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and fire
[image]
ice and fire 모드 다운
citadel 모드 [1]
llibrary 모드 [2]
1. 개요
여러 신화속에서 등장하는 몹들을 추가시켜주는 마인크래프트의 모드.
지원하는 버전은 1.16.4
해당 문서는 1.16.4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 모드에서 나오는 몹들은 대부분 상당히 능력치가 높거나 까다로운 능력을 가지고있는 등 기존 마인크래프트보다 훨씬
강력한 몹들이 많이있다.
'''해당 문서는 아직 작성중이다.'''
2. 던전/구조물
2.1. 드래곤 둥지
드래곤의 둥지는 지상과 지하로 나뉘는데,[3] 지상은 보통크기의 드래곤이 서식하며, 지하는 상당히 크고 강한 드래곤이 잠을 자고 있다.
이 둥지에는 상자가 곳곳에 놓여있는데 값진 보상들이 들어있다. 특히 지하 둥지는 둥지 벽면에 '''좌표 상관없이''' 에메랄드, 다이아가 박혀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상자의 보상마저 지상 둥지와는 비교가 안된다.
- 화염 드래곤 둥지
지상 둥지
[image]지하 둥지
[image]- 얼음 드래곤 둥지
지상 둥지
[image]지하 둥지
[image]- 번개 드래곤 둥지
지상 둥지
[image]지하둥지
[image]정글, 사바나, 악지 지형에서 생성되며, 번개 드래곤이 서식한다. 곳곳에 상자와 구리 뭉치들이 놓여있다.
생성되는 지형이 이 모양이라, 가장 보기 힘들다. 그나마 사바나는 많이 보이니 조금은 마주칠 난이도가 내려간 듯 하다.
생성되는 지형이 이 모양이라, 가장 보기 힘들다. 그나마 사바나는 많이 보이니 조금은 마주칠 난이도가 내려간 듯 하다.
그리고 드래곤 지하둥지에는 알이 생성될수 있는데 만약 둥지의 주인이 수컷 드래곤이라면 알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주인이 암컷이라면 무조건 알이 나오며 지상에 있는 둥지보다 지하에 있는 둥지가 더 찾기 힘든것이 바로 이 때문.
그렇기에 이 모드를 한다면 주로 지상 둥지보단 지하 둥지를 위주로 찾는걸 추천한다.
하지만 주인이 암컷이라면 무조건 알이 나오며 지상에 있는 둥지보다 지하에 있는 둥지가 더 찾기 힘든것이 바로 이 때문.
그렇기에 이 모드를 한다면 주로 지상 둥지보단 지하 둥지를 위주로 찾는걸 추천한다.
2.2. 고르곤 사원
해변가에 위치하는 던전으로, 지상에 1층이 나와있고, 지하에 2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식.[4]
1층에선 곳곳에 레버가 숨겨져있는데 모두 당기면, 가운데에 움푹 패인곳이 열리게 된다. [5]
2층으로 내려오게 되면 고르곤이란 몹과 싸우게 된다.
- 고르곤 사원
1층 지상
[image]2층 지하
[image]2.3. 사이클롭스 동굴
해변가에 위치하는 던전으로, 상당히 크다. 내부에는 뼈블록이나 금 더미, 상자가 곳곳에 있다. 양들도 조금 있다.
안엔 사이클롭스라는 몹이 살고있다.
[image]
[image]
2.4. 세이렌의 섬
바다에 위치한 구조물이다. 세이렌들이 서식하고 있다.
[image]
바다를 건널때마다 몇십개는 계속 마주치게 되는 구조물. 세이렌들이 자꾸 유혹을 걸어와 상당히 성가시다. 귀마개를 하고 다니자.
2.5. 히드라 둥지
늪지대 지형에 생성되는 구조물.
히드라가 서식하며, 내부엔 몇몇의 상자와, 해골이 놓여져있다.
[image]
2.6. 무덤
아무 생물군계에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건물.
유령이 생성된다.
[image]
작은 건물 내부에는 저주받은 상자라는 것이 있는데, 이 상자는 함정으로 상자를 열게된다면 Ghost라는 특수 몹이 튀어나와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체력도 높고 공격속도도 빨라 위험하니 초반에는 건들지 말자.
