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

 

1. 旗手
2. 期數
3. 騎手
4. 機首
5. 旣遂
6. 汽水
7. 奇數
8. 基數
9. 후나바시 키이치가 한국어판에서 개명한 이름


1. 旗手


[image]
기수하면 맨먼저 연상될 그림인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깃발을 드는 사람. bannerman
과거의 전쟁에서는 깃발, 다시 말해 군기가 병력 그 자체를 의미했으며 기수 없는 백 명보다[1] 기수가 있는 열 명의 부대가 더 강하다고 할 만큼 중요한 직책이었다. 당시 전쟁에서는 대형 유지가 생명인데, 혼란스러운 전장에서 그나마 눈에 띄는건 깃발밖에 없기 때문에 부대가 결집하려면 무조건 깃발을 중심으로 모이는 방법밖에 없었다. 안 그래도 눈에 잘 띄는데 중요하기까지 하다 보니 그만큼 적의 공격이 집중되었고 그 빗발치는 화살과 총탄 속에서도 군기를 쳐들고 있을 만큼 대담한 자만이 기수가 될 수 있었으며, 정예 부대의 경우 기수가 쓰러지면 그 주변에 있는 다른 병사가 군기를 받들고 그 병사가 전사하면 또 다른 병사가 달려들어서 군기를 세웠다는 묘사가 종종 나온다. [2] 정예부대의 기수, 그리고 기수의 호위병으로 배치되었다는 건 굉장한 명예였다. 한 예로 오자병법에서는 '가장 용맹하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에게는 군기를 쥐어주거나 군고(軍鼓)를 치게 하라'라고 말하고 있다. 고대 로마군에선 전투 후 군기 근처에서 전사한 장병들은 '목숨을 바쳐서 군기와 기수를 지킨 용사'라는 의미에서 매우 후한 보상을 해주었다. 반면 군기를 버리고 도망간 기수는 단순히 도망친 죄가 아니라 집단 반란의 주동자 수준으로 큰 죄를 저지른 것과 같다고 여겨서 다른 동료들이 때려죽이는 극형에 처했다. 여담이지만 일본군의 경우 기수 선발 조건은 품행 방정하고 성적이 우수한 엘리트일 뿐 아니라 장신, 수려한 외모, 그리고 '''동정'''일 것이 암묵의 룰이었다고 한다.
위 그림이 대표적.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 기수를 할 정도니 시민군의 위세가 부르봉 왕조샤를 10세를 무너뜨릴 정도로 하늘을 찌를 기세라는 의미.
창작물에서는 기수가 주연인 경우가 거의 없다. 아무래도 기를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투에 집중하기 힘들고, 기수의 활약이 빛나는 경우는 승전보다 패전 중일 때가 많아서 일단 기수로 유명한 이는 수호전욱보사가 있는데, 108 두령 중 듣보잡 of 듣보잡인 욱보사에 대한 서술이 짤막하게나마 등장하는 게 양산박에 합류하는 과정[3], 방랍 토벌 와중에 전사하는 장면, 그리고 '''패전 중 화살을 세 대 맞고도 군기를 꿋꿋하게 들었다'''는 기록 딱 셋이다. 반면 주인공이 기수를 대신해서 깃발을 들고 적진에 돌진한다는 클리셰는 의외로 흔하다. 한 예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아르콜 다리의 전투 당시 직접 삼색기를 들고 부하들과 함께 돌격했다는 영웅담이 있다. 단, 이는 후대의 창작이고 실제로는 후방에서 깃발을 들어 보이며 독려한 수준이다.
현대에는 응원을 지휘하거나 고양시키는 역할로써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국기나 세력을 상징하는 깃발은 집단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맡고 있다. 때문에 경기장에서 깃발을 휘두루는 기수의 경우 숙련된 사람이 맡거나 체격이 건장한 사람이 책임진다.
올림픽 등의 대회 개막식 때 깃발을 들고 입장하는 선수를 말하기도 한다.

