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2009)
* 교과 관련 정보, 세계사
'''서술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2014~2016수능) 위주이며, 2017 수능부터 적용되는 2011 교과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아직 미흡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사회탐구 영역 중 한국사를 배우는 과목. 배우는 내용 전반은 과목명 그대로 한국의 역사.
사실 이 시기 한국사 과목은 그야말로 혼돈 그 자체다. 왜냐하면 원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사를 8~10학년까지 두어서 8~9학년에 걸쳐 전근대사 위주의 세계사와 한국사를 통합으로 배우고, 10학년 역사에서 근현대사 위주의 한국사를 배우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가 되면서 역사과목은 중학교 과목으로만 남게 되었고, 2011 교과 교육과정 개정 이전까지는 역사과목에 한국사 교과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 되었다. 과목 편제도 이미 10학년 역사로 검정을 받았던 교과서를 약간 수정하는 정도로 바꿨기 때문에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이 2:7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비중은 2011 교과개정 교육과정에서 3:3으로 고쳐지게 된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1:3으로 고쳐지면서 근현대사 비중을 다시 대폭 확대시켰다.
'''서술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2014~2016수능) 위주이며, 2017 수능부터 적용되는 2011 교과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아직 미흡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1. 소개
2. 개요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사회탐구 영역 중 한국사를 배우는 과목. 배우는 내용 전반은 과목명 그대로 한국의 역사.
3. 특징
사실 이 시기 한국사 과목은 그야말로 혼돈 그 자체다. 왜냐하면 원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사를 8~10학년까지 두어서 8~9학년에 걸쳐 전근대사 위주의 세계사와 한국사를 통합으로 배우고, 10학년 역사에서 근현대사 위주의 한국사를 배우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가 되면서 역사과목은 중학교 과목으로만 남게 되었고, 2011 교과 교육과정 개정 이전까지는 역사과목에 한국사 교과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 되었다. 과목 편제도 이미 10학년 역사로 검정을 받았던 교과서를 약간 수정하는 정도로 바꿨기 때문에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이 2:7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비중은 2011 교과개정 교육과정에서 3:3으로 고쳐지게 된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1:3으로 고쳐지면서 근현대사 비중을 다시 대폭 확대시켰다.
4. 내용
4.1.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발전
- 해당 단원은 원래 교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던 부분이기 때문에 출판사 재량으로 놔두었다.
4.2. Ⅱ.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 양 난 이후 개항 이전까지 조선 사회의 변동과 사회 개혁의 움직임,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조선의 대응을 다룬다. 조선 후기에 나타난 사회・경제적 변화, 통치 질서의 동요, 농민의 저항을 파악한다. 서구 열강의 팽창에 따른 동아시아 삼국의 대응 과정을 이해한다.
- 조선 후기에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났음을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서구에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제국주의가 등장하는 과정을 파악한다.
- 서구 열강이 아시아로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과 이에 따른 변화를 파악한다.
- 19세기 정치 질서의 문란과 사회 동요를 파악하여 당시 사회가 직면한 시대적 과제를 추론한다.
- 흥선 대원군 집권기의 통치 체제 정비 노력과 외세에 대한 대응 노력을 탐구한다.
4.3. Ⅲ. 동아시아의 변화와 조선의 근대 개혁 운동
- 개항 이후 동학 농민 운동 이전까지 조선 사회에서 전개된 개혁의 움직임을 다룬다. 외세의 침략에 직면하여 자주적인 근대 국가 체제를 갖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개혁 방향을 둘러싼 갈등을 파악한다. 아울러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대립이 조선의 근대 개혁에 끼친 영향을 파악한다.
- 개항 이후 청과 일본의 근대 개혁 운동을 이해하고 그 성격을 설명한다.
- 외국과 맺은 여러 조약을 조사하여 불평등 조약 체제가 형성되었음을 이해한다.
- 정부가 추진한 개화 정책의 내용을 알고, 이를 둘러싼 여러 세력의 대응을 비교하여 파악한다.
- 갑신정변의 전개 과정을 알고, 이후 조선을 둘러싼 국제적 대립이 격화되었음을 안다.
-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 침탈과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탐색한다.
4.4. Ⅳ.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 동학 농민 운동과 청・일 전쟁으로부터 일제에 의한 국권 침탈에 이르는 시기를 다룬다.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 광무개혁 등 근대 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본다. 일본의 국권 침탈 과정과 이에 맞서 전개된 다양한 국권 수호 운동을 파악한다.
-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제국주의가 본격화되었음을 안다.
- 외세의 중국 침략이 확대되고, 이에 맞서 반외세 근대 변혁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을 안다.
- 동학 농민 운동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알고, 이를 통해 농민군이 주장했던 사회 개혁의 방향을 파악한다.