2.7. 마이어멕스 굴(가칭)
사막과 정글에서 스폰되는 거대한 개미굴이다.
Myrmex가 서식하는 중~대규모 던전. 중앙 방에는 여왕 마이어멕스가 확정적으로 스폰되며
여러갈래로 뻗어나간 방들은 '''창고, 애벌레 방, 보물방'''으로 세 가지로 나뉜다.
상당히 거슬리는 능력을 지닌 마이어멕스 무리가 떼거지로 몰려오는것과 여왕의 무지막지한 체력을 감안해도 별로 보상이 좋은게 아니라서[6] 다른 마이어멕스 군체와 친밀도를 쌓기위한 재료를 모으려는 목적이 아니라면 입구를 막아버려서 공주 개미가 나타나서 깽판치는걸 방지하자.
3. 몹
신화속의 몹들을 등장시켜주는 모드인 만큼 공격적인 몹의 비중이 아주 높다.
3.1. 비공격적
3.1.1. Hippocampus
바다에서 드물지 않게 스폰되는 물고기와 말을 합친듯한 몹.
물속에서 스폰되지만 물 밖에서도 숨을 쉴 순 있다. 그러나 속도가 매우 느려서[7] 지상 이동수단으로는 최악.
하지만 바다에서는 헤엄치는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켈프[8] 를 먹이면 길들일 수 있으며 길들인 Hippocampus는 안장, 상자, 갑옷을 입힐 수가 있어 수중 탐험용으로 좋다.
Hippocampus 두마리에게 프리즈머린 수정을 먹이면 다른 동물들처럼 교배를 하여 새끼를 낳는다.
이녀석들이 드롭하는 희귀한 아이템으로 만드는 hippocampus slapper는 무기로 사용할 수가 있는데.
공격한 대상에게 구속 디버프를 건다. 피해량이 낮아서 생각보다 쓸일은 적은 희귀아이템.
3.1.2. Pixie
여러가지 색상[9] 을 가진 요정같이 생긴 몹이다.
어두운 숲 생물군계에서 생성되는 버섯과 통나무집으로 이루어진 작은 마을에서 스폰된다.
이렇게만 보면 그냥 장식용 몹같지만, 생긴것과는 정 반대의 까다로운 능력을 가지고있는데.
바로 '''근처의 플레이어가 자신을 쳐다보고 있지 않으면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하나를 훔쳐간다.'''[10]
뺏긴 아이템은 훔쳐간 그 요정을 때리면 돌려받을 수 있지만, 만일 요정 마을(가명) 한가운데라면 수많은 요정들이
소매치기를 하려고 달려드니 조심해야한다.
만일 요정에게 케이크를 던져주면 바로 길들일 수 있다.
길들인 요정은 길들인 늑대처럼 앉거나 일어나게 할 수 있고 플레이어를 쫒아다닌다.
길들인 요정은 색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버프를 부여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 분홍색 : 힘
- 보라색 : 점프 강화
- 파란색 : 신속
- 녹색 : 행운
- 노란색 : 성급함
길들이는것 외에도 Jar이라는 아이템으로 우클릭하면 요정을 Jar 아이템 내부에 집어넣을 수 있는데,
이때 장식용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병에있는동안 Pixie Dust를 무작위로 한개씩 생성한다.
이때 장식용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병에있는동안 Pixie Dust를 무작위로 한개씩 생성한다.
3.2. 중립적
3.2.1. Amphithere
정글에서 스폰하는 뱀에다가 새의 머리와 날개를 붙인듯한 모습을 한 몹이다.
꽤나 온순해보이는 인상과 허접해보이는 생김새와는 달리 적대적으로 만들면 매우 위험해지는 몹중 한마리인데.
이동속도가 매우 빠른데다 날아다니기까지 하고 높은 피해량을 엄청난 공격속도로 박아대기때문에
초반에 실수로 이녀석들에게 시비를 걸면 매우 위험하다.
길들이는 방법은 생각보다 쉽고 간단하지만 꽤 위험하다.