2. 期數




기(期)란 일정한 기간씩 되풀이되는 일의 하나하나의 과정을 세는 단위로, 기수는 그를 세는 숫자를 말한다. 가령 어떤 교육 과정을 첫번째로 이수한 사람들을 1기라고 부른다. 기수제 문서로.
위에서는 취소선을 쳤으나, 현대의 대한민국 기준만 따지면 맞는 말이다. 현대의 대한민국에선 어째서인지 나이사실상 기수 취급이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3. 騎手


[image]
경마에서 말을 타는 사람을 일컫는 말.

4. 機首


비행기의 앞머리.

5. 旣遂


이미 어떤 일을 저지름. 반대말은 미수(未遂).

6. 汽水


汽水, brackish water, briny water.
바닷물(해수)보다는 소금이 적고 민물(담수)보다는 소금이 많은 소금물.
엄밀한 기준은 없고, 물 1 리터당 0.5 ~ 30 g 정도의 소금이 녹은 물로 정의된다. 물 1 리터가 1 kg(=1000 g) 정도 되니까, 천분율 농도로 따지자면 0.5~30 퍼밀(‰, permil).
바닷물이 민물과 섞이는 지역에서 흔하고, 그 밖에 소금이 섞인 함수층 암반이 있는 곳에서도 발견된다.
민물의 대표주자는 이다 보니 대개 강이 바다로 흘러드는 곳에 많고, 이를 기수역(汽水域)이라 한다. 강이 크면 강 하구로부터 수백 km 의 떨어진 곳까지 기수가 조성되지만 대개는 보통은 2~3 km내에 그친다.
일반적으로 영양물질은 강 쪽이 많으며 갑각류나 물고기들(특히 치어 때)의 직접적인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류는 바다 쪽이 많은데, 이 둘이 만나는 이런 기수환경은 물고기들이 성장하기 아주 좋은 환경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몇몇 해양생물들은 기수에서 살며, 번식만이라도 기수에서 하는 것은 더욱 많다.
다만 농사를 짓는 경우 물에 소금기가 들어와 농사를 망치거나, 만조 때 바닷물이 역류해 저지대가 침수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강은 하구둑이 지어져 있고 따라서 이런 기수가 있는 강은 섬진강한강밖에 없다. 한강은 하구가''' 휴전선'''이라 못짓고 섬진강은 유역 대부분이 호남정맥이라 특별히 사업성이 없었기 때문. 덕분에 섬진강은 우리나라 강 중에 생태계가 가장 잘 보존된 지역으로 꼽힌다
수로를 만들어 인공적으로 기수역을 조성하기도 하는데, 특히 왜생이 양식 등에 쓰인다.
중국어사이다를 표기할때 쓰이는 말이기도 하다.

7. 奇數


홀수. 반대말은 우수(偶數, 짝수). 영어의 odd number를 번역한 말처럼 보이지만 주역 시절부터 쓰인 한자 고유어이다. 번역어처럼 보이는 것은 odd와 奇에 모두 ’기이한’과 '짝이 맞지 않는'이라는 뜻이 있어서 생긴 우연의 일치이다.

8. 基數



  • base, radix. 수를 표기하는데 사용되는 숫자들의 개수. 예를 들어 10진법에서는 0~9까지의 수가 쓰이므로 기수는 10.
  • cardinality.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 유한집합의 기수는 자연수이고 무한집합의 기수는 초한기수이다.
  • cardinal. 언어학에서는 수량을 셀 때 사용하는 기수사를 말한다.

9. 후나바시 키이치가 한국어판에서 개명한 이름


디지몬 크로스워즈의 등장인물. 디지몬 헌터. 자세한 사항은 후나바시 키이치 항목으로.

[1] 기수가 전사했음에도 아무도 군기를 다시 세우지 않았다는 것이므로 사기가 바닥나거나 이미 패퇴하는 상황이란 소리다. 이런 상황에 놓여있다면 병력으로서의 가치가 사라진다.[2] 후송 대열을 멈추기 위해 운전석에 총탄이 집중된다. 때문에 전사할 확률이 높았고 사기가 떨어진 부대에서는 아무도 잡으려 들지 않았다. [3] 사실 이 과정도 좀 안습인 게, 욱보사 본인보다 욱보사가 도둑질한 말에 더 관심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