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기관
痕跡器官
생물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생존에 필요 없는 기관들이 점점 축소, 혹은 퇴화되어가고, 결국 기능을 거의 잃은 채 말 그대로 흔적만 남아있는 기관을 말한다. 영어로는 'vestigial organ'이라 한다.
사람의 경우 대표적인 예로 충수돌기(막창자꼬리)[1] 와 사랑니, 편도선, 꼬리뼈, 눈물 언덕(반월추벽)[2] , 동이근, 긴손바닥근, 이루공, 야콥슨 기관, 잔털 등이 있다.
충수돌기의 경우, 토끼에게는 소화기관 내 유익균을 관리하는 역할이 있지만 사람의 경우 기껏해야 맹장염이나 일으키는 무의미한 기관이다. 충수돌기가 면역에 관여한다는 설이 있기는 하다. 충수돌기는 박테리아를 잔뜩 보유하고 있는데, 대장에 원래 서식하고 있던 박테리아들이 배탈이 나서 쓸려나갈 경우 충수돌기에서 박테리아를 대장쪽으로 보내 대장의 생태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충수돌기에 박테리아가 많으므로 충수염을 일으키면 박테리아가 몸 안에 퍼지게 되어 죽음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사랑니의 경우, 턱이 넓은 인류의 조상에게는 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진화를 거듭하며 턱이 좁아진 현재의 인류에게는 사랑니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사랑니가 제대로 날 공간이 없어져 휘어지거나 옆으로 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사랑니의 역할은 우리에게 고통을 주기 위함이라고밖에 볼 수 없게 되었다.
인간 외에 다른 동물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 그 예로 두더지나 동굴 생물의 눈이 있다. 어두운 곳에서 살다 보니 눈의 필요성이 없어졌지만 기관의 흔적은 존재한다. 고래는 물 속 생활에 적응하면서 앞다리는 지느러미로 바뀌고 뒷다리는 사라졌지만 뒷다리뼈가 퇴화한 형태로나마 남아 있다.
동이근의 경우, 동물들은 여러 방향으로 귀를 움직일수 있는데, 귀(耳)를 움직이는(動) 근육(筋)을 이용하는 것이다. 사람들의 경우, 드물게 있다. 동이근이 물론 흔적으로만 남아있어서, 살짝살짝씩 움직이는 정도인데,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루공의 경우, 귓바퀴와 얼굴이 붙는 곳 근처에, 피어싱을 해도 괜찮을법한 자리에 피어싱을 한 듯한 구멍이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예전 아가미의 흔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어류와 인간을 예로 들기도 하며 태아때 귓바퀴와 얼굴이 잘 붙지 않아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학설에 따라서 포유류 수컷의 유두를 흔적기관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위에 언급했듯이 이 흔적기관은 진화론의 증거 중 하나여서, 창조설을 주장하는 자들에게 반박할 때 언급될 때가 많다.
1. 개요
생물이 진화를 거듭하면서 생존에 필요 없는 기관들이 점점 축소, 혹은 퇴화되어가고, 결국 기능을 거의 잃은 채 말 그대로 흔적만 남아있는 기관을 말한다. 영어로는 'vestigial organ'이라 한다.
2. 상세
사람의 경우 대표적인 예로 충수돌기(막창자꼬리)[1] 와 사랑니, 편도선, 꼬리뼈, 눈물 언덕(반월추벽)[2] , 동이근, 긴손바닥근, 이루공, 야콥슨 기관, 잔털 등이 있다.
충수돌기의 경우, 토끼에게는 소화기관 내 유익균을 관리하는 역할이 있지만 사람의 경우 기껏해야 맹장염이나 일으키는 무의미한 기관이다. 충수돌기가 면역에 관여한다는 설이 있기는 하다. 충수돌기는 박테리아를 잔뜩 보유하고 있는데, 대장에 원래 서식하고 있던 박테리아들이 배탈이 나서 쓸려나갈 경우 충수돌기에서 박테리아를 대장쪽으로 보내 대장의 생태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충수돌기에 박테리아가 많으므로 충수염을 일으키면 박테리아가 몸 안에 퍼지게 되어 죽음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사랑니의 경우, 턱이 넓은 인류의 조상에게는 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진화를 거듭하며 턱이 좁아진 현재의 인류에게는 사랑니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사랑니가 제대로 날 공간이 없어져 휘어지거나 옆으로 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사랑니의 역할은 우리에게 고통을 주기 위함이라고밖에 볼 수 없게 되었다.
인간 외에 다른 동물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 그 예로 두더지나 동굴 생물의 눈이 있다. 어두운 곳에서 살다 보니 눈의 필요성이 없어졌지만 기관의 흔적은 존재한다. 고래는 물 속 생활에 적응하면서 앞다리는 지느러미로 바뀌고 뒷다리는 사라졌지만 뒷다리뼈가 퇴화한 형태로나마 남아 있다.
동이근의 경우, 동물들은 여러 방향으로 귀를 움직일수 있는데, 귀(耳)를 움직이는(動) 근육(筋)을 이용하는 것이다. 사람들의 경우, 드물게 있다. 동이근이 물론 흔적으로만 남아있어서, 살짝살짝씩 움직이는 정도인데,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루공의 경우, 귓바퀴와 얼굴이 붙는 곳 근처에, 피어싱을 해도 괜찮을법한 자리에 피어싱을 한 듯한 구멍이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예전 아가미의 흔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어류와 인간을 예로 들기도 하며 태아때 귓바퀴와 얼굴이 잘 붙지 않아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학설에 따라서 포유류 수컷의 유두를 흔적기관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위에 언급했듯이 이 흔적기관은 진화론의 증거 중 하나여서, 창조설을 주장하는 자들에게 반박할 때 언급될 때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