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년

 

'''연도구분'''
기원전 1년



1년
'''연대구분'''
기원전 0년대

'''0년대'''

10년대
1. 설명
2. 상세
3. 같이보기


1. 설명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역법인 그레고리력에서 0년(零年)은 기원전에도, 기원후에도 '''존재하지 않는 다.''' 즉, 기원전 1년의 다음 해는 기원전이나 기원후 0년이 아니라 기원후 1년이며, 율리우스력세계력, 상용력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해'''다. 서기 1년 1월 1일의 전날은 '''서기 0년 12월 31일'''이 아니라 '''기원전 1년 12월 31일'''이다.[1] 기원전과 서력기원의 경계이다.

2. 상세


서기력에 0년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연도는 서수로 계산하기 때문이다. 기원전은 음수 아니냐고 할 텐데 음수라기보다는 그저 반대 방향으로 숫자를 하나 둘 세어나갈 뿐이다. 그래서 연도는 기수의 개념이 아니다.
서기는 서기 525년,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Dionysius Exiguus)라는 수도자가 예수의 탄생 연도를 계산하여 서력기원의 기준을 잡았다. 하지만 숫자 0은 서기 628년 인도 수학자들이 고안한 것으로 서기가 숫자 0 100년 더 먼저 등장했다. 그래서 서기가 고안된 시기에는 숫자 0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 이러한 이유로 0년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0이 등장한 지 한참 지난 20세기에도 주체, 민국 등의 기년법이나 중국·일본의 연호에서 0년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았을 때 0의 등장 시기와는 거리가 멀 것이다.
물론 다른 기년법에서는 0년이 있을 수도 있다. 인도 국민력의 경우는 서기 78년을 국민력 0년으로 설정한다. 다만 특정 기년법의 원년 이전 시점을 말할 때는 대체로 서기로 환산하기에, 기년법에서 원년 이전 해가 0년인지 -1년인지 하는 문제는 큰 관심거리가 되지는 않는다.
학자들은 계산의 편의를 위해 0년을 임의로 설정하기도 한다. 역사 같은 학문에서는 기원전 X년 식으로 쓰는 경우가 많고, 지질학이나 고생물학으로 가면 기본 수만년~수억년 단위로 나오기 때문에, 천문학에서 두드러지는 편이다. 천문학도 수억년 단위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그건 천문학 중심의 사정에 가깝고, 춘분점 산정하고 세차운동 계산하고 월식 기록 뒤지고 하는 전통적인 천문학은 1년 단위도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천문학 연도로 기록된 월식이나 일식 리스트를 볼 때는 기원전 123년 기록을 알고 싶을 경우 -123년이 아니라 -122년을 찾아야 한다. 기원전 1년이 천문학 연도 0년이고 기원전 2년이 천문학 연도 -1년이기 때문이다. 기원전 n년은 천문학 연도 -(n-1)년, 천문학 연도 -n년은 기원전 (n+1)년이고, 기원전 연도와 천문학 연도를 더하면 1이 되는 셈.

3. 같이보기



[1] 이해하기 힘들다면 건물의 층수를 세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1층에서 한 층을 내려가면 0층이 아니라 지하 1층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