땅에 내려와있는 Amphithere에게 우클릭을 하면 말처럼 올라타지는데 이때 계속 탑승한 플레이어를 물어뜯으며[11]
저항하기때문에 방어구가 적은 초반에는 길들이기 까다롭지만 그래도 쭉 기다리면 길들여진다.
쿠키를 먹이면 교배를 할 수 있다.
여담으로 꽤나 잔인한 길들이기 방식을 가진 몹중 하나인데.
엄청난 속도로 날아다니기에 이녀석들을 바닥으로 떨구려면 '''활로 화살을 쏴서 맞추면 바닥으로 떨어져 등 뒤에 올라탈 수 있다.'''
3.2.2. Hippogryph
사막, 어두운 숲, 타이가, 설산 등 위험한 생물군계에서 드물게 스폰되는 중립적인 생물.
분류만 중립적이지, 주위에 좀 오래 있다 싶으면 바로 선빵을 갈겨오기 때문에 체감상 공격적으로 느껴진다.
길들이는 방법이 꽤 특이한데, 다른 길들일 수 있는 몹과는 달리 직접 아이템을 들고 우클릭해서 먹여주는 게 아닌, '''히포그리프 주변에 토끼발을 Q로 던져줘서 그걸 주워 먹어야 무작위로 길들여진다.'''
문제는 얘들은 '''날아다니는 데다''' 인공지능이 어딘가 좀 하자가 심해서 던져준 토끼발을 인식을 못 해서 그냥 무시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고생해서 길들이는 데 성공한다면 정말로 좋은 이동수단을 확보하게 된다.
Shift를 누르고 우클릭하면 인벤토리가 열리는데 여기에 '''안장, 상자, 갑옷'''을 입혀줄 수 있다.
안장을 입혀주고 조종하면 비행이 가능한데. 상당히 빠른 속도로 비행을 하기때문에 탐험에 매우 도움이 된다.
한 마리씩은 장만을 해두는 것이 강력히 추천되는 몹중 한 마리.
번식시키려면 두마리의 히포그리프를 두고 토끼 스튜를 먹여주면 번식을 시작한다.
이때 앉아있는 상태면 교배를 못하니 막대기로 일어나게 설정해주고 하는게 좋다.
번식에 성공하면 새끼를 낳는것이 아닌 닭처럼 알을 드롭하는데 이 알을 던지면 확정적으로 새끼 히포그리프가 부화한다.
이스터에그로 길들인 히포그리프에게 반짝이는 수박 조각을 먹이게되면 도도 히포그리프로 변한다.
일반 히포그리프에서 딱히 달라지는건 없지만 날개가 정말 짧아져서 시야 방해가 덜하다.
3.3. 공격적
3.3.1. Stymphalian Bird
늪지대에서 나타나는 독수리를 닮은 몹이다.
한번 스폰할때 3~20마리가 스폰하여 하나의 무리를 이루며 무리의 대장으로 설정된 개체를 모든 무리의 일원이 따라다닌다.
대상이 감지되지 않을경우에는 쉴새없이 늪지대를 날아다니는데 이때 가끔씩 땅이나 나무 위로 착지해서 쉬는 모습을 자주 볼 수있다.
그러나 이는 이녀석들이 늪지대에서 제일 거슬리고 위험한 놈들인 이유중 하나인데,
웬만하면 5마리 이상은 무리를 지어 다니기때문에 어그로가 끌리면 여러마리한테 다굴빵을 맞기 쉽다.
플레이어나 자신들에게 적대적인 몹을 발견하면 날개에서 4발의 깃털을 발사한다.
한발당 피해가 고작 1밖에 안 되지만 여러마리가 뭉쳐다니기때문에 10마리만 넘어가도
깃털을 기관총처럼 발사해대기때문에 위험하다.
3.3.2. Myrmex
마이어멕스 굴에서 번식하는 군체를 이루는 특이한 몹.
여왕 마이어멕스가 낳는 알에서 애벌레, 고치, 성체 단계를 밟아가며 성장하는 특이한 스폰 매커니즘을 가진 몹.
공격할때 가끔 독침을 쏘는 모션을 취하는데, 이때 공격받으면 종류에따라 독II~IV까지 걸릴 수 있으니 주의.
