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ury Gothic
[image]
미국 Monotype사에서 1991년 제작한 글꼴이다. 푸투라, 20세기와 함께 지오메트릭 산스 계열 중 유명한 글꼴이다[1] .
기본적으로 20세기를 베이스로 제작되었다. 앞서 설명한 지오메트릭 산스 폰트들과 비슷하게 a, g, M(대문자)의 형상이 독특하다.
[image]
a, g의 형상은 다른 글꼴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M의 형상은 특이하다. W를 뒤집은 듯 한 경사진 모양이 특징. 그 외에도 t의 형상이 †와 비슷하게 중심축이 직선인 점이 있다.
이 글꼴은 1970년대 제작된 Avant Garde Gothic 역시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단 다른 지오메트릭 산스 폰트와 다른 점도 있다. 20세기와 푸투라의 경우 j(소문자)가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 그러니까 i(소문자)와 비슷한 것과는 다르게 이쪽은 j가 구부러진 모습이다.
경기도 시내버스의 숫자 폰트에 이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몇몇 노선은 윤고딕체 등의 다른 글꼴을 쓰기도 한다.
해외에서는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적게 사용되며 인지도 역시 낮은 편이다.[2] 미국 GSA에서 권장하는 폰트인 것을 생각하면 국내에서는 상당히 안습.
1. 개요
미국 Monotype사에서 1991년 제작한 글꼴이다. 푸투라, 20세기와 함께 지오메트릭 산스 계열 중 유명한 글꼴이다[1] .
2. 디자인
기본적으로 20세기를 베이스로 제작되었다. 앞서 설명한 지오메트릭 산스 폰트들과 비슷하게 a, g, M(대문자)의 형상이 독특하다.
[image]
a, g의 형상은 다른 글꼴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M의 형상은 특이하다. W를 뒤집은 듯 한 경사진 모양이 특징. 그 외에도 t의 형상이 †와 비슷하게 중심축이 직선인 점이 있다.
이 글꼴은 1970년대 제작된 Avant Garde Gothic 역시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단 다른 지오메트릭 산스 폰트와 다른 점도 있다. 20세기와 푸투라의 경우 j(소문자)가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 그러니까 i(소문자)와 비슷한 것과는 다르게 이쪽은 j가 구부러진 모습이다.
3. 사용
경기도 시내버스의 숫자 폰트에 이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몇몇 노선은 윤고딕체 등의 다른 글꼴을 쓰기도 한다.
해외에서는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적게 사용되며 인지도 역시 낮은 편이다.[2] 미국 GSA에서 권장하는 폰트인 것을 생각하면 국내에서는 상당히 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