 걷고 다음 날 아침때 들고 갈 수 있다.
아침 저녁을 제외한 점심 식사는 3학년 - 2학년 - 1학년 순서로 먹는다.
옆 무안중학교와 급식소를 같이 쓴다.
(2021신입생이 들어오면 급식을 먹기위해 50분 정도
기다릴지도 모른다)
학교에서 나노 또는 반도체 관련 행사에 자주 간다.[18]

[1] 2020-06-03 기준 3학년 17명[한정] A B C D 3학년[現] 마이스터고, 신설[2] 前 밀양전자고, 3학년[3] 前 신재생에너지실[4] 강당 및 체육관[5] 기숙사[6] 2019년 6월 촬영[7] 신청한 3학년들에 한하여[8] 현재 5층만 이용가능[9] 사감 또는 외부 선생님이 지낸다.[10] 2층은 스터디룸2가 없고 사감 숙소가 있다.[11] 비가 내리거나 대기상태(미세먼지)가 안 좋은 경우 생략하기도 한다.[12] 가끔 비가 올 때 기숙사 현관에서 점호를 할 때도 있다.[13] 비잔류자는 6교시 수업 후 하교를 한다.(금요일)[B] A B C 자신이 신청한 방과후를 수강하면 된다.[14] 시험 기간에는 새벽 1시나 2시까지 가능하다.[15] 특강이 없는 날은 면학실에서 교과학습을 한다.[C] A B C 물론 면학실에서 공부가 가능하다.[16] 토요일 오전 특강을 듣고 바로 외출 및 외박이 가능하다.[17] 도보로 약 10분 ~ 20분[18] 거의 시험이 끝난후 한 번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