근처에 있는 플레이어에게 귀신같이 반응해서 죽이려고 달려들며 플레이어가 입구에 발을 들인다면
개미굴 내부의 모든 마이어멕스에게 어그로가 끌리니 주의해야한다.
좀 오래 방치하면 로얄 마이어멕스 여러마리가 근처를 날아다니니 주의.
'''마이어멕스 굴이 스폰된 상황에서 오래 방치하게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공략 난이도가 크게 오르니 주의'''
3.3.2.1. 평판
입구에 resin chunks이라는 아이템을 던져주면 일꾼이 이를 가져가게 되는데 일꾼이 resin chunks를 줍는 순간
마이어멕스 군체와의 평판이 하나당 5씩 증가한다.[13][14]
평판은 최대 100까지 오르며 25까지 증가시키게 된다면 마이어멕스 군체가 더 이상 플레이어를 적대하지 않고 중립적이게 변경된다.
마이어멕스를 때리거나 죽이는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하면 평판이 순식간에 추락하니 주의.
평판을 50까지 올리게 되었다면 일꾼에게 우클릭 할 시 주민과 거래할때처럼
거래가 활성화된다. 예시로 일꾼의 거래 내용은 대부분 쓸모없는 흙이나 모래를 resin chunks로 거래해주고
resin chunks를 엄청난 수치의 아이템으로 거래해준다.[15] 거주지 근처에 마이어멕스 굴이 있다면 섣불리 공략하기보단 더 멀리있는 다른 굴을 초토화시켜버려서
평판을 쌓아보자.
- 일꾼 : 흙과 모래등 쓸모없는 아이템을 resin chunks로 변환해주며 resin chunks을 엄청난 양의 아이템으로 바꿔준다.
- 병사 : 좀비나 스켈레톤같은 몹들에게서 나오는 드랍템을 resin chunks로 교환해주며 resin chunks로 고기나 금 조각등 여러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다.
- 센티넬 : 거미눈이나 독이든 감자, 복어등 함정 아이템을 resin chunks로 교환해주며 resin chunks로 레드스톤이나 더 많은 고기등을 구입할 수 있다.
- 로얄 : resin chunks를 주고 금괴나 에메랄드, 네더 석영같은 광물과 교환해준다. 이외도 Witherbone Shard나 Manuscript도 구입할 수 있다.
- 여왕 : resin chunks 대규모로 주면 일꾼부터 여왕까지 모든 마이어멕스의 알을 구입할 수 있다.
75까지 평판을 쌓게된다면 마이어멕스 스태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마이어멕스 굴의 배치나 새로운 방을 만드는등 굴의 제어권을 받는거나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니
효율적인 구성으로 동굴을 꾸며보자.
이는 마이어멕스 굴의 배치나 새로운 방을 만드는등 굴의 제어권을 받는거나 마찬가지의 상태가 되니
효율적인 구성으로 동굴을 꾸며보자.
3.3.2.2. 애벌레, 고치
여왕 마이어멕스가 낳는 알이다.
몇분 정도만 지나면 곧바로 고치가 되어 부화한다.
체력은 부화할 종류가 무엇인가에 따라에 따르며 마찬가지로 몇분 후 부화한다.
은근 흔한 버그로, 방금 막 스폰된 마이어멕스 굴에서는 성체의 모습을 한 애벌레가 대규모로 있어서 당황하게 될 수도 있다.(...)
3.3.2.3. Myrmex Worker
마이어멕스 군체중 가장 약한 종류이자 일꾼.
하지만 초반에 상대하기엔 꽤나 껄끄러운게 체력이 20이나 되는데다 사거리고 긴편이고 독까지 거니 주의해야한다.
근처에 있는 선인장, 마른 덤불, 음식물등 특정 블록이나 몹들을 부수거나 처치한 후 아이템을 집게로 물어
개미굴 내부에 있는 창고에 옮긴다. 이녀석들이 챙겨간 아이템은 죽이거나 아니면 개미굴을 공략해서
창고방에 들어간 템을 회수하는 방법밖에 없으니 일꾼 근처에서 죽지 않게 조심하자.