- 갑오개혁, 독립 협회 운동, 대한 제국의 개혁이 근대 국가 수립 운동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파악한다.
- 국권 피탈 과정과 일제의 침략에 맞선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을 파악한다.
- 민권 운동의 성장과 근대 문물의 유입으로 나타난 문화와 생활의 변화를 이해한다.
4.5. Ⅴ.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 국권 피탈 이후 1930년대 초까지 일제의 식민 지배 정책과 민족 운동의 전개 과정을 다룬다.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 지배와 이에 맞선 아시아의 민족 운동을 우리 역사와 관련지어 파악한다. 일제에 의한 식민지 지배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3・1 운동과 그 이후 전개된 민족 운동의 흐름을 파악한다.
-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치며 세계 정세가 크게 달라졌음을 안다.
-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을 시기별로 그 특징을 파악한다.
- 3・1 운동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알고, 민주 공화제를 표방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의의를 인식한다.
- 나라 안팎에서 전개된 다양한 민족 운동의 사례를 조사한다.
- 3・1 운동 이후 사회 운동의 사례를 조사하여 그것이 사회・문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 제1차 세계 대전 후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일어난 민족 운동의 사례를 조사하여 우리 민족 운동과 비교한다.
4.6. Ⅵ.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 일제의 아시아 침략이 본격화된 1930년대 초부터 8・15 광복 직전까지를 다룬다. 일제의 침략 전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민족 운동이 꾸준히 전개되었음을 파악한다. 활발한 항일 투쟁 속에서 구체적인 건국 준비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이해한다.
- 대공황을 거치면서 전체주의 국가가 등장하고, 이들의 침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음을 안다.
- 1930년대 이후 달라진 일제의 지배 정책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를 추론한다.
- 일제의 인적, 물적 자원 수탈과 민족 말살 정책을 파악하고, 이 시대를 살아간 다양한 삶의 모습을 비교해 본다.
- 1930년대 이후에도 나라 안팎에서 민족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음을 파악한다.
- 태평양 전쟁 시기에 국내외에서 본격화된 건국 노력을 설명한다.
- 제2차 세계 대전 진행 중에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파악한다.
4.7. Ⅶ. 냉전 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서 시작하여 6・25 전쟁과 남북 대립의 격화로 이어진 1950년대 말까지를 다룬다. 8・15 광복 이후 건국 운동, 통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과정을 파악한다. 6・25 전쟁의 원인과 전개 과정 및 그 결과를 이해하고, 국내외적 영향을 파악하여 한반도 평화 정착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심화되고 냉전 체제가 성립되는 과정을 파악한다.
- 8・15 광복 직후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설명한다.
- 대한민국과 북한의 정부 수립 과정 및 그 의의를 파악하고, 농지 개혁과 친일파 청산이 추진되었음을 안다.
- 6・25 전쟁의 원인과 전개 과정 및 그 참상을 알고, 전후 남북한의 갈등이 증폭되었음을 안다.
- 전후 복구 과정을 거치며 남과 북에 정치・경제적으로 다른 체제가 뿌리내렸음을 파악한다.
- 냉전으로 인해 분단, 전쟁과 갈등을 겪은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찾아서 서로 비교한다.
4.8. Ⅷ. 대한민국의 발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 4・19 혁명 이후 1987년까지 대한민국의 발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를 다룬다. 1960년대 이후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이룩하고, 권위주의 정부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이 꾸준히 전개되면서 민주주의 발전이 이루어졌음을 파악한다.
- 냉전 체제의 변화 양상이 동아시아와 남북한에 미친 영향을 이해한다.
- 4・19 혁명에서 6월 민주 항쟁에 이르는 과정을 민주주의 발전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이 이루어지고 산업 구조가 변하였음을 알고, 그것이 가져온 결과를 성찰한다.
- 산업화가 농촌과 도시 생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대중문화의 확산이 가져온 사회 변화를 설명한다.
- 1960년대 이후 북한의 정치・경제적 변화 과정을 파악한다.
-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과정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한다.
4.9. Ⅸ. 세계화와 우리의 미래
- 1980년대 후반 이후 세계사의 흐름과 우리 사회의 변화와 과제를 다룬다.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탈냉전,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졌음을 파악한다.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주의의 확대와 시민 사회의 성장을 살펴보면서 21세기의 평화롭고 풍요로운 세계를 건설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1980년대 후반 이후 국제 질서의 변화 방향을 탐구한다.
-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가 진전되고 시민 사회 운동이 활발해졌음을 설명한다.
- 남북한 간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평화 통일을 위한 과제와 방안을 탐색한다.
- 동북아시아의 영토 문제, 역사 갈등, 과거사 문제 등을 탐구하여 관련 나라와의 바람직한 관계를 모색하는 자세를 가진다.
- 한국의 국제 위상이 크게 높아졌음을 알고, 국제 공헌을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