참고로 이녀석들이 일하러 나갈 때 높은 확률로 병정 마이어멕스가 호위하는 경우가 있으니 시비가 걸리지 않게 조심하자.
3.3.2.4. Myrmex Soldier
일꾼보다 덩치가 더 크고 집게가 더 긴 병정 개미 포지션의 마이어멕스.
일꾼이 밖으로 나갈때 호위로 붙거나 여왕 개미 주변에서 소규모로 돌아다닌다.
전체적인 스텟이 일꾼의 완벽한 상위호환인데다 체력이 40이라 인첸트가 잘 된 검으로 패도 잘 죽지 않기때문에
동굴 공략이나 농장 터는 개미 제거에 큰 방해가 되는 종류중 하나.
3.3.2.5. Myrmex Sentinel
개미가 아니라 사마귀를 연상시키는 생김새를 가진 마이어멕스 몹.
굴 내부에 바글바글하게 있는 종류다. 체력과 공격력이 여왕을 제외하면 가장 강력하기 때문에 공략에 큰 주의사항중 하나.
보통 입구 밖에 나와있으면 주위 환경에 맞는 블럭의 텍스쳐로 변하여 잠복한다.
주위에 플레이어가 다가오면 바로 잠복을 풀고 돌진하니 주의바란다.
공격속도가 빠른데 공격력이 9씩이나 되기에 주의해야한다. 다른 마이어멕스처럼 독을 걸는 능력이 있지만
이녀석의 가장 특이한 능력이 바로 '''플레이어를 붙잡고 물어뜯는 능력이다'''
센티넬에게 붙잡히게되면 물어뜯기 시작하는데 초당 1의 피해밖에 안줘 별로 위협적이진 않으나 행동을 강제적으로 멈추게 만들기에
붙잡히면 빨리 Shift를 눌러 탈출하자.
3.3.2.6. Myrmex Royal
공주 개미 포지션의 마이어멕스 몹.
태어나자마자 바로 굴 밖으로 나가는 성향을 지녔으며 굴 밖으로 나오게 된다면 날아다녀 주위를 정찰하기 시작한다.
이때는 플레이어가 선빵을 걸거나 너무 가까이 간게 아니라면 플레이어를 건들지는 않는다.
만일 로얄 마이어멕스 두마리가 만나게 된다면 일정 확률로 짝짓기를 시작하여 한마리가 여왕 마이어멕스로 변한다.
여왕이 된 로얄 마이어멕스는 땅을 파서 새로운 군체를 만든다.
3.3.2.7. Myrmex Queen
마이어멕스의 번식을 담당하는 중심이자 마이어멕스를 박멸하려면 반드시 처치해야하는 보스격 몹이다.
단독으로는 덩치만 좀 큰 병정 수준이라 멀리서 활을 쏘거나 방패->공격->방패 콤보로 간단히 상대할 순 있지만,
웬만하면 옆방에 '''센티널 마이어멕스가 바글바글하게 대기를 타고있기에 체감 난이도는 꽤나 높다.'''
여기에 실수로라도 죽어버리면 살아남아있던 일꾼 몇마리가 고기등을 훔쳐가버리니 회수에도 골칫거리가 생기는건 덤.
그래도 잡몹만 다 처리해버리면 여왕 본체는 대비만 잘되어있다면 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하기에 준비만 잘하면 쉬운편이다.
마이어멕스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버그로, 벽에 낑긴채 미친듯이 회전하는 버그가 정말 자주 보인다.
얼마나 심하냐면 소탕좀 하러 가보려고했더니 중앙에서 여왕이 회전춤을 추고있는게 허다하다.
3.3.3. Deathworm
'''사막을 지옥으로 만든 장본인.'''
사막에서 정말 심심하면 스폰하는 흔한 적대적인 몹이다.
소형 사이즈의 데스웜은 별로 위협적이진 않으나 크기가 작아서 잘 안맞고 계속 모래속에서 숨어서 공격하기때문에 거슬린다.
이렇게만 설명하면 데스웜 키틴을 수집해서 갑옷 만드는 훌룡한 재료 취급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놈들의 진가는 바로 '''드물게 스폰하는 대형 데스웜.''' 체력도 엄청나고 튼튼한 갑옷을 입어도 큰 피해를 주는데다
지형을 박살내서 플레이어를 지하로 끌고가 패는 무시무시한 능력을 지니고있다.
그나마 한가지 위안거리로는 대형 데스웜이 의외로 호전성이 높지 않아 바로 위에 플레이어가 지나가도 웬만해서는 반응하지 않는다.[22]
대형 데스웜은 TNT를 점화시키면 그걸 먹어치우고 스스로 자폭해서 죽어버리는 기믹이 있지만
데스웜의 반응속도가 느리기때문에 노리기도 어렵고 자주 목격하기 힘들다.
처치하면 가끔 데스웜의 알을 드롭하는데, 던지면 바로 확정적으로 새끼 데스웜이 태어난다.
길들여저있긴 하지만 플레이어의 명령을 듣지 않고, 플레이어가 공격당해도 지켜주러 오진 않지만
플레이어만큼은 공격하지 않으며 태어난 곳에서 50 블록 반경내에 들어온 적대적인 개체를 모두 공격한다.
참고로 길들이지 않아도 탑승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몹인데,
양손에 전부 낚싯대를 들고 우클릭하면 데스웜에 탑승할 수 있다.
다만 사막에 깽판부리던 그놈이 맞나 싶을정도로 느리고 조작감도 구리기때문에
별로 추천하지는 않는 탑승물.
입속에 있는 이중턱도 그렇고 디자인의 모티브는 영화 Tremors에 나오는 그래보이드(Graboid)로 추정된다.
4. 아이템
[1] 추가로 같이 넣어야 하는 모드[2] 이 쪽도 코어 모드는 맞지만 1.12.2 한정[3] 둘이 붙어서 생성되지 않는다.[4] 다만 이 사원이 소환되는 메커니즘이 어딘가 이상한지 '''해변가 한가운데에 스폰되서 모세의 기적이 일어나있다던가,''' 아니면 1~2칸 깊게 파인채로 스폰된다던가 하는등, 이상한곳에 자주 스폰된다.[5] 그냥 곡괭이로 파도 된다.[6] 가끔 보물방이 나올때도있지만 꽤 확률이 낮을뿐더러 굴을 털어버리거나 굴을 파버리지 않는 한 알 수 없고, 기껏 찾아도 다이아몬드 1~3개 정도가 그나마 소득이라고 쳐줄만 하다.[7] 특이하게도 플레이어가 타고있는게 아닌 스스로 움직일때는 잘만 빠르게 기어간다.(...)[8] 1.12.2 버전은 스펀지로 길들일 수 있다.[9] 분홍색, 자주색, 파란색, 녹색, 노란색[10] 다만, 가끔 훔쳐가지 않고 자꾸 뒤를 쫒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동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서 얼마나 도망가던간에 금방 쫒아오기에 죽이거나 길들이는것 말고는 떼어낼 수 없다.[11] 이미 한대 때려서 시비가 걸려있다면 일반 물어뜯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에 위험하다.[12] 깃털 발사[13] 다만 던진걸 주워먹는 특성상 가끔씩 생까거나 '''플레이어를 두들겨 팬 후에 주워서 강탈해가는''' 성질나는 상황이 은근 자주보인다.[14] 통째로 던지면 1 세트를 1개로 취급해서 64개를 고작 5 평판 하나로 먹튀를 해버리니 하나씩 던져주자.[15] 예를들어 resin chunks 1개를 주면 막대기 64개나 철광석 6개를 주는등 꽤나 파격적이게 준다.[16] 무슨 종인지에 따라 사막 키틴인지 정글 키틴인지 결정된다.[17] 무슨 종인지에 따라 사막 키틴인지 정글 키틴인지 결정된다.[18] 붙잡기[19] 무슨 종인지에 따라 사막 키틴인지 정글 키틴인지 결정된다.[20] 무슨 종인지에 따라 사막 키틴인지 정글 키틴인지 결정된다.[21] 무슨 종인지에 따라 사막 키틴인지 정글 키틴인지 결정된다.[22] 정말 가끔씩은 플레이어가 대놓고 선빵을 갈겨도 무시한다.